split thickness skin graft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09.27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split thickness skin graf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화상 환자의 Split-Thickness Skin Graft 수술과 간호
1.1. 화상의 특징과 국내 현황
1.2. 피부의 구조와 기능
1.3. 화상의 깊이에 따른 분류
1.4. 피부이식술(Skin Graft)의 정의 및 적응증
1.5. 피부이식술의 분류
1.6. 피부제공부위 및 채취방법
1.7. 피부이식의 생착을 위한 조건
1.8. 피부이식술의 진행과정
1.9. 피부이식편의 드레싱 방법
1.10. 피부이식 후 처치
1.11. 피부이식 수술 전 간호
1.12. 피부이식 수술 중 간호
1.13. 피부이식 수술 후 간호
1.14. 피부이식술의 경과 및 합병증

2. 간호사 실습을 위한 기본 지식
2.1. Scrubbing 방법
2.2. Gloving and Gowning 방법
2.3. 마취의 목적 및 방법
2.4. 마취제, 근육이완제, 항콜린성제제 등 주요 약물
2.5. 수술 전ㆍ중ㆍ후 간호
2.6. 진단명에 따른 수술명 및 기본 약어
2.7. 회복실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화상 환자의 Split-Thickness Skin Graft 수술과 간호
1.1. 화상의 특징과 국내 현황

화상은 열에 의해 피부세포가 파괴되거나 괴사되는 현상을 말한다. 화상은 직접적인 열손상, 방사선, 부식성 화학물질, 전기 등에 의해서 신체 조직이 손상된 상태이다. 신체가 손상 받지 않고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보다 많은 에너지에 노출된 경우에 발생하며 불이나 뜨거운 물에 의한 피부 조직의 상해이다.

국내 화상환자의 발생은 매년 약 13,000명 이상이 입원 가료하고 있으며, 약 23만명이 외래환자로 병의원에서 치료되고 있다. 국내 입원한 화상의 가장 많은 원인으로는 화염화상이며, 열탕화상, 접촉화상, 전기화상, 화학화상 기타의 순이다.


1.2.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는 신체를 구성하는 가장 큰 기관이며, 크게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피부의 가장 바깥층으로 편평상피로 되어있으며, 각질형성세포, 멜라닌형성세포, Langerhans 세포, Merkel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자체적인 혈액공급이 없으며 진피층의 많은 혈관이 확산작용을 통해 영양분을 전달한다.

진피는 표피 바로 아래 조직이며 결체조직과 기질로 구성되어 있고, 혈관, 림프관, 신경, 근육 및 표피 부속기 등을 포함한다. 진피는 혈관이 풍부하여 체온과 혈압 조절에 도움을 주며, 촉각ㆍ압각ㆍ온각ㆍ통각 및 소양감을 전달하는 감각신경과 림프관도 분포되어 있다.

피하조직은 진피 아래 있으며 피부의 일부는 아니다. 피부 바로 아래 근육과 뼈 위에 있으면서 신체의 열 저장소 역할을 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기계적인 손상을 예방한다. 많은 혈관들이 지방층을 관통하여 진피층으로 올라가면서 모세혈관망을 형성하여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한다.

피부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첫째 외부 환경에 대한 방어 기능으로 감염성 미생물, 기생충, 방사성 에너지,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둘째 체온조절 기능으로 다양한 혈관의 분포와 자율신경계, 시상하부의 작용을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셋째 감각기능으로 통증, 압력, 온도와 접촉 등의 감각을 받아들인다. 넷째 신진대사 기능으로 땀샘을 통한 물과 염분 배설, 비타민 D 합성 등을 담당한다. 다섯째 체내 수분조절 기능으로 각질층이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과도한 상실을 막는다. 마지막으로 면역기능으로 Langerhans 세포와 각질형성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피부는 다양한 층과 세포 구성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신체 방어, 체온조절, 감각, 대사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시 이러한 기능들이 저하되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상 환자의 치료 및 간호 시 피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화상의 깊이에 따른 분류

화상의 깊이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1도 화상은 피부가 붉게 되고 따끔거리는 통증이 있으며, 피부층의 가장 바깥부분인 표피만 손상되었다. 며칠 안에 증상이 없어지며 즉시 찬물로 식히는 처치만으로도 효과적이다. 회복 후에는 반흔이 남지 않는다.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에 영향을 미치며, 사고 후 24시간 이내에 물집이 생기고 홍반, 동통, 부어오름 등의 증상이 있다. 자각적으로는 작열감과 통증이 심하다. 수포가 터지면 미란면이 나타나고 다량의 분비액이 나온다. 응급처치 후 전문의의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잘 받지 않으면 부종과 조직의 혈행 저하로 인해 3도 화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 피하까지 영향을 미쳐 피부가 검게 되거나 반투명 백색으로 변하고 피부 표면 바로 아래의 혈관이 응고된다. 이 부위는 무감각할 수 있지만 환자는 극심한 통증을 느낀다. 피부조직과 구조가 괴사되어 치료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흔이 남는다. 2주 후에 딱지가 벗겨지고 궤양면이 나타나며, 분비액이 많고 출혈하기 쉬운 편이다.


1.4. 피부이식술(Skin Graft)의 정의 및 적응증

피부이식술(Skin Graft)은 창상이 넓어 일차적으로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 표피와 진피의 일부를 공여부로부터 취하여 혈류공급이나 부착된 모든 것이 단절된 상태에서 수혜부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피부이식술의 적응증은 단순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 심한 화상이나 mucosal replacement가 필요한 경우, 보기 흉한 반흔이 남을 경우 관절부위의 반흔이나 facial wound, 그리고 skin defect가 있는 부위에 모두 가능하다.피부이식술은 심부화상 환부, 반흔구축, 절제부, 피부종양 절제부, 두꺼운 피부이식 공여부 등 창상의 일차봉합이 불가능한 부위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피부이식은 종에 따른 유전학적 분류와 이식 피부편의 두께에 따른 분류가 주로 이용된다. 유전학적 분류로는 autograft(자가이식), isograft(동종이식), allograft(이인자형 이식), xenograft(이종이식)가 있다. 두께에 따른 분류로는 STSG(split thickness skin graft, 중간층)와 FTSG(full thickness skin graft, 전층)가 있다. STSG는 표피와 진피를 포함한 피부를 1/2정도의 두께로 이식하는 방법이며, FTSG는 지방조직만 제외한 표피와 진피, 모든 부위를 이식하는 것이다.


1.5. 피부이식술의 분류

피부이식술은 종에 따른 유전학적 분류와 이식 피부편의 두께에 따른 분류가 주로 이용된다"이다.

유전학적 분류에는 자가이식(autograft), 동종이식(isograft), 이인자형 이식(allograft), 이종이식(xenograft)이 있다. 자가이식은 동일 개체의 어느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의 이식으로 거부 현상이 없고 영구적으로 정착한다. 동종이식은 유전적으로 같은 개체 간의 이식으로 거부 현상이 없다. 이인자형 이식은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개체 간의 이식으로 거부 반응이 있지만 H항원의 장벽이 약할 때에만 생착이 가능하다. 이종이식은 이종 개체 간의 이식으로 거부 반응이 강해 생착이 불가능하다.

두께에 따른 분류로는 STSG(중간층)와 FTSG(전층)이 있다. STSG는 표피와 진피를 포함한 피부를 1/2정도의 두께로 이식하는 방법으로, 전층 이식이 실용적이지 못할 경우 넓은 부위를 덮어줄 때 이용된다. FTSG는 지방조직만 제외한 표피와 진피, 모든 부위를 이식하는 것으로 초기에 봉합하기에는 너무 큰 상처나 얼굴 결손 부위의 착색이나 경축을 없애기 위해 이용된다.피부이식술은 피부의 손상이 심하여 일차적으로 봉합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치료법이다. 피부제공 부위와 방법, 두께에 따른 특성과 장단점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피부 결손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회복을 도울 수 있다.


1.6. 피부제공부위 및 채취방법

STSG(부분 피부 이식술)는 신체의 어느 부위도 선택이 될 수 있으나 이식할 피부의 색깔이나 공여부에 발생하는 흉터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STSG는 small area, large area, 심한 화상 부위 등에 사용된다. small area로는 upper inner arm과 hypothenar area가, large area로는 lat. & post. buttock(엉덩이)가 선호되며, 심한 화상의 경우 abdomen, back, scalp, ant. chest wall, arm lower leg & thigh 등의 부위에서 피부를...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p.338~34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