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QI 보고서 낙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낙상 예방 활동을 위한 QI 보고서
1.1. 주제 선정 배경
1.2. 문제 분석 및 원인 파악
1.2.1. 낙상 발생 현황
1.2.2. 낙상 위험 요인 분석
1.3. 목표 설정 및 전략 수립
1.3.1. 일반 및 구체적 목표 설정
1.3.2. 낙상 예방 활동 수행 전략
1.4. 실행 및 평가
1.4.1. 낙상 예방 교육 및 환경 개선 활동
1.4.2. 활동 효과성 평가
1.5. 개선 사항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낙상 예방 활동을 위한 QI 보고서
1.1. 주제 선정 배경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해사건 중의 하나이며, 간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낙상으로 인해 모든 환자가 신체적 손상을 입는 것은 아니지만 발생하게 되면 골절, 뇌손상, 사망 등의 신체적 손상뿐 아니라, 낙상 후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활동 제한 등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낙상으로 인한 손상 치료 및 검사로 인해 재원일수가 길어져 추가적인 의료비용 부담과 함께 최근 의료과실로 소송까지 제기되는 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9년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을 통해 자율적으로 수집된 11,953건 중 낙상은 44.3%(5,293건)로 나타났다. 이처럼 낙상은 환자 안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QI 주제로 선정하였다고 볼 수 있다.
1.2. 문제 분석 및 원인 파악
1.2.1. 낙상 발생 현황
낙상 발생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2019년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을 통해 자율적으로 수집된 11,953건의 환자안전 보고 중 낙상이 44.3%인 5,293건으로 나타났다. 낙상사고의 대부분인 3,077건(58.1%)이 입원실에서 발생하였다. 이처럼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해사건 중 하나로, 간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낙상으로 인해 모든 환자가 신체적 손상을 입는 것은 아니지만 골절, 뇌손상, 사망 등의 심각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낙상 사고 치료와 검사로 인한 재원일수 증가로 추가적인 의료비용 부담까지 발생하는 등 낙상은 의료기관에...
참고 자료
입원 환자의 낙상 사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김유정, 기본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7년 5월
입원환자의 낙상 실태 및 위험요인 조사연구, 윤수진;이천균;진인선;강중구,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24 no.2, 2018년
2019년 환자안전통계연보, 환자안전보고학습 https://www.kops.or.kr/portal/main.do
간호관리학 | 이병숙 외 | 학지사메디컬 | 2019
김윤이, 정석희(2015), 『입원환자 낙상 예방 간호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 간호학회지, 45(4). p469-482
조희은, 김명자(2017), 『낙상 예방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낙상 효능감 및 낙상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1), p22-32
병원 간호사회(미상), 『낙상 예방 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네이버 블로그, “[간호 관리학] QI 활동”, https://blog.naver.com/yz100496/221646786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