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스크확산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항생물질 및 항균제
1.1. 항생물질의 분류
1.1.1.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1.1.2. 약리작용에 따른 분류
1.1.3. 생화학적 작용에 따른 분류
1.2. 항생물질의 상호작용
1.2.1. 상승작용
1.2.2. 상가작용
1.2.3. 길항작용
1.2.4. 무작용
1.3. 항생제 내성
1.3.1. 비유전적 요인
1.3.2. 유전적 요인
1.3.3. 내성 기전
1.4. 항생제 감수성 검사
1.4.1. 액체배지 희석법
1.4.2. 한천배지 희석법
1.4.3. 디스크 확산법
1.4.4. E-test 확산법
1.4.5. 미생물 자동화기기 판정법
1.5. 디스크 확산법(Kirby-Bauer Method)
1.5.1. 항균제 디스크
1.5.2. 접종량 및 균접종액
1.5.3. 디스크법의 장단점
1.5.4. 결과 판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항생물질 및 항균제
1.1. 항생물질의 분류
1.1.1.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는 크게 여러 가지로 나뉜다. 대표적인 예로 β-lactam계, aminoglycoside계, macrolide계, tetracycline계, quinolone계, glycopeptide계 등으로 구분된다.
β-lactam계 항생물질은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4개의 고리 구조인 β-lactam고리를 가지고 있다. 이 β-lactam고리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aminoglycoside계 항생물질은 strepto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등이 해당되며, 이들은 2개 이상의 아미노당 residue로 구성된 다당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macrolide계 항생물질은 erythromycin, clarithromycin, azithromycin 등이 포함되며, 14-16개의 거대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tetracycline계 항생물질은 tetracycline, doxycycline, minocycline 등이 해당되며, 4개의 고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quinolone계 항생물질은 nalidixic acid, norfloxacin, ciprofloxacin, levofloxacin 등이 포함되며, 2개의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균의 DNA 복제 및 합성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glycopeptide계 항생물질은 vancomycin, teicoplanin 등이 해당되며, 이들은 다당류와 아미노산이 복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균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항생물질의 화학구조 차이에 따라 작용 기전과 항균 스펙트럼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감염 병원체와 치료 목적에 맞는 적절한 항생물질의 선택이 중요하다.
1.1.2. 약리작용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약리작용에 따른 분류는 주로 그람양성구균과 그람음성간균에 작용하는 항생제로 나눌 수 있다"" 그람양성구균에 작용하는 항생제로는 penicillin G와 V, vancomycin, bacitracin 등이 있다"" 그람음성간균에 작용하는 항생제로는 monobactam, polymixin B, nalidixic acid 등이 있다"" 또한 광범위 항균제로는 penicillin, cephamycin, carbapenem, aminoglycoside,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macroride, fosfomycin 등이 있다"" 혐기성균에는 metronidazole 등이 작용한다""
1.1.3. 생화학적 작용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생화학적 작용에 따른 분류는 크게 살균성(bacteriocidal)과 정균성(bacteriostatic)으로 나눌 수 있다.
살균성 항생물질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거나 세포막 기능을 저해하여 세균을 사멸시킨다. 세포벽 합성 저해 항생물질에는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바시트라신, 반코마이신 등이 있으며, 세포막 기능 저해 항생물질에는 폴리믹신, 콜리스틴 등이 포함된다.
정균성 항생물질은 세균의 증식을 저해하여 정균작용을 나타낸다. 이들은 주로 핵산 합성을 저해하거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핵산 합성 저해 항생물질에는 설파제, 아티노마이신, 트리메토프림, 나리딕스산 등이 포함되며, 단백질 합성 저해 항생물질에는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등이 있다.
이처럼 항생물질의 생화학적 작용 기전에 따라 세균을 사멸시키는 살균성 항생물질과 증식을 억제하는 정균성 항생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1.2. 항생물질의 상호작용
1.2.1. 상...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약학용어사전, ‘항생제’, 항생제 (naver.com)
『항생제 내성과 대응방안 연구』, 강창수, 한국특허정보원 특허정보진흥센터, 2004. 03, 37p~44p
위키백과, ‘디스크 확산 검사’, 디스크 확산 검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네이버 지식백과 미생물학백과, ‘디스크 확산법’, 디스크 확산법 (naver.com)
최신 실험미생물학, 미생물 및 면역학 분과회
개정 병원미생물학 third edition, 김성광 외 12, 도서출판 정문각, p.32
항생물질학, 박부길, 도서출판 효일, 2005년
일반 미생물학 개정판, 신현성,이규식 공저, 형설출판사, 서울, 2000
⁍ 일반 미생물학 / 신현성 외 저 / 형설출판사
⁍ MICROBIOLOGY / Prescott ․ Harley ․ Klein / Mc Graw Hill
⁍ http://hankukm.com.n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