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데이터 모델링에 있어 요구사항 명세를 분석하여 ER 모델로 구성하는 개념적 설계를 수행한다. 산출물인 ERD를 데이터모델 설계 툴인 Toad for Data Modeler을 이용하여 작성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데이터 모델링의 절차
2.1. 요구사항 분석
2.2. 개념적 설계
2.3. 논리적 설계
2.4. 물리적 설계
2.5. 구현
3. 개념적 설계 단계의 이해
4. 개념적 설계의 산출물인 ERD 작성
4.1. 요구사항 분석
4.2. 개념적 설계 단계 수행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건물을 짓기 전 건물 설계가 필요하듯이 데이터베이스에도 설계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다른 말로 데이터 모델링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현실 세계의 복잡한 개념을 단순화하고 추상화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이다."" 데이터 흐름을 도식화해 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컴퓨터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추상화함으로 이해하기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가 된다."" 데이터 모델링은 설계 부분에 해당하므로 잘못하게 되면 후에 프로젝트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설계도에 따라 구축이 그대로 진행되므로 완성 후 사용 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수습하는데 큰 비용이 들게 된다.""
2. 데이터 모델링의 절차
2.1.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석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 현실 세계의 대상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파악하며, 실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데이터 유형과 처리 방법 등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수집된 요구사항은 모호하고 추상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구체화하고 명확하게 정리하여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한다. 요구사항 명세서는 다음 단계인 개념적 설계 단계의 기초가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방향성을 정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 개념적 설계
개념적 설계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수집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핵심 개념을 식별하고 개념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DBMS에 독립적인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현실 세계의 개념을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에는 ER(Entity-Relationship) 모델이 많이 사용된다. ER 모델은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로 구성되며, 개체-관계 다이어그램(ERD)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는 먼저 요구사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야 할 개체들을 식별한다. 개체는 현실 세계의 구별 가능한 사물, 장소, 사람 등을 의미한다. 각 개체에는 해당 개체를 설명하는 속성들이 정의된다. 다음으로 개체 간의 관계를 식별하고 정의한다. 관계는 개체 간의 의미 있는 연결고리를 나타낸다. 관계에는 매핑 카디널리티(Mapping Cardinality...
참고 자료
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 박우창 남송휘, 한빛아카데미, 2013
데이터베이스 교안, 고혁진
데이터베이스 교안, 고혁진, 메가존아이티평생교육원, 2021
데이터베이스 개론, 김연희, 한빛아카데미, 2013
데이터베이스 개론, 김연희, 한빛아카데미, 2013
데이터베이스 교안, 고혁진, 메가존아이티평생교육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