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아 이식편대숙주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면역결핍장애
1.1. B세포질환과 T세포 질환
1.2. 중증복합면역결핍병(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Disease, SCID)
1.3. 비스코트-올드리치 증후군(Wiskott-Aldrich Syndrome)
1.4.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2. 자가면역질환
2.1.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2.2. 소아 특발성 관절염
3. 알레르기 반응
3.1. 라텍스 알레르기
4. 이식편대숙주병
5. 백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5.1. 원인
5.2. 병태생리
6. 백혈병의 증상과 징후
6.1. 임상증상
6.2. 징후
7. 백혈병의 치료 및 간호
7.1. 임상증상
7.2. 징후
8. 백혈병 간호과정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면역결핍장애
1.1. B세포질환과 T세포 질환
B세포질환과 T세포 질환은 면역글로불린의 부족이나 기능 저하로 인한 면역결핍 질환이다. B세포질환의 경우 면역글로불린이 부족하거나 거의 없을 수도 있으며, 그 예로 선택적 IgA 결핍인 선택적 IgA 결핍이 있다. 일반적으로 B세포질환의 증상은 출생 3개월 후에 모성 항체를 소실할 때 나타나게 된다. T세포질환은 T림프구 부족이나 T세포 기능결여가 특징이며, T세포질환 하나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은 B세포질환이 동반되는데, 선천이상과 연관될 수도 있고 또는 원인을 전혀 모를 수도 있다. 따라서 B세포질환과 T세포질환은 면역글로불린의 부족 및 기능 저하로 인한 면역결핍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1.2. 중증복합면역결핍병(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Disease, SCID)
중증복합면역결핍병(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Disease, SCID)은 선천질환으로 T세포와 B세포의 기능이 결여되어 체액면역과 세포면역을 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X-연관 열성형과 상염색체 열성형인 경우에 발생하고 남성에게 더 흔하다. 적절한 치료 없이 1년 이상 생존을 못하며 증상은 생에 초기에 발생한다. 중증복합면역결핍병의 표준 치료는 체액 면역이 안정될 때 까지 신체보호를 위해 정맥내로 면역글로불린(IVIG)를 주입하는 것이고, 가장 희망적인 치료는 조혈모세포 이식이다. 아동의 일차적인 간호진단은 면역결핍으로 인한 감염의 위험이다. 우선적으로 아동은 면역이 결핍된 상태이기 때문에 감염예방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춰야 한다."
1.3. 비스코트-올드리치 증후군(Wiskott-Aldrich Syndrome)
비스코트-올드리치 증후군은 선천 복합면역결핍증후군으로, WAS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WAS 단백질의 변화를 일으키는 X-연관성 반성유전 질환이다. IgM 수치는 낮고 IgG 수치는 정상이거나 약간 낮으며, IgA와 IgE의 수치가 높다. 비스코트-올드리치 증후군의 진단은 신생아 초기에 점상출혈, 혈뇨, 혈변, 토혈이 나타나는 혈소판 감소증에 기초해 내려진다. 특히 영아기와 아동기의 비스코트-올드리치 증후군은 습진과 재발성 감염이 특징이다. 치료는 지지요법, 항생제 예방법과 혈소판 주입, 감마글로불린 정맥내주사가 포함되며, 이 질병의 선택적이고 유일한 치료는 조혈줄기세포이식이다.
1.4.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은 매우 심각한 전염병이다. HIV는 면역계를 공격하여 AIDS라는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한다. 신생아는 어머니로부터 다양한 경로로 감염될 수 있으며, 치료되지 않은 아동은 많은 기회감염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한 채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HIV 감염자의 치료를 위해 항레트로바이러스요법이 필수적이며, 감염 예방을 위한 환자 교육과 주의사항이 중요하다. 또한 HIV에 감염된 아동의 가족은 정신적, 사회적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2. 자가면역질환
2.1.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는 만성적이고, 기관적 염증반응을 초래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전신홍반루푸스의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소가 의심되며 같은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더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요인이 강한 사람들의 경우 바깥 환경에 있는 병원체가 신체를 자극해서 자기의 조직에 비정상적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신홍반루푸스의 간호는 최근에 체중이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 비교하여 아동의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피부, 호흡, 심혈관, 신경...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하 제 7판. 서울. 현문사
김금순(2016). 성인간호학Ⅱ 여덟째판. 수문사
백혈병,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n.d.).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95.
급성백혈병은 어떤 질병입니까? [세브란스ㅣ연세암병원]. (n.d.). http://sev.iseverance.com/cancer/health_inform/disease_info/disease_info/view.asp?con_no=1994&page=2&SearchField=&SearchWord=.
[PEOPLE in 세브란스] 백혈병의 세 가지 대표증상, [YOUTUBE] . (n.d.). https://www.youtube.com/watch?v=GTimEjv4AEg.
「성인간호학(하)」 황옥남 외, 2017, 현문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2019, 고문사
이동건 외,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예방적 항균요법의 유용성, 대한내과학회지, 2001
김진원 외, 조혈모세포이식 후 재발한 환자에서 구제치료로 시행한 공여자림프구 주입(Donor Lymphocyte Infusion)의 효능, Korean J Hematol, 2007
김의석, 혈관카테터 관련 감염의 예방, 병원감염관리, 2009
송지은 외, 급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함수제별 구내염 및 구강안위감에 대한 무작위대조시험연구, 종양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1
최수미 외, 급성 백혈병 환자의 감염양상 : 관해유도 및 재관해유도 화학요법 환자군의 비교, 감염과 화학요법
약학정보원,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가톨릭대학교 가톨릭혈액병원, https://m.chh.or.kr/page/bld/dss/17/dss?vDssNo=17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조혈모세포이식 클리닉, https://www.cmcvincent.or.kr/page/department/B/1159/1
Dailyy medi, 전남대병원, 병실에 꽃·화분 반입 금지령, https://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623040
세브란스, 건강정보, 백혈병의 식사요법, https://gs.severance.healthcare/health/lifecare/nutrition/diseasediet.do?mode=view&articleNo=108730
김형준 외, 「환우와 가족을 위한 혈액질환 소개, 급성 골수 백혈병」 대한혈액학회, 2018
이동건 외, 국내자료를 근거로 한 호중구감소성 발열 환자의 경험적 치료 지침, Special Article, 2011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 급성골수백혈병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이해, 2018
최병철, 백혈병(Leukemia), 약학정보원 학술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