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식거래소의 등장과 발전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
최근 인터넷 상에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네이버, 엠파스, 야후 등의 검색사이트들은 단순히 사용자로 하여금 사이버스페이스 내의 지식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역할만이 아닌, 사용자들을 이어주어서 이들 간에 지식을 주고받게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곳에서 활발한 활동, 질 높은 대답을 한 사용자는 포인트를 얻어서 이 것으로 메일용량을 늘리거나 복권 등을 살 수 있는 혜택을 얻는다. 이러한 지식의 공유는 단순한 질문-답변 식의 1회성 묻고 답하기에서 그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서로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의 교환, 그리고 이후에도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1.2.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높은 해피캠퍼스
1.2.1. 해피캠퍼스의 특징
해피캠퍼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해피캠퍼스는 대학생 이상의 고급인력이 주요 회원이며, 회원들 간의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의 결정적인 차이이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들은 해피캠퍼스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해 검색을 하고, 다른 이들이 올린 평가와 가격 등을 고려하여 구입할 자료를 선택한다. 만약 원하는 자료가 없다면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 동일한 방식으로 "리처의 맥도날드화 논의를 기초로 한 해피캠퍼스 분석이 필요합니다. 기한은 X일까지, 자료는 A4로 X장 이상, 올려주신 분께는 포인트 XX점"이라는 식의 질문을 하면 며칠 내로 자료를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마치 패스트푸드 음식을 주문하는 것과 유사하다.
해피캠퍼스는 소비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제품의 다운로드 횟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높아지도록 설계되어 소비자들이 제품의 질을 쉽게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생산자 입장에서도 해피캠퍼스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중개 수단이 된다. 생산자들은 저작권 등록이나 상표 등록, 광고 등의 번거로운 과정 없이 해피캠퍼스에 자신의 자료를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
리처의 관점에서 볼 때 해피캠퍼스의 가장 큰 의의는 질적인 요소를 한층 더 '계산가능성'의 범주 안에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해피캠퍼스에서는 논문 발표회가 아닌 논문 시장이며, 내놓은 자료는 시장원리에 따라 평가를 받게 되고 다운로드 횟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올라가는 방식으로 질의 계량화가 구현된다. 또한 해피캠퍼스는 상품의 질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등록 자료를 철저히 검증한다.
즉, 해피캠퍼스는 지식의 계량화와 효율성 제고를 통해 맥도날드화의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2.2. 해피캠퍼스에서의 지식 거래
해피캠퍼스에서의 지식 거래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유료화 단계로 발전한 형태이다. 해피캠퍼스에서는 대학생 이상의 고급 인력이 주요 회원으로, 이들 간의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는 해피캠퍼스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해 검색을 한다. 검색 결과에서 다른 이들의 평가와 가격 등을 고려하여 구입할 자료를 선택한다. 원하는 자료가 없다면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 마찬가지로 "리처의 맥도날드화 논의를 기초로 한 해피캠퍼스 분석이 필요합니다. 기한은 X일까지, 자료는 A4로 X장 이상, 올려주신 분께는 포인트 XX점"과 같은 방식으로 질문을 올리면 며칠 내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마치 패스트푸드점에서 주문하듯 빠르고 편리한 방식이다.
생산자 입장에서도 해피캠퍼스는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