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사정 정문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과정의 개요
1.1. 간호과정의 정의
1.2. 간호과정의 단계
1.3. 간호과정의 특성
1.4. 간호사정
1.5. 간호력 작성
2. 조현병 개요
2.1. 조현병의 정의
2.2. 조현병의 원인
2.3. 조현병의 임상양상
2.4. 조현병의 단계별 경과
2.5. 조현병의 예후
3. 정신간호학실습 사례연구
3.1. 간호사례연구 개요
3.2. 간호사정
3.3. 간호진단
3.4. 간호목표 및 계획
3.5. 간호중재
3.6. 간호결과 평가
4. 사례연구 작성 소감
4.1. 사례연구작성 소감
4.2. 비판적 사고를 통한 자기 성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과정의 개요
1.1. 간호과정의 정의
간호과정은 건강하거나 아픈 사람을 확인하고 진단하고 치교하는 정문적인 간호의 접근법이다. 간호사는 간호과정의 적용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임상결정과 판단을 하기 위해서 비판적 사고의 요소들을 통합해야 한다. 임상지식과 대상자 간호 경험이 많아질수록 개별 대상자의 임상 상황을 파악하고 간호를 결정하는 단계들을 더욱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간호과정에서 대상자 중심적이고 목표 중심적인 5단계는 서로 연관되어 있고, 각 단계는 선행하는 단계의 정확성에 의존한다.""
1.2. 간호과정의 단계
간호과정의 단계는 총 5단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수집 과정으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평가하는 단계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파악하고 평가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경험하는 건강문제와 욕구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은 간호사가 간호사정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건강위험요인을 확인하고 명명하는 단계이다. 간호진단은 간호사가 책임질 수 있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선택하는 기초가 된다.
셋째, 간호계획(Nursing Planning)은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간호 중재를 수립하는 단계이다. 간호계획은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간호중재를 결정한다.
넷째, 간호수행(Nursing Implementation)은 수립된 간호계획을 실제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계획된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다섯째, 간호평가(Nursing Evaluation)는 간호중재의 효과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단계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상태 변화와 간호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간호계획을 수정한다.
이와 같이 간호과정은 순차적이고 체계적인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간호사는 이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선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1.3. 간호과정의 특성
간호과정의 특성은 체계성, 역동성, 대상자 중심, 결과(목표)중심, 보편적 적용 가능성, 융통성, 인지적 사고과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간호과정은 체계성을 가지고 있다. 각 간호활동은 순차적인 활동의 한 부분이 되며, 선행하는 활동의 정확성에 의존하고 다음 단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완전하고 정확한 사정 자료를 통해 대상자의 강점과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명확한 목표와 기대 결과를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간호과정은 연속적이고 순차적인 방식으로 간호의 각 단계를 안내한다.
둘째, 간호과정은 역동성이 있다.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단계 간의 상호작용이 크게 일어나고 다섯 단계 사이에 서로 중복이 일어난다. 또한 상황에 따라 5단계가 거의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즉, 간호과정의 각 단계는 한번만 거쳐야 하는 과정이 아니다.
셋째, 간호과정은 대상자 중심적이다. 간호사는 단순한 술기를 제공하기 위해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간호행위가 대상자의 목표 달성을 도울 수 있는지, 어떻게 더 잘 도울 수 있는지 등을 생각하며 접근한다. 간호과정은 대상자들이 자신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도록 격려한다.
넷째, 간호과정은 결과(목표)중심적이다. 대상자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건강 회복을 위한 목표와 기대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간호중재를 선택한다. 즉, 간호수행은 목표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일화적이거나 산발적이 아닌, 대상자의 목표 달성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다섯째, 간호과정은 보편적 적용 가능성이 있어 어떤 환경에서 어떤 대상자를 만나더라고 적용 가능한 가치있는 도구를 지니고 있다.
여섯째, 간호과정은 융통성이 있다. 간호과정이 단계에 따라 진행하지만 필요하다면 모든 단계에서 사정하고 판단하며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달라져야 할 사항이나 불충분한 경우 더 나은 결과를 위해 계속적으로 변경해야 한다.
일곱째, 간호과정은 인지적 사고과정이다. 간호과정은 단순히 정해진 틀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과정은 체계성, 역동성, 대상자 중심, 결과중심, 보편적 적용 가능성, 융통성, 인지적 사고과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실무의 근간이 된다.
1.4. 간호사정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자료를 수집, 확인하며 의사소통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효과적이고 포괄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한다.
간호사가 하는 사정은 의학적 사정과는 중복되지 않는다. 의학적 사정은 신체검진, 임상병리 검사, 방사선 검사 등 병리적 상태에 중점을 두어 자료를 수집한다. 반면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즉, 대상자의 기본 욕구 충족능력,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 등이 대상이 된다.
간호사정 시 고려해야 할 자료의 기록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는 객관적, 주관적 자료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자료는 포괄적이고 완전해야 하며 누락이 없어야 한다. 셋째, 문장은 간단명료하게 기록해야 한다. 넷째, 정확한 문법과 표준용어, 약어를 사용해야 한다. 다섯째, 판독하기 쉬운 글씨체로 기록해야 한다. 여섯째, 필요한 즉시 검색할 수 있도록 제목을 붙여야 한다. 일곱째, 주관적 자료는 가능한 한 대상자의 표현 그대로 인용해야 한다. 여덟째, 자료는 사실 그대로 기록하고 해석은 자제해야 한다. 아홉째,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간호사정의 첫 단계는 간호력을 작성하는 것이다. 간호력은 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주관적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간호력의 기본 구성요소에는 주호소, 현재 질병 또는 건강문제, 과거력, 가족력, 환경력, 심리사회적 문화적 이력, 계통별 문진 등이 포함된다. 면담은 상호작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간호사에 의해 지나치게 통제되어서는 안 된다.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개별화된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간호사정 과정에서 대상자의 건강요구와 강점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1.5. 간호력 작성
간...
참고 자료
오미성 외 12인 (2018), 성과기반 지역사회 간호학, 퍼시픽북, 839-842p
왕명자 외 13인 (2010), 지역사회간호학 총론 제 5판, 565-575P
OO광역시 교육청
(2023.04.06. 접속)
OO광역시 교육청
(2023.04.06. 접속)
박선혜 기자 『초·중학생 10명 중 1명 척추측만증 앓고 있어』, Medical Observe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112 (2023.04.06.접속)
신윤희 기자 『우리 아이들 공부하고 뛰어노는 공간이 위험하다...초등학교 3곳 중 2곳서 유해중금속 기준치 초과검출』, 매일안전신문
https://m.idsn.co.kr/news/view/1065595029621585 (2023.04.07.접속)
전승엽 기자 『"초중고생 13% 정신건강 적신호"』,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090822054000004 (2023.04.07.접속)
남경민 기자 『스쿨존 안에 깜박깜박 신호등..위험성 논란』, 서경방송
https://m.iscs.co.kr/ch8/?bct=03&mct=01&sct=01&seq=178966 (2023.04.07.접속)
강동삼 기자 『들개의 역습… 중산간마을 주민들이 떨고 있다』, 서울신문
https://m.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307500069 (2023.04.07.접속)
네이버 지식백과 – 서동초등학교 이미지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74557&cid=40942&categoryId=37404 (2023.04.07.접속)
정미숙 기자 『학교 유리창문이 위험하다』, 대한뉴스
http://www.d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073 (2023.04.07.접속)
『2021년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분석』, 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학교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 관리 매뉴얼 6차 개정판』, 교육부
학교보건법 시행령
http://www.yeslaw.com/lims/front/page/fulltext.html?pAct=view&pPromulgationNo=114348(2023.04.07.접속)
김민정 기자, 『[들개의 습격]① 주인 잃고 맹수가 된 개들… 인간을 위협하다』,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1/06/21/452XRSQHVRBHTACK5XZIKPDE3I/(2023.04.07.접속)
김지연 기자, 『초등생 30% "코로나 이후 불안해져"…중고생 40% "공부 걱정↑"』,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12125900530 (2023.04.08.접속)
이정희 기자, 『소아비만, 치료하지 않으면 아이의 키 성장 방해할 수 있어』, 건강다이제스트
http://www.ikunk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2506 (2023.04.08.접속)
김재범 기자, 『“10살 자세가 여든까지…성장기 때부터 척추건강 챙겨야”』, 스포츠동아
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230328/118550786/2 (2023.04.08.접속)
『학교안전분석 통계』, 교육부, 학교안전공제중앙회
박일호, 정진주, 『학교안전사고 실태분석을 통한 건축계획적 시설기준 개선에 관한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동권 제 87호, 2012년 3월
이경희, 김은자, 김상남, 주세진, 양승희, 정윤회 외(2021). 정신건강간호학 제2판 수정판. 정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