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역량강화 대해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역량강화
1.1. 사회복지실천의 역량강화 개념
1.2. 역량강화의 3가지 차원
1.3. 역량강화의 특징
1.4. 역량강화의 단계
1.4.1. 대화단계
1.4.2. 발견단계
1.4.3. 발전단계
2. 임파워먼트 모델의 개념과 적용
2.1. '임파워먼트 모델'에 대한 설명
2.1.1. 임파워먼트 모델이 가진 기본 전제
2.1.2. 임파워먼트 모델의 개념
2.1.3. 임파워먼트 모델의 실천원칙
2.2. 암환자에게 적용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2.2.1. 프로그램명 및 배경
2.2.2.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2.2.3. 프로그램 과정 및 방법
2.2.4. 프로그램 기대효과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강점관점
3.1. 강점관점 개념적 정의
3.2. 강점관점 사례관리
3.2.1.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의 개념
3.2.2. 사례관리의 실천과정과 목적
3.3. 강점관점의 긍정적 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역량강화
1.1. 사회복지실천의 역량강화 개념
과거 사회복지실천이라는 것은 '돕는다'라는 것을 클라이언트를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정작 당사자인 클라이언트는 계획과정이나 의사결정에 제외되어 클라이언트를 더욱 무력하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역량강화'라는 개념은 사람은 누구든지 본인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단순히 사회복지의 수혜자가 아닌 문제해결에 적극적인 참여자로 보고 사회복지사는 도움이 필요한 클라이언트가 본인의 문제 상황을 해결해 나가는 데에 본인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강점을 파악하고 활용 및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도움이 필요한 클라이언트가 본인의 잠재되어있던 능력을 개발하고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클라이언트 본인의 효능감을 증진시킨다. 또한 새로운 기술개발, 무기력함의 원인에 대해 본인 스스로 비판적 자각을 할 수 있도록 발달시킨다. 나아가 지역사회에의 참여를 확대시키고 헌신감을 증진시키며 본인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역량이 강화되는 과정과 역량이 강화된 최종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역량이 강화된다는 것은 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개인적, 대인관계적, 사회정치적 권력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2. 역량강화의 3가지 차원
역량강화는 개인적 차원, 대인관계적 차원, 정치적 혹은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일어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은 개인의 역량, 지배감, 강점, 변화능력을 포함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대인관계적 차원에서는 다른 사람에 관한 영향력을 의미하며, 다른사람과의 관계에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방적으로 주거나 받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환하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사회구조적 차원(정치적, 환경적)은 자조노력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제도를 다룬다. 정치적 혹은 사회적 상황과 같은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사회구조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얻고 힘을 얻는다. 정치적 혹은 사회적 수준에서 자원의 창출은 그 사회의 모든 개인에게 힘을 부여한다.
1.3. 역량강화의 특징
역량강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가 가진 문제보다 클라이언트의 잠재적인 역량과 강점을 강조하고 있다.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환경적 자원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양상시키기 위한 해결중심의 접근을 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가의 전문성보다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클라이언트의 어려움을 체계의 결함이 아닌 개인의 역량과 환경적 요구 사이에서의 불일치에서 발행한다고 보아 클라이언트가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파악하여 활용하는 것을 중시하는 환경에 대한 접근 요소가 강하다. 클라이언트 자기 자신을 문제의 전문가로 인정하고 클라이언트와 주변 환경에 있는 강점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난을 피한다.
1.4. 역량강화의 단계
1.4.1. 대화단계
대화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관계가 협력적 파트너로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상황과 감정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를 요구하며 이러한 대화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상황에 대한 생각을 보여주고 사회복지사는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강점을 파악한다"" 대화단계에서는 수용, 존중, 신뢰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상호간의 파트너십을 형성한다"" 각자의 역할을 정하고...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교안), 해밀원격평생교육원(2024년 1학기)
이윤로, 『최신 사회복지실천론』학지사, 2006
Brenda Dubois 외, 『사회복지실천 1 : 역량강화 전문직의 관점과 역할』, 박영사, 2022.
네이버 블로그 ‘박순오목사의 세상보기’ -역량강화모델
https://blog.naver.com/vision242/222474607385l
드림원격평생교육원 : “의료사회복지론 교안”
국립암센터, ‘심리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https://www.ncc.re.kr/main.ncc?uri=ncc_socialwelfare03
삼성서울병원, ‘성인암 개별상담 및 교육’,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SWK&MENU_ID=002006004
도서: 김선정,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실천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논문, 2013.
도서: 김수영, 「보편적 인권과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12.
도서: 민소영.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 영유아 빈곤가정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연구, 2012.
도서: 박선영, 「강점관점 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사회과학논총 제30집 1호, 2011.
인터넷: 네이버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