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무자극검사(Non Stress Test)
1.1. 정의 및 목적
무자극검사(Non-Stress Test)는 비침습적인 검사방법으로써 태아의 심장박동에 대한 반응을 통해 태아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태아의 심박수가 적절하게 증가하는지, 산부의 자궁수축은 정상적인지를 확인하여 태아의 건강 상태와 자궁 수축의 상태에서 태아가 견디어 낼 수 있는 예비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고위험군 임신에서는 분만유발의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는데도 이용된다.
1.2. 검사과정
NST의 검사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상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검사에 앞서 화장실을 다녀올 것을 교육한다. 일반적으로 NST 검사는 20분 동안 진행되지만, 필요에 따라 40분 또는 1시간 동안 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실제로 대상 병원에서는 30분 동안 NST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시 임부는 반좌위 또는 우측위를 취하고, 왼쪽 복부를 약간 낮추어 복부를 경사지게 한 후 복부를 노출시킨다. 이후 태아 외부전자 모니터기를 임부의 복부에 부착하고, 자궁수축 변환기는 자궁저부를 촉진하여 자궁저부에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에게 태동이 있을 경우 자가작동장치를 직접 눌러야 함을 교육한다."이다.
1.3. 해석
NST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태동 검사의 결과지는 그래프로 출력된다. 중간에 보이는 검정 화살표는 산모가 태동을 느낀 시점에서 산모가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가 된다. 그리고 그러한 태동이 있을 때마다 그래프 상단에 보이는 태아 심박동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선의 상승 곡선을 확인할 수 있다. 검사는 두 가지로 기록이 된다. 반응(Reactive)은 20분 이내에 2번 이상의 태아 심박수 상승, 즉 태아 심박이 기준선 보다 15bpm 이상으로 상승하여 15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이다. 무반응(Non Reactive)은 20분 동안 태아 심박이 기준선보다 15bpm 이상 상승하지 않거나, 15초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경우, 간헐적으로 자궁이 수축하는 동안 후기 감퇴가 있는 경우, 상승이 없을 때(하강 후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음) 등이다. 이때는 초음파검사 등의 추가 검사를 시행하여 정밀하게 태아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2. 제왕절개술
2.1. 정의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다음 네 가지의 경우가 전체 제왕절개 분만의 80% 이상의 원인이다. - 이전 임신에서 제왕절개 분만을 한 경우 - 태아 위치 이상: 태아가 두위(머리가 산도를 향해 있는 것) 이외의 다른 자세로 있는 경우 - 태아 곤란증(fetal distress): 태아가 자궁 내에서 저산소혈증이나 산증으로 인해 태아 심장박동의 이상이 있는 경우 - 난산(dystocia): 정상적인 분만 진행 과정을 넘어서 지연되는 경우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경우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하다. - 전치 태반: 태아가 나와야 할 산도를 태반이 막고 있는 경우 - 모체 감염: 분만 당시의 생식기 헤르페스(herpes) 감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과 같은 감염의 경우 자연 분만에 의해 태아 감염의 가능성이 있어 제왕절개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일부 태아 기형: 신경과 결손, 심한 뇌수종,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근골격계 질환, 태아 복벽 결손과 같은 경우 제왕절개 분만을 할 수 있다.
2.2. 준비사항
제왕절개술을 위한 준비사항은 다음과 같다.
금식은 수술 중의 역류 등에 의한 흡인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막기 위해 수술 전 6~8시간 정도 금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혈액 검사로는 일반혈액검사(빈혈, 혈소판 수, 백혈구 수), 혈액형 검사, 혈액 응고 검사를 시행하며, B형 간염, 매독과 같은 전염병의 검사도 함께 시행한다.
X선 검사의 경우 전신 마취의 가능성이 항상 있으므로 흉부 X선 검사를 통해 호흡기계 질환의 유무를 판단한다.
심전도 검사는 다른 수술과 마찬가지로 심장 기능 이상의 평가를 위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예방적 항생제 투여는 수술 전에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 수술 후 감염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 시행한다.
정맥수액주사는 자연 분만과 제왕절개 분만은 출혈이 많은 수술 중의 하나로, 항상 수혈의 가능성이 있으며, 과다 출혈에 대비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맥수액 요법과 수혈이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마취는 척추 마취, 경막 외 마취, 전신 마취 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