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관찰사례및관찰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관찰 및 행동 연구방법
1.1. 관찰법의 이해
1.1.1. 관찰법의 정의
1.1.2. 관찰법의 특성
1.2. 서술식 관찰법
1.2.1. 일화기록법의 절차와 방법
1.2.2. 일화기록법의 실제 사례
1.3.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방법론
1.3.1. 조사연구
1.3.2. 사례연구
1.3.3. 실험연구
1.4. 아동 관찰 및 평가 방법 적용 사례 분석
1.4.1. 수면장애 아동 사례
1.4.2. 평가 방법 적용 및 개선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관찰 및 행동 연구방법
1.1. 관찰법의 이해
1.1.1. 관찰법의 정의
관찰법의 정의는 "특정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다. 관찰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유아교육에서의 관찰은 유아의 행동, 그 이면에 대한 이해, 발달 상황과 중요한 학습의 순간, 사고와 감정에 대한 정보와 단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찰은 모든 흥미 영역에서의 놀이, 활동, 실내공간, 견학, 행사, 일과의 모든 시간에서 영유아가 나타내는 반응이나 행동을 골고루 포함해야 하며, 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의 모든 영역에서 관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1.1.2. 관찰법의 특성
관찰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법은 실제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실험실 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피관찰자의 행동을 기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관찰법은 단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행동의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관찰법은 피관찰자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므로, 피관찰자의 자기 보고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관찰자의 진실된 행동을 파악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넷째, 관찰법은 상대적으로 실험연구에 비해 적은 비용이 소요된다. 연구자가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면 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관찰법은 연구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관찰 대상, 관찰 시간, 관찰 장소 등을 연구 목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찰법은 다른 연구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관찰 결과를 실험연구나 사례연구 등과 함께 분석하면 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2. 서술식 관찰법
1.2.1. 일화기록법의 절차와 방법
일화기록법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떤 일화나 사건이 발생한 후 될 수 있는 대로 즉시 기록해야 한다. 둘째, 관찰대상 유아의 행동과 말을 구별해서 기록한다. 셋째, 일화기록지에 관찰날짜, 관찰 시간, 관찰 장소, 관찰 장면, 관찰 아동의 이름, 생년월일, 관찰자 등을 반드시 기록한다. 넷째, 관찰대상 유아의 행동과 언어를 기록할 뿐 아니라 그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의 반응도 기록한다. 다섯째, 일화가 일어난 순서대로 기록한다. 여섯째, 대상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관찰대상 유아가 사용한 말을 그대...
참고 자료
송연숙, 정혜영, 유수경 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창지사, 2019
고인숙 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교육아카데미, 2018
김혜윤 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양서원, 2018
최영희 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공동체, 2017
성미영, 전가일, 정현심 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학지사, 2017
안윤영 외 1, 수면장애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9, 127-14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