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영양학 체질량지수 계산 및 허리둘레 측정 판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질량지수 계산 및 허리둘레 측정
1.1. 체질량지수 계산식과 수치 제시
1.2. 허리둘레 측정 결과 제시
1.3. 비만 및 복부비만 여부 판정
2.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 위험도
2.1.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 위험도 설명
2.2.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위험도 설명
2.3.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 질환 위험도 평가
3. 위장관계 비만 동반 질환
3.1. 위장관계 비만 동반 질환 목록
3.2. 위식도 역류질환(GERD)의 원인, 예방 및 치료 영양관리방법
4. 비만치료제 사용 후 요요 현상 극복
4.1. 비만치료제 사용 시 요요 현상 발생 가능성
4.2. 요요 현상 극복을 위한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습관 형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질량지수 계산 및 허리둘레 측정
1.1. 체질량지수 계산식과 수치 제시
체질량지수(BMI)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비만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체질량지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BMI = 몸무게(kg) ÷ (키(m) × 키(m))
현재 레포트 작성자의 경우, 키가 1.53m이고 체중이 48kg이므로 체질량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MI = 48kg ÷ (1.53m × 1.53m) = 20.5
즉, 레포트 작성자의 체질량지수는 20.5로, 2022년 대한비만학회 기준에 따르면 정상체중 범위(18.5 ≤ BMI < 23)에 해당한다.
1.2. 허리둘레 측정 결과 제시
허리둘레 측정 결과는 26인치(약 66cm)이다. 대한비만학회 2022년 기준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85cm 미만이면 복부비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당 여성의 허리둘레는 복부비만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
1.3. 비만 및 복부비만 여부 판정
여성의 경우, 복부비만은 허리둘레가 85cm 이상일 때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시된 여성의 허리둘레가 66cm로 정상 범위에 속하므로 복부비만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해당 여성의 체질량지수가 20.5로 정상 체중 범위(18.5-22.9)에 속하므로 비만도 아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 여성은 비만 및 복부비만 상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할 수 있다.
2.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 위험도
2.1.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 위험도 설명
BMI에 따른 비만 위험도 설명은 다음과 같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대한비만학회에서는 정상체중을 BMI 18.5 ~ 22.9로 정의하고 있다. BMI가 23 ~ 24.9인 경우 과체중, 25 ~ 29.9인 경우 1단계 비만, 30 ~ 34.9인 경우 2단계 비만, 35 이상인 경우 3단계 비만(고도 비만)으로 구분된다.
각 BMI 단계에 따라 비만 관련 질환에 걸릴 위험도가 달라진다. 특히 BMI가 25 이상일 때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의 비만 관련 질환 발병 위험이 급격히 증가한다. BMI가 높을수록 이러한 질환의 위험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BMI를 기준으로 볼 때 정상체중에 비해 과체중, 1~3단계 비만 순으로 비만...
참고 자료
공용, 2022, 임상영양학, ‘2022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22년 19세 이상 성인의 성별, 연령별 비만 유병률을 조사하여 제시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안창욱, 2019, 의료복지뉴스, 20년간 흡연율 감소·비만 유병률 증가
보건복지부·한국영양학회 (2022). 2022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22). 2022 국민건강통계
김은경, 2023. 아동 및 청소년 비만 : 한국식품영양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임세형, 2023, 더모스트, 청년층 비만 유병률 두꺼워진다
최봉순, 이인숙, 신한슬 KOREAN J. DIEARY CULTURE 1998, 비만아동들의 식습관 및 과식 조절 정도에 따른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구재옥, 김경원, 김창임, 박동연, 박혜련, 윤은영. 영양교육의 이론과 실제, 파워북, 2012
미국간재단(American Liver Foundation),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https://liverfoundation.org/
대한간학회,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지침, 2013년 8월
대한비만학회,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요약(제8판), 2022년
곽호경, ‘임상영양학’ 강의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