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가족상담 및 치료는 가족원 개인의 부적응, 대인관계 문제, 가족원 간 갈등과 가족 역기능 문제 해결을 위해 가족체계를 변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전적으로는 개인의 심리적 장애, 문제가 가족 사이에 발생하는 부적응으로 나타난다고 전제하여 사족 간 상호작용에서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부적응 현상을 치료하는 집단치료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족상담및치료는 다양한 모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 가족치료, 이야기치료 이론 등이 사용된다. 본론에서는 이중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이론에서 주요 치료 기법을 설명하고 강의에서 소개된 사례에 치료기법을 적용하도록 할 것이다.
2. 가족상담 및 치료 개요
2.1. 가족상담 및 치료의 개념
가족상담 및 치료의 개념은 "가족원 개인의 부적응, 대인관계 문제, 가족원 간 갈등과 가족 역기능 문제 해결을 위해 가족체계를 변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상담 및 치료는 개인의 심리적 장애나 문제가 가족 사이에 발생하는 부적응으로 나타난다는 전제 하에, 가족 간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적응 현상을 치료하는 집단 치료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2. 가족문제와 치료 접근의 필요성
가족문제와 치료 접근의 필요성은 최근 가족 형태의 다양화와 사회 변동으로 인해 가족구성원 개개인과 가족 전체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고 가족 해체 현상이 나타나면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족 내 다양한 갈등과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가족상담 및 치료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개인 중심의 상담과 치료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최근에는 가족 전체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 내 상호작용과 역동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가족상담 및 치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개인의 문제가 가족 내 관계와 상호작용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족체계와 가족 환경을 이해하고 이에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은 개인에게 중요한 지지체계이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이 되므로, 가족 중심의 상담과 치료를 통해 개인과 가족의 기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족상담 및 치료는 가족체계와 역동에 개입하여 가족문제를 해결하고 가족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3.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이론
3.1. 보웬 이론의 주요 개념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differentiation of self)이다. 자아분화는 감정과 이성의 분리 정도를 의미하며, 개인이 얼마나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이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자아분화가 높은 사람은 감정과 이성을 잘 조절할 수 있지만, 자아분화가 낮은 사람은 감정에 압도되어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기 어렵다."
둘째, 투사 가족과정(family projection process)이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부모 자신의 문제를 투사하는 과정으로, 부모의 낮은 자아분화 수준이 자녀에게 전달되어 자녀의 부적응을 초래하게 된다."
셋째, 다세대 전이(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이다. 이는 자아분화 수준이 여러 세대에 걸쳐 전이되는 현상으로,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과정을 말한다."
넷째, 삼각관계(triangulation)이다. 이는 두 사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제3자를 개입시키는 방식으로, 부모-자녀 간 삼각관계, 부부 간 삼각관계 등이 형성된다. 삼각관계는 가족 구성원 간 정서적 거리를 좁히고 불안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가족 구성원 간 유대감을 약화시킨다."
다섯째, 정서적 단절(emotional cutoff)이다. 이는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