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서울삼육중학교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서울삼육중학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방과후학교와 학교교육
1.1. 방과후학교의 개념
1.2. 방과후학교의 목표 및 교육적 효과
1.3. 방과후학교의 변천 과정
1.4.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현황

2. 서울삼육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분석
2.1. 서울삼육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구성
2.2. 서울삼육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

3. 대현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분석
3.1. 대현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구성
3.2. 대현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

4. 나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구상
4.1. 프로그램명, 대상, 주차별 구성 내용
4.2. 프로그램 선택 이유 및 구성 상 강점

5. 청소년 관련 시설
5.1. 서울시 동대문구의 청소년 관련 시설
5.2. 청소년 관련 시설의 사업 내용

6. 학교사회복지 실천
6.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목적, 개념
6.2. 전동중학교의 지리적·사회적 특성
6.3. 전동중학교의 학교사회복지 대상과 지원 내용
6.4. 전동중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 방안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방과후학교와 학교교육
1.1. 방과후학교의 개념

방과후학교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를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인성·창의성 계발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하기 위해 기존의 운영 주체, 교육 주체, 교육 대상, 교육 내용, 교육 장소 등을 확대·개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혁신적 교육체제라고 정의한다. 둘째, 방과후학교는 학교 안의 또 다른 학교의 시행을 의미하는 동시에 정규 교육과정 시간 이후에 교육 수요자가 교육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 교육활동으로 운영 관리, 지도 강사, 교육 대상, 교육비, 교육 장소, 운영 시간, 프로그램 등을 자율화, 다양화, 개방화하여 운영하는 교육체제라고 정의한다. 셋째, 방과후학교는 단위학교에서 유·초·중등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수익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실시하는 학교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제반 공식적인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한다. 넷째, 방과후학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승인하에 학교장 또는 외부위탁기관이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정의한다. 다섯째, 한국교육개발원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하여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학교계획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학교 교육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1.2. 방과후학교의 목표 및 교육적 효과

방과후학교의 목표 및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방과후학교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하여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학교 계획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학교 교육활동을 말한다. 초중등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또는 방학 중 프로그램을 개설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원칙으로 한다'고 제시되어 있어, 방과후학교가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방과후학교의 4가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것으로 학교와 학급, 학생발달 여건에 맞춘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사교육에 맞설 수 있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며 과다한 사교육비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다. 둘째로 계층 간의, 지역 간의 교육 격차를 완화 및 해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적 소외자에게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는 권리를 확대하고 취약한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 지원을 강화하여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로 지역사회, 교육기관들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운영주체를 확대 및 개방시킨다. 학교장 이외의 외부 기관들, 즉 대학과 비영리법인 단체에 의한 위탁 운영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운영주체를 중심으로 방과후학교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 넷째로는 행정과 재정지원을 강화하는 것으로 방과후학교 지원센터의 역할과 시도교육청 책무성을 신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과후학교의 목표는 소외되는 현상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의 재능과 잠재력을 조기 발견하게 하고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정규수업이 끝나고 이루어지는 추가적인 학습 활동이기에 기존의 교육과정의 기능을 보충한다. 방과후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선택권이 보장되고 흥미와 욕구가 충족될 수 있다. 학생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개설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생들은 수업에 자발적으로 즐겁게 참여하여 만족도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며 내재되어 있는 재능과 적성을 표출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바로 방과후학교 활동이다.


1.3. 방과후학교의 변천 과정

우리나라의 방과후 교육활동은 특별활동, 야간자율학습, 조조수업, 체험학습, 외부 협력 과외활동, 자원봉사 단체활동 등을 중심으로 출현되어 정규수업 이후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성인문해교육, 입시 준비 보충 교육을 들 수 있으며 이후 과외교육 전면 금지, 학교 보충수업 폐지, 학교 내 집단 예·체능 실기지도 허용, 학교 보충수업 부분 허용, 학교 보충수업 학교장에 일임, 보충·자율학습 폐지, 특기·적성교육으로 대체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1995년 5월 31일, 당시 대통령자문기구인 교육개혁위원회에서 방과후학교 등에 관한 혁신적 교육체제를 발표하였다.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특히, 교육복지국가를 건설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현하고자 '개인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교육 방법'의 맥락에서 방과 후 교육활동이 창안되었다.

1996년 교육부의 방과후 교육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기존의 '특기·적성 계발 활동'과 '보충·자율학습'을 포함하여 과외교육을 학교 안으로 흡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과외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1997년 6월 2일 교육개혁위원의 '과외 대책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으로 유아와 초등 저학년 대상으로 방과후 탁아 기능과 방과후 아카데미, 지자체가 운영하는 예·체능 아카데미 등을 포함시켰다.

1998년 10월 교육부의 '교육비전 2002: 새학교문화 창조 방안'에서 특기· 적성교육의 역할을 강조하여 방과후 교육활동을 특기·적성교육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이때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을 단계적으로 폐기하기 시작하였다. 1999년 3월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으로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내실화 방안이 마련되었으며 이때 교육적 균등 차원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지원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2000년 4월 헌법재판소는 과외 금지에 대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이유로 위헌 결정을 내려 방과후학교 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기존의 '특기·적성 계발 활동'과 '보충·자율학습'을 포함한 방과후학교가 제시되었다. 2004년 사교육을 공교육으로 흡수시키기 위해 교육부에서 「2·17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하여 수준별 보충학습, 특기·적성교육, 초등 저학년 방과후교실 운영으로 기존의 방과후 교육 활동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방과후학교 정책의 출발점이 되는 시기로 12월에 '방과후학교 운영 기본 계획'을 발표하였다.

2005년에는 기존의 특기·적성교육, 방과후교실, 수준별 보충학습 등으로 운영되는 것을 방과후학교로 명칭을 통합하여 재편하였고 전국의 48개 초· 중·고등학교에서 시범 운영하였다. 2006년에는 교육복지 실현, 사교육비 경감, 학교의 지역사회화 등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율성·다양성·개방성이 확대된 혁신적인 교육체제로 방과후학...


참고 자료

최태호(2015). 한국의 방과후학교 정책: 정책변동의 관점. 방과후학교 정책과 행정지원체제: 평가 및 발전 방향.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5 연차학술대회자료집. 9-34.
강선나(2016). 방과후 특기적성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 영역별 연계 프로그램개발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화.(2015).방과 후 학교 실태분석과 발전과제 :학부모 요구분석을 중심으로.청소년학 연구,17(4),241-262.
이은화,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운영 및 개선방안에 대한 강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20.
박미림(2016).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통한 즐거움이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순달(2014).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 교육욕구 분석.한국 초등교육11(1).서울:서울대학교초등교육 연구소
김연희,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018.
시립 동대문 청소년센터 ( www.ddmy.or.kr )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2018 동대문 아동청소년 페스티벌’ 개최 밝혀
-2018.10.05., 시사매거진-
3.1운동 100주년 기념 서울특별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3.1절 행사 ‘Remember 1919’ 개최
-2019.02.27., 한국강사신문-
동대문 교육복지센터 – ( www.ddmeducenter.net )
동대문교육복지센터, 「2022년 서울형 교육복지사업 교육복지 일반학교 사업운영 안내」, 2022.
동대문교육복지센터 홈페이지, http://www.ddmeducenter.net/
서울경제,「축제의 場 훼손" vs "학교폭력 탈출 」, https://v.daum.net/v/20120208161730539
서울신문,「일상 회복’ 한걸음 더 가는 학교 “등교 두려운 학생 마음 다독여야」,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623022018
울산매일TV,「울산 학교부적응 학생 급증 대책 마련필요」,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9453
이종익,「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 운영현황과 활성화 방안」,「학교사회복지」, 2021, 56, p.107-129.
이효선,「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교 내 교사와 사회복지사 간의 협력 의미에 관한 재구성 연구」,「비판사회정책」, 2008, 61, p.163-213.
전동중학교 홈페이지. https://jeondong.sen.ms.kr/index.do
참여연대,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 「월간복지동향」, 2005.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 https://kassw.or.kr/page/s1/s2.ph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