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어비앤비 경영 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에어비앤비 소개
1.1. 에어비앤비 개요
1.2. 에어비앤비 기업철학
1.3. 에어비앤비 창업히스토리
2. 에어비앤비 기업환경분석
2.1. 경제적 환경
2.2. 기술적 환경
2.3. 사회문화적 환경
3. 에어비앤비 서비스전략 분석
3.1. 호스트서비스 전략
3.2. 게스트서비스 전략
4. 에어비앤비 경영전략
4.1. Operand resource → Operant resource
4.2. Resource acquisition → Resourcing
4.3. Goods & Service → Servicing & Experiencing
4.4. Supply chain → Value creation Network
5. 에어비앤비 마케팅전략
5.1. SWOT분석
5.2. STP 분석
5.3. 마케팅믹스 4P
6. 에어비앤비 수익구조
7. 향후발전방향 제언
8. 결론 및 시사점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에어비앤비 소개
1.1. 에어비앤비 개요
에어비앤비(Airbnb)는 2008년 비싼 샌프란시스코의 월세를 고민하던 브라이언 체스키와 조 게비아가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디자인 콘퍼런스 참가자들에게 요금을 받고 거실을 빌려준 것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콘퍼런스 참가를 위해 샌프란시스코 방문객에게는 비싼 호텔 비 걱정을 덜 수 있어 호응도가 좋았고, 이를 사업모델로 하여 창업한 것이 바로 현재 세계 최대의 숙박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어비앤비'이다.
에어비앤비는 자신의 방이나 집, 별장 등 사람이 지낼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임대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호스트는 자신의 공간을 홈페이지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게재하면 공간이 필요한 게스트가 이를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숙박요금은 숙박을 제공하는 주인이 정하며, 에어비앤비는 숙박 예약을 중개하고 약 6~12%의 수수료를 받는다. 2013년 기준으로 192개국 3만 4000여 개 장소에 대한 숙박을 중개하고 있으며, 2초당 한 건 씩 예약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에어비앤비가 운영하는 방 개수만 2,000,000개에 달하며, 누적 게스트 수는 약 7천만 명에 달한다. 이러한 에어비앤비는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공유경제'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 중 하나이다.
1.2. 에어비앤비 기업철학
에어비앤비의 핵심 철학은 공동체 의식과 따뜻한 환대에 있다. 지난해 가을 미국 뉴욕 시를 강타한 허리케인으로 이재민이 발생했을 때 에어비앤비를 이용하던 사람들은 무료로 자신들의 집(총 1,200여 채)을 내놓아 이재민을 받아줬다고 한다. 이처럼, 에어비앤비가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공동체 의식과 따뜻한 환대에 있다. 에어비앤비의 CPO 조 게비아는 에어비앤비를 '첨단 기술과 멋진 디자인, 그리고 따뜻한 공동체의 조화'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에어비앤비의 기업철학이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공감과 신뢰를 얻으며 공유경제 플랫폼 시장을 선도할 수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1.3. 에어비앤비 창업히스토리
에어비앤비의 창업 역사는 다음과 같다.
2008년 창업한 에어비앤비는 무일푼으로 시작해 백만장자가 된 실리콘밸리의 전형적인 신화다. 샌프란시스코에 갓 입성해서 비싼 월세에 고생하던 브라이언 체스키와 조 게비아(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는 생활비를 보태보자는 생각으로 시내에서 콘퍼런스가 열리는 기간에 자신들이 사는 아파트에 에어 매트리스(airbed) 3개를 놓고 손님들에게 빌려줬다. 그리고 이 매트리스 이용객에게 아침 식사(Breakfast)까지 제공하는 이른바 '민박' 사업을 시작했다. 비공식적인 계약은 에어베드앤브렉퍼스트닷컴(Airbedandbreakfast.com)이라는 웹사이트로 발전했다.
사업이 처음부터 순조롭게 풀린 것은 아니었다. 디자이너 출신인 브라이언 체스키 CEO는 전형적인 엔지니어라고는 볼 수 없었다.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은 비정통적인 사업 모델을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바라봤다. 이 신생기업은 회사 문을 닫지 않고 근근히 버텨볼 요량으로 당시 대선후보였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존 매케인 상원의원 캐릭터를 그린 시리얼 박스를 디자인해서 판매했다. 시리얼 박스는 수만 달러의 수익을 안겨줬다.
실리콘밸리 인큐베이터의 하나였던 '와이 컴비네이터'를 창업한 폴 그래험은 두 사람의 아이디어에 깊은 인상을 받고, 2009년 자신의 프로그램에 두 사람을 합류시켰다. 이후 에어비앤비는 성공가도를 달리게 된다.
2. 에어비앤비 기업환경분석
2.1. 경제적 환경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를 의미하는 '공유경제'의 전 세계 시장규모가 2025년까지 33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실질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에, 국제 금융기구 IMF가 제시한 세계 경제 성장률은 2016년 기준 3.6%에서 3.4%로 하향조정 하였고, 내년 경제성장률 또한 3.8%에서 3.6%로 하향 조정되는 등 지속적인 불경기로 인해 대중들의 소비심리가 더욱 위축되고,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공유경제를 실현하고 있는 에어비앤비의 이용자가 더욱 증가할 것이고, 특히 내구성이 적은 일반적인 소비재와 달리 에어비앤비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집, 별장 등과 같은 숙박시설을 공유경제 속에서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그 가치는 누적되어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2. 기술적 환경
IT기술과 SNS의 발달로 개인 간 거래와 타인에 대한 신뢰 평판 조회 등 협력적 소비수단이 편리해져 다양한 공유경제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SNS가 활성화되고 네트워크는 기존 오프라인의 한정된 범위 연결 관계에서 관심사만으로 새로운 연결 관계가 형성되기도 하는 잠재적 관계의 범위로 확장되었다....
참고 자료
에어비앤비 홈페이지
에어비앤비 블로그
DOUGLAS MACMILLAN and MIKE SPECTOR
월스트리트저널 , 에어비앤비, 기업가치 100억 달러 클럽 합류 임박 , 21. March 2014 , Evelyn M. Rusli
B블로터 , 에어비앤비, 4억5천만달러 투자 유치 , 2014.04.21. , 권혜미
venturesquare , 공유경제를 이끌어가는 신개념 숙박네트워크 , 2012/02/17 , 정지훈
Botman. R., & Rogers, Roo. (2011), 위 제너레이션 : 다음 10년을 지배할 머니코드(이은진 역), 파주 푸른숲. (원서 출판 2010)
안희자, (2004), 에어비앤비(airbnb)의 성과와 정책적 시사점, ·「KCTI 가치와 전망_39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희진, 최병주, (2015), 구전효과를 위한 O2O 기반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방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403-413
김점산, 지우석, 강상준, (2014),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미래와 성공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