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핵심인재 확보 전략
1.1. 기업 성쇠를 좌우하는 핵심인재
핵심인재 확보 경쟁(War for Talent)의 시대
요즘과 같이 변화가 격심한 시대에는 비전과 활력을 지닌 소수 정예 인재가 특히 중요하다.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경영환경하에서는 핵심 인재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핵심인재들은 전문적 과업능력과 열정을 겸비하고 조직의 혁신을 주도할수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핵심인재의 유입과 유출이 향후 기업경쟁의 판도를 좌우한다. 핵심인재들을 유인할 수 있는 기업은 번창하지만 그렇지 못한 조직은 급속히 쇠퇴한다. 한국의 경우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해외유출이 대만, 싱가포르 등 경쟁국 수준보다 높은 실정이다.
세계 유수 기업들은 업종과 국경을 넘어서 핵심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전력을 경주하고 있다. 핀란드의 노키아는 인재의 글로벌 소싱 원칙 아래 최대의 R&D 센터를 헝가리에 설립했으며, 국내 대기업들도 차세대 핵심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 삼성은 글로벌 우수인력 유치와 국내 과학고 학생 조기 확보를, 기아차는 글로벌 마케팅 핵심인력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국내기업들은 아직 순혈주의 전통, 연공주의적 인사관리 등 과거 관행에 젖어있다. 대부분 기업이 장기포석의 인재 발굴과 육성보다는 단기적인 구조조정 성과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연봉제, 스톡옵션 등 능력과 성과에 따른 인사관리가 확산되고는 있지만, 글로벌 수준의 고급인재를 확보하는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처럼 핵심인재의 확보 및 활용 육성을 위한 기업내 별도 시스템이 마련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업 성쇠를 좌우하는 핵심인재 확보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1.2. 핵심인재의 특성
1.2.1. 전문능력
핵심인재의 전문능력이란 기존의 업무관련 노하우나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신산업과 시장을 창출함으로써 조직의 주도적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단기적으로는 기존 제품의 원가절감, 시장점유율 확대 등이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쟁의 틀 자체를 바꾸는 전략적 역량이 핵심이다. 세계적으로 엘리트 인재 유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도기업들은 핵심인재의 전문능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핵심인재의 전문능력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첫째, 기존 경험과 지식을 뛰어넘는 통찰력으로 산업 전반의 흐름과 변화의 징조를 정확히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전략적 사고를 바탕으로 미래 핵심 사업을 예측하고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처럼 핵심인재에게는 단순히 기존 제품과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을 넘어서 혁신적 아이디어와 창의적 사고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된다. 단기적 성과 창출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성장과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이 핵심인재의 전문성이라 할 수 있다.""
1.2.2. 변화주도 역량
변화주도 역량이란 조직 내에 고착된 관행과 고정관념을 혁파하고 혁신적 아이디어를 관철시키는 추진력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 항상 익숙한 것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구하며, 단기적으로는 괴짜나 "문제아"로 비쳐질 소지가 있는 인재라고 할 수 있다. 모범생이나 수재형 인재만으로는 혁신이 어려우며, 한발 떨어져서 독특한 시각으로 사물을 보는 인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재들은 열정과 에너지로 충만되어 있어서 조직 전체에 이러한 열정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뛰어난 인재일수록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도전적인 과제를 선호한다. 기업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은 객관적인 환경조건이나 현재의 지식, 역량이 아니라 '해보고자 하는' 의욕의 존재 여부라고 할 수 있다."
1.2.3. 도덕성
도덕성은 핵심인재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핵심인재는 전문능력과 변화주도 역량뿐만 아니라, 투철한 가치관과 조직관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조직의 추구하는 가치와 대의명분에 공감하는 인재일수록, 조직 내에서 실력을 더욱 발휘할 수 있다.
핵심인재의 도덕성은 조직 및 고객과의 일체감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