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우리나라에서 전체 암 발생의 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4.8건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주로 성인에게 발병하는 질환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주요 원인으로는 흡연, 유전적 소인, 방사선조사, 화학약품 노출, 항암제 치료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아동기 급성 림프성 백혈병 치료력도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사례 분석을 통해 질병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OO대학교병원 O병동 혈액종양내과에 입원하신 이○○님을 대상으로 건강사정, 임상검사, 특수검사와 약물치료 등 Charting 관찰과 Chart 작성내용을 통하여 자료 수집하고 기록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이다.
1.3. 문헌고찰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백혈구의 일종인 골수구계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나타나는 악성 혈액 질환이다"" 백혈병은 단일 줄기세포의 악성 변화로부터 시작되며, 정상적인 분화와 성숙이 억제되어 미성숙 세포들이 증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세포의 수명이 길어지고 기능도 저하되어 감염에 취약해지며,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이 억제되어 빈혈과 출혈 증상이 나타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주요 원인으로는 흡연, 유전적 소인, 방사선 조사, 화학 물질 노출, 항암제 등이 알려져 있다"" 과거에 급성 림프성 백혈병 치료를 받은 경우에도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위험이 증가한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백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빈혈로 인한 피로감, 감염에 취약한 면역력 저하, 출혈 경향 등이 있다"" 또한 백혈병 세포의 장기 침윤으로 인해 간비대, 비장비대, 림프절 종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체중 감소, 발열, 신경학적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혈액검사와 골수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말초혈액에서 미성숙 백혈구가 20% 이상 관찰되거나, 골수 검사에서 모구가 20% 이상 발견될 경우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세포유전학적 검사와 면역표현형 검사 등 다양한 추가 검사를 통해 세부 아형을 분류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는 크게 항암화학요법과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이루어진다"" 관해를 유도하는 1차 치료 후에는 관해 유지를 위한 공고요법과 강화요법이 시행되며,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조혈모세포 이식이 고려된다"" 이 과정에서 감염, 출혈, 장기 침범 등의 다양한 합병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종합하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악성 혈액 질환으로,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이 나타나며 집중적인 항암 치료와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치료법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2. 증례분석
2.1. 대상자 일반정보
신OO은 20세의 남성 환자로, 2020년 7월 30일 급성 골수모구성 백혈병 진단을 받고 입원한 사례대상자이다. 신OO 환자는 체중이 59.3kg, BMI 21.05으로 정상 범위에 있는 건강한 신체 상태이다. 2020년 6월 대전 성모병원에서 pancytopenia로 내원하여 백혈병 가능성이 확인되어 OO대학병원으로 전원되었고, B-ALL 또는 AML 진단 후 항암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의 현병력은 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과 급성 골수모구성 백혈병이며, 주요 치료 및 간호로는 산소 흡입, 타조베박트램+시프로플록사신 항생제 투여, 히크만 카테터 유지, 활력징후 및 I/O 모니터링이 진행 중이다. 과거력으로는 범혈구감소증 입원 경험 외에는 없으며, 흡연력과 음주력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력에는 당뇨와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진단적 검사 결과
진단적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혈구 검사 결과, WBC는 4.18에서 0.45로 감소하여 백혈구 감소증이 관찰되었다. RBC, Hb, Hct 수치 또한 감소하여 빈혈 소견을 보였다. PLT는 115에서 48로 크게 감소하여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났다. ANC는 1.12에서 0.03으로 감소하여 호중구 감소증이 있었다. 염증 지표인 CRP가 3.39에서 19.97로 크게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PT, Fibrinogen, FDP 등의 응고 검사 결과에서도 이상소견이 관찰되어 출혈 위험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질 검사에서는 Na, Cl의 감소 소견이 보였다. 이와 같은 검사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대상자의 면역력 저하와 출혈 위험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 약물치료
대상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 하에 현재 항암화학요법인 유도요법(Ald (5+2) induction)을 진행 중이다. 항암화학요법에 따라 대상자에게 다양한 약물들이 투여되고 있다.""
항암제인 이다루비신(Idarubicin HCl)과 시타라빈(Cytarabine)이 병용 투여되고 있다. 이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관해 유도를 위한 기본적인 화학요법으로, 골수 내 백혈병 세포를 파괴하여 정상 골수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외에도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인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세페핌(Cefepime), 메로페넴(Meropenem) 등이 투여되고 있다. 이는 호중구 감소증으로 인한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함이다.""
진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칸디다 감염 치료제인 카스포펀진(Caspofungin acetate)도 처방되고 있다. 한편,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프로파세타몰(Propacetamol HCl)과 온세트론(Onsetron) 등의 항구토제도 투여되고 있다.""
이 외에도 통증 관리를 위해 트라마돌(Tramadol HCl)이, 변비 예방을 위해 락툴로스(Lactulose)와 비사코딜(Bisacodyl)이 처방되고 있다. 또한 심혈관계 약물로 아모디핀(Amlodipine Besylate), 카르베딜롤(C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