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폐렴 고체온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폐렴 고체온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렴(Pneumonia)
1.1. 정의
1.2. 원인
1.3. 병태생리
1.4. 증상
1.5. 합병증
1.6. 진단적 검사
1.7. 치료
1.8. 간호중재

2. 간호사례
2.1. 환자 정보
2.2. 평가
2.3. 간호진단
2.4. 간호계획 및 수행
2.5. 간호평가

3. 진단검사
3.1. 혈액검사
3.2. 화학검사
3.3. ABGA
3.4. 요검사

4. 약물
4.1. Saline & Dextrose
4.2. Maxibupen
4.3. Ambroxol
4.4. Ipect-s
4.5. Midazolam
4.6. Pocral Syr
4.7. Bioflor
4.8. Nafcillin Na
4.9. Cefotaxime

5. 이론적 배경과 개인사례연구 비교

6. 간호과정
6.1.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6.2. 간호과정 #1
6.3. 간호과정 #2
6.4. 간호과정 #3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렴(Pneumonia)
1.1. 정의

폐렴은 폐에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리가 호흡을 하기 위해서 공기는 코, 인두, 후두 등의 상기도를 지나 기관지, 모세기관지, 폐포 등의 하기도에 도달해야 한다. 이러한 호흡과 관계되는 기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호흡기 질환이라고 하는데 이중 폐렴은 모세기관지, 폐포 등의 기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폐렴은 호흡을 하기 위한 기관 중 가장 하부 기관에 염증이 있을 때를 말하며 호흡기 질환 중 에서 심각한 병으로 생각할 수 있다."


1.2. 원인

폐렴의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세균성 폐렴이다.

세균성 폐렴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주요 병원체로는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등이 있다. 이들 세균은 병원 내 감염이나 지역사회 획득 감염의 형태로 전파되어 폐렴을 일으킨다. 특히 노인이나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의 경우 세균성 폐렴에 걸리기 쉽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원인 바이러스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주로 소아, 노인, 만성질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잘 발생한다.

곰팡이 감염에 의한 폐렴은 상대적으로 드문 편이지만, 장기간 스테로이드 투여나 항암치료, 장기이식 등으로 면역저하된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원인 곰팡이로는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속, 크립토코쿠스(Cryptococcus)속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생충 감염, 화학물질 흡입, 폐 이물질 흡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면역기능이나 생리적 기전이 약화된 고령자, 만성질환자, 영유아, 원발성 면역결핍증 환자 등은 폐렴에 걸릴 위험이 높다.


1.3. 병태생리

폐렴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흡입한 병원체에 대한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기침반사, 점액섬모 활동, 폐포대식세포의 포식작용, 염증반응, 면역반응 등의 정상적인 호흡기 방어기전이 작용하여 병원체를 제거하게 되나, 민감한 개인에게서는 병원체가 이러한 방어기전을 뚫고 폐에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병원체의 독소가 분비되면서 폐포와 기도의 상피세포가 손상을 받고, 점막물질과 부스러기가 축적되어 기도가 막히게 된다.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환기/관류율(폐포환기율/모세혈관 관류율)이 초래되어 가스교환이 저하된다.

폐렴은 폐엽, 폐간질 또는 기관지의 폐렴으로 나뉜다. 폐엽의 폐렴은 많은 부분의 폐가 관련되어 있고, 폐간질성 폐렴은 폐포벽과 기관지주위와 소엽사이를 포함한다. 기관지폐렴은 더욱 광범위하게 기관지와 폐주변을 포함한다.

이처럼 폐렴은 폐실질에 염증이 생겨 정상적인 호흡기 방어기전이 손상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1.4. 증상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폐 타진 시 탁음, 진동감 증가 등이다. 이외에도 방사선 소견으로 기관지 주위에 미만성 또는 반점상 침윤이 나타나고, 아동은 보챔, 안절부절, 무기력과 같은 행동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비전형적 증상은 점진적으로 시작되고, 건성기침, 폐 외 증상(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이 나타난다"."폐렴의 일반적인 증상은 고열(38.9도), 호흡이 짧아짐, 호흡이 빨라짐, 복통, 입술과 손톱이 파래짐, 피로, 가슴의 통증이 호흡시 더욱 악화됨, 기침할 때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옴, 비루, 청진 시 감염부위에 따라 미세하거나 거친 잡음이 주로 폐 복 측면에서 감지된다"."


1.5. 합병증

폐렴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흉막염, 무기폐, 기흉, 수막염, 급성호흡부전,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등이 있다."

흉막염은 폐렴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흉막강 내에 삼출액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보통 1~2주 내에 무균성 삼출액이 흡수되지만, 지속될 경우 흉막천자나 배액술이 필요할 수 있다."

무기폐는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 폐 구석구석의 분비물을 밖으로 배출시켜 폐가 쪼그라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흉은 흉막강 내에 공기가 축적되어 폐 허탈이 발생하는 것으로, 포도상구균성 폐렴을 앓는 일부 영아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긴장성 기흉일 경우 응급치료가 필요하다."

수막염은 의식저하, 혼돈, 기면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저산소혈증으로 인한 증상과 구별이 필요하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예후 향상에 중요하다."

급성호흡부전은 폐포와 모세혈관막의 산소-이산화탄소 교환 장애로 발생하며, 저산소혈증과 이산화탄소 축적이 특징이다. 처치가 지연될 경우 다장기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다."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는 폐포 내 세균이 혈류를 타고 침범할 경우 발생하며, 다장기부전증이 동반될 수 있다. 신속한 항생제 투여와 함께 순환 및 호흡 관리가 중요하다."

이처럼 폐렴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다.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적절한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1.6. 진단적 검사

폐렴의 진단적 검사에는 혈액검사, 화학검사, 동맥혈가스검사, 요검사 등이 포함된다""

우선 혈액검사에서는 백혈구 수(WBC), 적혈구 수(RBC), 혈색소(Hb), 헤마토크릿(Hct), 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적혈구분포폭(RDW), 혈소판 수(Plt), 백혈구 감별계산 등을 확인한다""

백혈구 수가 증가하면 세균감염을 나타내며, 호중구 감소증이나 림프구 증가는 비정형폐렴을 시사한다""

화학검사에서는 전해질 수치, 신기능 지표, 간기능 지표 등을 확인한다""

전해질 중 나트륨(Na+)과 칼륨(K+)은 수분/전해질 균형을 확인하고, 요소질소(BUN)과 크레아티닌(Creatinine)으로 신기능을 평가한다""

간기능 지표로는 AST, ALT, ALP 등을 통해 간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동맥혈가스검사(ABGA)는 호흡부전 및 산-염기 균형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pH, pCO2, pO2, HCO3-, 산소포화도(SaO2) 등을 통해 호흡부전 및 대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요검사에서는 요단백, 요잠혈, 요백혈구 등을 통해 비뇨기계 합병증 여부를 확인한다""

이 외에도 가래 도말 및 배양검사, 흉부 X선 검사, CT 검사, 기관지내시경 검사 등이 폐렴 진단에 활용된다""

이처럼 폐렴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가 종합적으로 시행되며, 검사 결과 해석을 통해 폐렴의 원인과 중증도를 파악할 수 있다""


1.7. 치료

폐렴의 치료는 원인균에 가장 효과적인 항생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호흡곤란이 심할 때는 산소를 흡입하도록 하고 심장이 쇠약하면 강심제를 쓰며, 진통제·진해제(鎭咳劑)·해열제 등을 사용한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페니실린G가 알레르기만 없다면 가장 좋은 항생제이다. 진단이 짐작되거나 확진되면 즉시 사용한다. 경구용 페니실린제제는 경한 폐렴에서 사용하나, 비경구투여는 중증 또는 구토나 혼수상태인 환자에게 최대의 효과를 제공할 때 사용한다.

포도상구균성 폐렴에서는 페니실린에 내성이 있는 균주가 많아 penicillinase-resistant 페니실린인 methicillin, nafcillin, oxacillin이 사용된다. vancomycin은 methicillin에 내성이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에 의한 폐렴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H. influenzae에 의한 폐렴의 경우 페니실린과 클로람페니콜이 주로 정맥주사로 투여된 후 경구투여로 전환된다. 치료는 배양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재평가해야 한다.

바이러스성 폐렴에는 항생제가 사용되지 않으나 박테리아 중복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정형 폐렴은 erythromycin과 tetracycline이 효과적이지만 균을 근절하지는 못한다.

항생제 치료 기간은 초기 반응, 합병증 존재 여부, 질병 진행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대증적 치료로 가습기 사용, 기침 억제제 투여, 열찜질 등을 할 수 있다.


1.8. 간호중재

간호중재는 폐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간호사는 호흡양상, 체온, 통증, 감염과 같은 환자의 주요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이에 적합한 중재를 계획하여 실행한다.

먼저 효율적인 호흡양상을 촉진하기 위해 체위변경, 가습기 사용, 산소공급 등의 중재를 제공한다.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고 높은 습도의 환경을 유지하여 기도분비물의 배출을 도우며, 필요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또한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해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상...


참고 자료

(한우리출판사) 임상간호의 핵심,Ⅰ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수문사) 최신 아동 건강간호학, 각론
(현문사) 인체 해부학, 제 4판
김영혜, 권봉숙, 김정미 외, 『아동간호학Ⅰ』, 현문사, 2019
김영혜, 권봉숙, 김정미 외,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2019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8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네이버 지식백과] 폐렴 [pneumo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19&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소아 폐렴 [pneumonia in childre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40&cid=51007&categoryId=51007
원종순 외(2012),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김희숙 외(2012), 아동건강간호학2,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1994), 아동간호학1, 수문사.

홍경자 외(1990), 아동간호학(상), 수문사.

김강미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김금자 외(2012),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