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브루너의 내용중심 교육과정 연구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브루너의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
1.1. 학문중심 교육과정
1.1.1. 핵심 개념
1.1.2. 발생 배경
1.1.3. 학문의 개념
1.1.4. 기본적 견해
1.1.5.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1.1.6.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1.2.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구성 요소
1.2.1. 지식의 구조
1.2.2. 나선형 교육과정
1.2.3. 발견학습
1.3.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교육적 의미
1.4. 경험중심 교육과정과 학문중심교육과정의 비교
1.5. 브루너 지식의 구조와 학문중심교육과정
1.5.1. 서론
1.5.2. 본론
1.5.3. 브루너 『교육의 과정』의 한계
1.5.4. 의의 및 맺는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브루너의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
1.1. 학문중심 교육과정
1.1.1. 핵심 개념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은 "구조화된 일련의 의도된 학습결과로서 각 학문에 내재해 있는 지식 탐구과정의 조직"이다. 이는 학문마다 다른 구조와 그러한 학문들에서 지식을 발견하고 검증하는 독특한 과정들을 교육과정에 접근방법으로 삼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의 구조와 지적 발달 사이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며, 각 학문의 기본구조를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 기준으로 삼는다. 즉, 교육과정 개발에서 특정 교과나 학문에 정통한 교과전문가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또한 학습자의 지적 능력과 그에 상응하는 교과 내용을 잘 연계시켜야 한다는 "어떤 교과든지 지적으로 올바른 형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가설이 핵심 개념이다.
1.1.2. 발생 배경
미국에서는 1957년 경부터 이미 수학,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의 여러 교과 분야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었다"" 특히, 새 교육과정의 개발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생활중심 교육사상에 바탕을 둔 종래의 교육과정을 혁신적으로 개혁함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하고 지적 성취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던 중 1957년 10월 4일에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Sputnik)호가 경쟁국인 소련에서 발사되었고, 모든 미국인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경쟁국에 대한 자존심 문제는 뒤로 하고서라도 기초과학 교육을 서둘러 강화하지 않으면 소련에 과학기술이 뒤쳐져 우주라는 무한한 가능성의 대륙을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긴장감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과정을 개혁하자는 목소리가 거세게 세어 나오기 시작하였고 이 사건은 거의 확실히 장기적인 국가 안보의 위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가 없는가는 국민교육의 성패에 달려있었기 때문이었다"" 여러 학문 단체들은 여러 분야의 학자들과 학교 교육자들이 접촉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러 나섰고, 또 실지로 강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발맞추어, 교육학자와 심리학자들도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의 성격을 새롭게 조사하기 시작 하였고 보다 참신한 접근방법을 모색할 용기가 점점 더 확고해 졌다"" 국제간의 과학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과학기술을 진흥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자극하여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대안으로서 발전하게 되었다""
1.1.3. 학문의 개념
학문(discipline)은 교수를 위해서 조직된 지식이다. 학문은 체계화된 지식체 또는 탐구의 양식이며,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조직된 하나의 지식체이다. 학자들이 연구 활동을 통해 축적해 놓은 지식체계와 탐구방법으로 정의된다.
학문에는 이때까지 학자들이 발견하고 축적해놓은 개념과 탐구방법이 있으며, 현재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이 개념과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따라서 학문은 지식체계로서의 학문과 활동으로서의 학문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규정될 수 있다. 결과로서의 학문은 그 결과를 낳기까지의 과정 즉 활동으로서의 학문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1.1.4. 기본적 견해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모든 분야에 걸쳐 지식, 기술은 폭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모든 지식을 교육과정 속에서 조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전과 같은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으로는 평생을 두고 학습해도 모든 지식을 배울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은 모든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이나 학문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나 원리를 정선하여 적은 양의 지식으로 활용 범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생산적인 교육이 요청되게 되었다.
그러므로 경험중심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통제성이나 과학적 인지능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함을 극복하고, 교과중심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잡다한 단편적인 지식의 전수와 주입식 교육방법의 결함을 동시에 시정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이 곧 학문중심 교육과정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학문중심 교육과정 학자들은 교과의 구조와 학습방법에서는 탐구학습(발견학습)을 중요시하며, 어려운 구조를 학습하는 데 대한 가설로 "어떤 교과든지 지적으로 올바른 형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아무리 어려운 지식구조라 할지라도 아동의 지적 수준에 맞게 적절하게 표현하면 누구나 이해하고 배울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보면 이 가설은 가설이 아니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교육원리가 된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는 탐구를 위한 지적 능력을 강조한다. 이 교육과정에서 직관적 사고를 강조한 것도 실은 지적 훈련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는 학자들이 하는 것이나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 하는 것이나를 막론하고 모든 지식활동은 같다"는 말도 직관을 뜻하며 지적 능력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1.5.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의 구조를 핵심으로 교육과정을 조직한다. 교과 또는 학문의 기본구조를 중시하여 교육과정 개발에서 특정 교과나 학문에 정통한 교과전문가의 역할이 중시된다.
둘째, 나선형 교육과정의 형태를 띤다. 나선형 교육과정은 교과를 가장 완벽한 상태로 가상하고 일직부터 그 교과에 담겨진 기본개념 및 일반적 원리를 아동,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가르치면서 학년의 진전에 따라 점차적으로 확대, 심화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셋...
참고 자료
1.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김경배 외, 학지사, 2005.
2.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신동로 저, 형설, 2007.
3.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진영은, 학지사, 2005.
강현석(1998),「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 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2호. 한국교육과정학회.
김재춘·김재현(2002),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논의에 대한 탈구조주의적 비판」, 교육학논총, 제22권 제2호. 대경교육학회.
김춘경 외 4인(2016), 상담학 사전. 학지사.
박채형(2019),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 과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론적 논의」, 통합교육과정연구, 제13권 3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신종호 외 4인(2015),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심태숙(2012),「오우크쇼트와 브루너 교육이론의 상보성」,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이병기(2019), 「J. S. Bruner의 교육론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지식구조의 ‘발견과 구성’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 37권 4호, 한국교육과정학회 pp.219-242.
이하영(2005), 「브루너(J. S. Bruner)의 전․후기 교육과정이론 비교」,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홍우(1998), 『Bruner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정춘자(1965), 「사회심리학자, Gordon Willard Allport」, 사회학연구 4호, 이화여자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지정민(2013), 「인재교육과 교과교육:브루너 교육과정론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제25권 3호. 한국도덕교육학회.
Schulhofer Edith, Weissman Irving. Bryan Trudy(1962), 「Jerome S. Bruner ‘Process of education’ Book review」, Social Service Review sep1.
Jerome S. Bruner(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Univ. Press.
Jerome S. Bruner(1960), 이홍우 역(2017), 『교육의 과정』, 배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