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물 복지 동물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동물실험의 필요성과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
1.2.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란
1.3. 연구 목적 및 구성
2. 본론
2.1. 동물실험의 현황과 가치
2.1.1. 실험동물의 역사 및 이용 현황
2.1.2. 실험동물 이용의 장점과 사례
2.2. 실험동물 복지 및 윤리 이슈
2.2.1. 실험동물의 고통과 복지 개념
2.2.2.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논란
2.2.3. 3R 원칙과 동물실험 규제
2.3. 동물실험의 구체적인 방법과 고려사항
2.3.1. 동물실험 계획 수립
2.3.2. 실험동물의 선택과 관리
2.3.3. 실험 방법과 동물의 안락사
2.4. 실험 과학자들의 책임과 역할
2.4.1. 동물실험의 필요성과 윤리적 인식
2.4.2. 실험 과정에서의 동물복지 고려
2.4.3. 대체 방법 개발과 동물 사용 최소화
3. 결론
3.1. 요약 및 시사점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동물실험의 필요성과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
최근 많은 화장품에서 본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 있어 동물실험을 하지 않았다는 광고 문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동물실험에 대한 관심과 이에 대해 반대하는 움직임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그러한 제품들을 제외한 다른 대부분의 화장품 등은 동물실험을 거친 후 생산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화장품뿐만 아니라 약품, 식품 등이 동물실험에 의존하여 안전성 등을 검증받고 만들어져 주위에 다수 존재하기는 하지만 동물실험에 대한 찬반논쟁은 여전히 중요한 이슈이고 아직 어떠한 결론도 나지 않은 논쟁이다. 매년 200만 마리에 달하는 동물들이 동물실험에 사용되고 있고 이 수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는 동물실험에 찬성하는 측에서 보기에 동물실험을, 혹은 그와 동등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실험을 필요로 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동물애호가 등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 필요성과 효용을 부정하며 동물실험 폐지 및 축소를 주장한다.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뜨거워지는 이 논쟁에 대해 필요성과 동물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1.2.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란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논란은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왔다.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측에서는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고유의 가치와 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험을 통한 고통 부여를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찬성하는 측은 동물실험이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대표적인 철학자로는 피터 싱어와 톰 리건을 들 수 있다. 공리주의자인 피터 싱어는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이 도덕적 지위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동물도 고통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인간과 동물 간의 차별은 종차별주의라고 비판한다. 그는 실험 목적이 중요하더라도 동물의 고통이 인간의 이익보다 크다면 그 실험은 허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동물에게 실험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을 키우거나 축산물을 소비하는 것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의무론자인 톰 리건은 모든 일반 포유동물이 삶을 경험하는 주체이므로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인간과 동물 간에 차별을 두어서는 안 되며, 동물실험은 동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는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동물실험에 대한 철학적 논쟁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동물실험의 필요성과 동물복지의 가치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일부 동물실험의 경우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동물 대체 실험법의 개발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동물실험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혜택과 동물에게 가해지는 고통 간의 균형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1.3. 연구 목적 및 구성
본 연구에서는 동물실험의 필요성과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 그리고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논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동물실험은 인간의 질병 치료와 생명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지만, 동물의 고통과 권리 문제에 대한 우려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동물실험의 현황과 가치, 실험동물의 복지 및 윤리적 논의, 구체적인 실험 방법과 고려사항, 그리고 실험 과학자들의 책임과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동물실험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내리고자 한다"" 또한 향후 동물실험의 발전을 위한 과제와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동물실험의 현황과 가치
2.1.1. 실험동물의 역사 및 이용 현황
실험동물의 역사 및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인간의 진행 모델로서 동물 이용의 발전은 의학의 발전과 상당히 일치하고 있다. 그리스로부터 뻗어나간 서방의학의 기초는 과학적 목적을 위해서 철학자들이 생체해부를 실행하는 것이 최초였다. 로마에서 연구한 Galen(130~201,AD)은 내과 및 의학생리학자였는데 그의 실험은 돼지, 원숭이, 개로서 이루어졌고 의학연습용으로 이시기 뿐만 아니라 몇세기 동안까지도 기초를 제공해 주었다. 기독교 시대 이후 실험과학은 완전히 멈췄다. 경험연구가 한세기 이상 지속됐고 동물실험가치의 언급은 더 이상 행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15세기 르네상스시대 초기까지 남았다. 그리고 17세기부터 실험의학과 생물학의 재시도가 행해졌는데 초기에 의학과 생물학에서의 강조는 해부학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었으나 생리적과정이 연구의 목표였다. 이때에 동물은 감성을 갖는 창조물로서 생각되지 않았다. 18세기경부토 실험의학의 결과가 인간의 복지와 삶의 조건에 기여한다는 것이 점차 받아들여지기 시작했고 의학의 보다 많은 발전이 동물실험의 결과에 달려있다는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 동물실험에 대한 영국에서 최초로 일어난 중요한 변화가 있었는데 Francosi Magendia와 Claude Bernard와 같은 심리학자들이 생체해부론자에 반대하는 항생체해부론자에 대하여 비평을 가했다. 극단론적 동물보호론자들로 구성된 최초의 항생체해부위원회인 빅토리아거리단체(the victoria street society)가 1875sus 설립되었다. 최근에 공리론자인 Peter Singer는 그의 저서인 동물의 해방에서 인간은 고통을 느끼는 능력인 지각력을 고려한 동등한 관심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동물실험의 역사와 이용 현황은 생명과학의 발전과 함께 변화해왔으며, 점점 더 동물의 복지와 권리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2.1.2. 실험동물 이용의 장점과 사례
실험동물 이용...
참고 자료
“1년에 사용되는 실험동물 200만마리…3년 연속 증가”, 데일리벳, 2014. 05. 16
.
영국사상 연구소, «논쟁 없는 시대의 논쟁», 박민아 역, (이음, 2009), p. 251
레이 그릭, 스윙글 그릭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 김익현 역, (다른세상, 2005), p. 117
“Breakthrough could lead to 'artificial skin' that senses touch, humidity and temperature”, Science Daily, 2013. 07. 08
영국사상 연구소, 앞의 책, p. 264
“동물실험 -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정당한가?”, 네이버캐스트, 2012. 07. 30
“식약처, 동물실험 현황 자료제출 의무화 추진”, 데일리벳, 2014. 06. 09.
영국사상 연구소, 앞의 책, p. 288
영국사상 연구소, 앞의 책, p. 276
“한정치산자, 금치산자”,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영국사상 연구소, 앞의 책, p. 309
김진석, 『동물의 권리와 복지』,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pp.42~49
박병성, 『실험동물학』, 도서출판 효일, 2003, pp.31~50
최양규,「실험동물 산업육성방안과 국내 복지상황 조사 연구」, 2006
http://www.cbc.ca/gfx/images/news/photos/2010/11/09/pigletbank.jpg, 검색일 13.09.25
http://img.kbs.co.kr/cms/1tv/sisa/environ/view/vod/icsFiles/artimage/2013/02/15/c01548/8.jpg, 검색일 13.09.25
http://www.fnnews.com/images/fnnews/2009/01/27/09215513980.jpg, 검색일 1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