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욕창,감염의 일반적인지침,투약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낙상,욕창,감염의 일반적인지침,투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단위 안전관리
1.1. 병원 물리적 환경
1.1.1. 간호단위의 구조와 기능
1.1.2. 병실 기구와 장치
1.2. 환자안전관리
1.2.1. 안전관리의 개념
1.2.2. 안전관리의 위험요소
1.2.3. 안전사고의 양상
1.2.4. 환자안전관리 과정
1.3. 72병동 안전관리
1.3.1. 낙상예방
1.3.2. 욕창관리
1.3.3. 환자안전 사건관리

2. 감염관리
2.1. 의료 관련 감염의 정의
2.2. 의료관련 감염의 종류
2.3. 의료기관 관련의 원인
2.4. 감염경로
2.5. 전파방지
2.6. 72병동 감염관리
2.6.1. 손 위생
2.6.2. 개인보호구

3. 기본간호학 개요
3.1. 교과목 개요
3.2. 학습목표
3.3. 기본요구의 이해

4. 병원의 물리적 환경
4.1. 간호단위의 구조와 기능
4.2. 병실의 기구와 장치

5. 낙상관리
5.1. 낙상위험도 평가
5.2. 낙상예방활동

6. 욕창관리
6.1. 욕창 위험도 평가
6.2. 욕창예방간호활동
6.3. 욕창발생환자 중재

7. 환자안전사고 관리
7.1. 환자안전사고 분류 체계
7.2.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8. 감염관리
8.1. 의료관련 감염의 개념
8.2. 감염경로
8.3. 전파방지 원칙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단위 안전관리
1.1. 병원 물리적 환경
1.1.1. 간호단위의 구조와 기능

간호단위의 구조와 기능은 병원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로서 매우 중요하다. 간호단위에는 병실, 간호사실, 치료실, 배선실, 리넨실, 오물처리실, 창고 등의 공간이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대상자의 간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병실은 대상자가 입원하여 생활하는 공간으로 1인실과 다인실로 구성된다. 다인실의 경우 각 침대마다 커튼을 이용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간호사실은 대상자의 기록과 업무연락, 물품공급이 원활하도록 병동의 중심 장소에 위치한다. 치료실은 간호사실과 연결되어 있어 병실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처치나 검사물 채취를 위한 의료장비와 물품을 갖추고 있다. 배선실은 대상자의 급식을 위해 준비된 장소이며, 리넨실은 병동에서 사용할 세탁물을 청결하게 보관하는 공간이다. 오물처리실은 변기, 소변기, 오염된 리넨류 등 각종 오물을 모아두거나 처리하는 곳이다.

이처럼 간호단위는 대상자의 간호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사는 이러한 간호단위 내에서 대상자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필요한 물품이 적절한 위치에 있는지,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하고, 대상자의 낙상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변 환경을 잘 정돈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이는 간호단위의 구조와 기능을 잘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상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1.2. 병실 기구와 장치

병실의 기구와 장치는 대상자의 편의와 안락감을 위해 제공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먼저, 침대(bed)는 병실에서 가장 중요한 기구로 일반적인 병원 침대는 3단 침상(gatch bed)으로 머리와 발치 부분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수동식 침대와 전동침대가 있는데, 전동침대는 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부분적 변형을 할 수 있어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특수침대로는 척추손상, 화상, 심한 외상 대상자의 체위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Stryker frame과 CircOlectric bed가 있다.

침상 위 탁자(overbed table)는 식사, 독서, 약물 투여 시에 이용할 수 있어 대상자와 간호사 모두에게 편리하게 사용되며, 침상 옆 탁자(bedside table)는 대상자의 세면도구, 변기, 소변기 등과 개인용품을 보관할 수 있다. 호출장치(call bell)는 응급상황 또는 도움을 요청할 때 사용하는데, 대상자가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침상난간(side rails)은 대상자의 낙상을 예방하고, 침대 위에서 자세를 변경할 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머리맡 전등(overhead light)은 대상자가 책을 읽거나 의료진이 처치하는 동안 신체부위가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흡인구(suction)와 산소출구(oxygen outlet)는 주로 대상자의 침대머리 부분의 벽에 위치하여 중앙파이프 시스템(central piping system, CPS)을 통해 작동된다.

그 밖에도 침상보조기구로 골절판(fracture board), 발 지지대(foot board), 크래들(cradle), 정맥주사용 걸대(IV stand) 등이 제공되며, 전화기, TV, 냉장고 등의 비품도 비치되어 있다. 이처럼 병실 내 다양한 기구와 장치는 대상자의 안락감 증진과 치료적 간호 수행을 위해 마련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 환자안전관리
1.2.1. 안전관리의 개념

안전관리란 사고발생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사고로 인한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병원 내에서 환자, 보호자, 직원들의 위험을 줄이고 위해를 가져올 문제점들을 제거하여 양질의 의료관리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이다.

병원에서의 안전관리는 대상자(환자, 보호자, 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고 원인을 파악하고 제거하여 사고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일련의 계획과 실행을 의미한다. 병원은 환자의 질병 치료와 안녕을 위한 공간이므로, 이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병원은 환자, 보호자, 직원들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1.2.2. 안전관리의 위험요소

안전관리의 위험요소는 크게 기술적 요인, 환경적 요인, 인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기술적 요인에는 부적합한 설비나 불안전한 구조와 도구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높은 침대, 낡은 환자 이송차, 부실한 기구와 기자재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환경적 요인에는 잘못된 건물구조(미끄러운 바닥, 낮은 창문)와 운영관리의 부실, 조명, 소음, 환기 등의 불안정한 상황과 시설 결함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 역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인적 요인에는 기술, 지식의 부족, 부주의 등 직원과 관련된 사고 요인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간호사나 병원직원들의 주의 부족, 의무태만 등이 해당된다. 이처럼 인적 요인들도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안전사고는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병원에서는 이 세 가지 주요 위험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1.2.3. 안전사고의 양상

안전사고의 양상은 대상자에게 위험을 최소화하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위험이 있는 대상자를 사정하여 예방 중재를 계획하고 시행하는 간호활동을 통해 관리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에서 환자안전관련 사항으로는 잘못된 환자/위치/시술·수술, 투약오류, 자살, 낙상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안전관련 업무상 과실의 예로는 침습적 시술이나 수술 위치 오류, 투약오류, 물품 및 기구의 불량, 낙상 및 미끄럼, 자살 등을 들 수 있다.

간호사는 이러한 오류나 사건·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프로세스를 점검하여 사전에 예방활동을 통해 환자 안전을 증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에는 환자안전관리 지침과 환자안전보고체계, 환자안전관리 위원회가 마련되어 있으며, 간호사는 이를 숙지하고 실천해야 한다.

환자안전관리 과정은 사고발생의 확인, 사고 또는 위험요소의 분석 평가, 위험요소의 제거 또는 경감조치, 문서화 및 보고, 시정 조치의 재확인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오류나 사고의 근본원인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마련하여 재발을 방지하고자 한다.


1.2.4. 환자안전관리 과정

환자안전관리 과정은 오류나 사건·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프로세스를 점검하여 사건이나 사고의 발생 이전에 위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예방활동을 통해 환자 안전 증진을 도모하는 과정이다.

의료기관에는 환자안전관리 지침과 환자안전보고체계, 의료기관의 환자안전관리를 주관하는 환자안전관리 위원회가 있으며, 간호사는 환자 안전관련 사항에 대한 예방, 활동지침 및 보고 체계 등을 숙지해야 한다.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환자안전관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발생의 확인으로 잘못된 환자/위치/시술·수술, 사고사, 수혈반응, 탈원, 자살기도, 자살, 도난, 재산상의 손실, 싸움, 폭행, 사고로 인한 손상(낙상, 미끄러짐 등), 화재, 약물 부작용, 투약 착오, 약물 남용, 약물 과용, 장비 불량으로 인한 사고 등의 발생을 호가인하기 위해 원내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고가 빠짐없이 보고될 수 있는 사고 및 사건보고체계를 확립한다.

둘째, 사고 또는 위험요서의 분석 평가로 확인된 사고나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실제 상황과 그 정도를 특정·평가한다. 셋째, 위험요소의 제거 또는 경감조치로 위원회에서는 해당 부서 또는 해당자에게 자료 분석 평가한 후 확인된 문제점 등을 제거 또는 해결함으로써 재발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개선안을 마련하여 적용하고, 개선안 적용 후 효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한다.

넷째, 문서화 및 보고로 문제의 확인, 분석 및 평가, 그리고 시정조치 실시 등의 과정을 요약, 문서화하여 진료평가위원회에 보고하고 이를 회의록에 남긴다. 다섯째, 시정 조치의 재확인으로 시정조치가 제대로 실시되어 문제가 해결되고 위험요소가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하며 그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진효평가위원회에 제출한다.

이와 같은 환자안전관리 과정을 통해 의료기관은 오류나 사건·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환자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72병동 안전관리
1.3.1. 낙상예방

72병동에서의 낙상예방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입원...


참고 자료

부서별 운영지침,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71병동
최신 간호관리학/김인숙 외/현문사
간호관리와 리더십/강윤숙 외/현문사
의료기관의 감염관리/한미의학/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2017
김영권 외, 병원감염관리학/고려의학/2017

Braden B.J., Bergstrom N (1994). Predictive validity of the Braden Scale for pressure sore risk in a nursing home population. Res. Nurs. Health. 17, 459–470.
조유향, 정영미, 유인영(2007). 노인간호학 실습서, 현문사.
정한영, 박병규, 신희석, 강윤규, 편성범, 백남종 등 (1989).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활용 지침서. 대한재활의학회지.
https://www.e-arm.org/upload/pdf/Jkarm031-03-03.pdf
병원간호사회 (2019).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 – 낙상관리.
https://khna.or.kr/home/data/200905/6_nack.pdf
병원간호사회.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 욕창 및 상처장루간호.
http://www.khna.or.kr/homecare_new/04_nerve/chronic01_02.php
한국노인간호학회 (2020). 노인간호학,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