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명과학실험] 대조군과 주요 실험 예비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조군
1.1. 대조군의 정의
1.2. 음성 대조군
1.2.1. 음성 대조군의 정의
1.2.2. 음성 대조군의 사용 예시
1.3. 양성 대조군
1.3.1. 양성 대조군의 정의
1.3.2. 양성 대조군의 사용 예시
2. 그리피츠 실험
2.1. 실험 목적
2.2. 실험 과정
3. 허시-체이스 실험
3.1. 실험 목적
3.2. 실험 과정
3.3. 실험 결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조군
1.1. 대조군의 정의
대조군은 실험군experimental group과 비교를 위해 설정되는 집단으로, 실험 결과가 가설에서 예측된 원인에 의해 도출된 것인지, 다른 요인에 의해 도출된 것인지를 가려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대조군은 실험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실험 설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1.2. 음성 대조군
1.2.1. 음성 대조군의 정의
음성 대조군이란 실험을 수행할 때 이 대조군의 실험 결과값이 음성으로 나와야 하는 모집단이다. 음성대조군에는 위약(placebo)을 사용하거나 약(treatment)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실행이 진행될 때도 있다. 실험 결과가 음성이 아니라면 실험의 결과가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잘못된 것을 토대로 수정하며 실험을 진행한다.
1.2.2. 음성 대조군의 사용 예시
예시) 치사 약물 a의 타당성 검토 - 약물을 함유시킨 집단을 배양하여 검토 - negative control: 약물을 함유하지 않고 집단을 배양하여 검토하는 경우이다. 이를 통해 약물이 집단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약물을 함유한 집단과 함유하지 않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다면, 해당 약물의 효과가 없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처럼 음성 대조군은 실험 결과에 다른 변화를 주지 않는 모집단으로서, 실험 집단과의 차이를 통해 실험 처치의 효과를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1.3. 양성 대조군
1.3.1. 양성 대조군의 정의
양성 대조군은 실험에서 유도하는 반응에 대해 양성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설정한 대조군이다. 새로운 진단키트 X의 정확성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미 정확도가 알려진 진단키트 Y가 존재한다면 Y를 기준으로 하여 X의 정확도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때 Y가 양성...
참고 자료
https://simplicable.com/new/negative-control-vs-positive-control
DNA as Genetic Material: Revisiting Classic Experiments Through a Simple, Practical Class/Wilson Malago Jr., Andrea Soares-Costa, and Fla´ vio Henrique-Silva
A Single-Molecule Hershey-Chase Experiment
David Van Valen1*, David Wu1*
Biology /: John W. Kimball. /5.2chapter
Reece,Urry,Cain,Wasserman,Minorsky,Jackson.Cambell Biology(2012).26p,35-36p,305-308p
Negative Control vs Positive Control
https://simplicable.com/new/negative-control-vs-positive-control, (2020.04.15)
5 Examples of a Positive Control
https://simplicable.com/new/positive-control, (2020/04/15)
과학적 제어
,https://ko.wikipedia.org/wiki/%EA%B3%BC%ED%95%99%EC%A0%81_%EC%A0%9C%EC%96%B4, (2020.04.15)
실험군과 대조군, https://ko.wikipedia.org/wiki/%EC%8B%A4%ED%97%98%EA%B5%B0%EA%B3%BC_%EB%8C%80%EC%A1%B0%EA%B5%B0, (202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