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결절 병태생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사례 선정 이유
2. 폐결절 (Pulmonary nodule)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진단방법
2.5. 검사
2.6. 치료
2.7. 경과 및 합병증
2.8. 예방방법
3. 중환자실 입원기록 분석
4. 사례환자 객관적 자료
4.1. 진단검사 및 치료효과 확인을 위한 검사
4.2. 임상검사
4.3. 의사의 치료내용
5. 간호과정
5.1. 간호사정
5.2. 간호진단
5.3. 간호계획
5.4. 간호수행
5.5.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사례 선정 이유
조선대학교병원의 SICU(외과중환자실)에서 실습하다 보니 여러 과가 모인 것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흉부외과 환자들 중 수술 후 간호에 대한 공부를 하고 싶어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2. 폐결절 (Pulmonary nodule)
2.1. 정의
폐결절은 주로 폐 내부에서 관찰되는 3cm 이하의 결절(종괴, 덩어리)을 의미한다. 폐결절이 1개만 있는 경우를 고립성 폐결절, 여러 개 있는 경우를 다발성 폐결절이라고 한다. 병변의 크기가 지름 3cm 이상일 때는 결절이 아닌 종양 또는 혹이라고 부른다. 보통 무증상인 관계로 건강 검진 시 흉부 X선이나 CT 촬영을 통해 발견된다.
2.2. 원인
폐결절의 원인은 다양하다. 폐결절을 보이는 전체 성인의 약 35% 정도는 악성 종양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흡연자이면서 35세 미만의 경우에 발견된 폐결절이 악성일 확률은 매우 낮다"". 폐렴, 결핵, 곰팡이 감염, 과오종, 폐암, 전이암 등 여러 원인 질환이 폐결절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폐결핵에 의한 고립성폐결절(결핵종)이 흔해 감별진단에 주의를 해야 한다"".
2.3. 병태생리
고립성 폐결절의 원인으로는 폐렴, 폐결핵, 진균감염 등의 감염성 폐질환, 양성 폐종양(과오종) 및 악성폐종양(폐암 혹은 다른 장기의 암에서 전이된 전이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크게 양성 질환과 악성질환(암)으로 구분되며 이를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구별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우리나라는 폐결핵에 의한 고립성폐결절(결핵종)이 흔해 감별진단 시 주의를 해야 한다""
결절의 발생 과정을 보면, 감염된 환자의 기침, 재채기, 가래, 대화 등으로 통해 결핵균이 공기로 유출되며, 다시 공기를 통해 타인에게 전파되는 방식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감염이 일어난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침입한 결핵균의 수, 농도, 결핵균의 노출 시간, 개인의 면역상태 등이 있으며 일단 결핵균이 폐포 내로 들어오면 폐포대식세포가 탐식을 수행한다"" 이 때 결핵균은 폐포대식새포 내의 엔도좀(endosome)에서 증식한다""
폐 내부의 초기 감염부위를 Ghon 병소(lesion, focus)라 하고 보통 폐상엽의 하부 또는 폐하엽의 상부에 위치한다"" 식균작용과 결절 생성, 육아종 형성 등 일반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결핵균은 이 때 육아종과 함께 제거되지 않고 잠복하게 되며 결절 중앙에 사멸된 결핵균과 백혈구, 괴사된 폐조직 등이 모여서 결핵의 특징인 치즈변성 괴사(또는 치즈화, 건락화, caseous degeneration or caseation)를 나타내게 된다"" 이는 X-선 상에서 소결절로 보이나 중심부는 괴사로 인해 혈관이 없으므로 혈전이 형성되고 손상된 폐조직은 결핵균의 배양지가 된다"" 때문에 결핵 병소는 치료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부드러워지고 액화된 치즈변성 물질은 가래로 배출되어 감염 위험을 매우 높이게 된다""
염증이 진행된 이후, 배출된 치즈변성 물질의 자리에 공기가 차서 공동(cavity)을 형성하거나 경화 또는 섬유화되기도 한다"" 점차 칼슘이 침착하여 석회화(calcification)되기도 하는데 이 때 석회화된 병변은 X-선 상에 석회화된 결절로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석회화된 병변은 결절을 형성하며 내부에 결핵균을 포함하므로 몇 년이 지난 이후에도 2차 발병을 초래할 수 있다"" 2차 감염은 특히 폐의 첨부에서 발생하는데 이를 Simon 병소(Simon foci)라 한다"" 일반 결핵균의 1차 변이를 다제내성 결핵이라 한다면 그 다음 변이를 수퍼결핵이라 하는데, 이렇듯 내성이 생긴 결핵균에게 2차 항결핵제를 사용하게 되면 독성은 굉장히 강한 한편 항균력이 약하여 장기간의 고통스러운 치료를 이어가야 한다""
2.4. 진단방법
폐결절의 진단방법은 다음과 같다. 폐결절의 진단은 흉부 엑스선 촬영,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
참고 자료
Zelman 외 지음,병태생리학8판,바이오사이언스,2022
윤은자 외 11(2019), 「성인간호학 I」, 제9판, 수문사, 630-640
조정제 외 32(2017), 「간호미생물학」, (주)고문사, 142, 155-156, 193-194
Masahiko Suzuki(2017), 「알기 쉬운 약리학」, 도서출판 의학교육, 297-298
고원중·권오정(2005), 폐결핵의 진단과 치료(Diagnosis and 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TRD=결핵 및 호흡기 질환, 제58권 제5호, 438-451
손장원(2011), 폐결핵과 급성호흡부전(Pulmonary Tuberculosis and Acute Respiratory Failure), 대한내과학회지, 제81권 제4호, 455-457
결핵정보 > 국내 결핵현황
https://knta.or.kr/tbInfo/tbCondition/tbCondition.asp
그림 1. x-ray 상의 Tuberculosis,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https://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infectious-diseases/mycobacteria/tuberculosis-tb
성인간호학 / 황옥남 외 / 현문사
기본간호학 / 양선희 외 / 현문사
핵심기본간호수기 / 양선희 외 /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박은영 외 / 현문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약학정보원 의약품검색 - http://www.health.kr/main.asp
네이버 건강 약품정보 -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50871&categoryId=50871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도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List.do?pageIndex=1&search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