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명의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뉴노멀 시대의 인문학적상상력
1.1. '뉴노멀'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1.2. 코로나가 가중시킨 문제
1.3. 코로나 이후 뉴노멀
1.4. 인문학이 '새로운 정상'을 구체화하는데 할 수 있는 일
2. 국제정치의 이해
2.1. 20세기 시민사회의 역할과 방법
2.2. 다수 문명에 대한 사유
2.3. 비평과 개인적 해석
3. 문명의 충돌
3.1. 냉전 종식 이후 새로운 세계 질서
3.2. 문명 간 충돌의 가능성
3.3. 문명 간 대화와 협력의 중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뉴노멀 시대의 인문학적상상력
1.1. '뉴노멀'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뉴노멀'이란 용어는 21세기 초반 9.11 테러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전지구적 위기 상황 속에서 '정상 상태'의 의미를 가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전 세계적 위기 상황으로 인해 과거의 사회, 경제, 정치 체제 등이 해체되고 새로운 정상 상태가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뉴노멀'은 일상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재택근무와 비대면 수업 등 경제와 교육 활동이 가상현실의 영역으로 옮겨지고, 마스크 착용과 모임 인원 제한, 지역 간 이동 규제 등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인간성의 기본 명제가 재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대중의 불안심리를 높여 국수주의, 인종차별, 젠더 문제, 가정폭력 등의 사회적 병폐를 악화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의 변화와 혼란이 코로나 종식과 함께 사라질 것인지, 우리가 이전과 얼마나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지, 그리고 새로운 정상 상태를 어떻게 찾아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다"".
1.2. 코로나가 가중시킨 문제
코로나가 가중시킨 문제는 국수주의, 인종차별, 가정폭력과 같은 고질적인 병폐들이다"이다.
코로나19의 창궐로 인해 각국은 국내 백신 보급에 집중하면서 국수주의적 정책을 추구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백신 부족과 경기 침체 상황에서 자국민 우선주의가 강화되어 글로벌 백신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 초기 동아시아인들에 대한 혐오 범죄가 증가하는 등 인종차별이 심각해졌다"". 이는 팬데믹 상황에서 특정 소수인종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늘어난 결과이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사회복지기관과 학교 등이 운영을 중단하면서 장애인과 아동에 대한 학대 사례 또한 증가하였다"". 가정 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정폭력이 더욱 심각해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코로나19는 취약계층에 대한 돌봄과 보호 체계를 와해시켜 사회적 약자들을 더욱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19 사태는 국수주의, 인종차별, 가정폭력 등 오래된 사회 문제들을 악화시키며 새로운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팬데믹 상황에서 드러난 이러한 문제들은 인류가 반드시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3. 코로나 이후 뉴노멀
코로나 이후 뉴노멀이란 COVID-19의 창궐로 인해 경제, 교육, 생활 전반에 걸쳐 유발된 변화가 일상화된 것을 의미한다""코로나 이후 재택근무와 비대면 수업의 도입으로 경제와 교육 활동이 가상현실의 영역으로 옮겨졌다"" 또한 마스크 착용 의무화, 모임 인원 제한, 지역 간 이동 규제와 같은 정책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인간성의 기본 명제를 재고하도록 종용하고 있다""이러한 변화는 동시에 대중의 불안심리를 가중시켜 국수주의, 인종차별, 젠더 문제, 가정폭력 등 고질적 사회 문제를 악화시키기도 했다""
현재의 변화와 혼란이 코로나 감염증의 종식과 함께 사라질지는 불확실하다""코로나 시대의 우리는 이전과 얼마나 달라진 세계에 살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 이후 '새로운 정상'을 찾을 수 있을지, 그리고 그 새로운 정상은 어떤 형태를 갖출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에 인문학이 '새로운 정상'을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4. 인문학이 '새로운 정상'을 구체화하는데 할 수 있는 ...
...
참고 자료
허영섭. (2021). 코로나 백신 전쟁. 대한토목학회지, 69(3), 84-85.
배정환. (2021). 코로나 시대, 미국에서의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와 증오범죄: 인종주의 담론과 사회 통제에 관한 논의. 경찰학연구, 21(3), 183-208.
김경학. (2021).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국내 외국인의 차별과 배제 경험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2(2), 673-688.
이미정. (2020). 코로나 19 와 젠더폭력: 가정폭력 현황과 대응.
정익중. (2020). 코로나 19 로 인한 아동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2020(여름), 47-59.
이동훈, 김예진, 이덕희, 황희훈, 남슬기, & 김지윤. (2020).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2119-2156.
로버트 콕스 저, 홍기빈 역, 「다수 문명에 대한 사유 외」 책 세상,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