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극 '아름다운 사인' 개요
1.1. 연극의 주요 내용
연극 '아름다운 사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연극은 여섯 구의 시체가 병원 검시실에 들어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들은 모두 여성이며, 사인은 자살이다. 검시관 유화이는 혼자 남아 이들의 사연을 듣게 된다. 각각의 여성들은 남편의 외도, 불임, 성추행, 성폭행 등의 이유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죽음이 우연이 아닌, 남성 중심적인 사회 구조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
유화이는 이들의 대화를 통해 왜 그들이 죽을 수밖에 없었는지 이해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약혼자가 죽은 여성들의 남편과 닮았음을 깨닫고, 자신도 사회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연극의 마지막에서는 처음에 '자살'이었던 6명의 시체 사인이 '타살'로 바뀐다. 이는 이들이 자살한 것이 아니라 결국 사회가 죽인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1.2. 등장인물 소개
연극 '아름다운 사인'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검시관 유화이는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여성이다. 애인과의 대화를 통해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자신의 직업에 대한 고집도 강한 편이다. 이를 통해 유화이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사명감을 지닌 인물로 볼 수 있다.
여성 시체 1-6은 각자 다른 성격과 배경을 지니고 있다. 시체 1은 참을성이 부족하고 경상도 사람들의 특성인 확끈함을 지니고 있으며, 남편의 외도를 견디어낸 인생의 피해자이자 억센 삶의 의지를 지닌 여성이다. 시체 2는 교양 있는 여성으로 보이지만, 간혹 교양 없는 언행을 하기도 한다. 시체 3은 여성으로서 아이를 낳지 못한 것에 심한 자책감을 느끼며, 남편에게 무시당하고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시체 4는 인생을 진지하게 살지 못하고 사회 비판적인 성향을 지닌 여성이다. 시체 5는 아름답게 죽고 싶어 하는 공주병 기질을 지녔으며, 자신을 더 알아주기를 바랐던 여성이다. 시체 6은 자신보다 가족과 남편을 먼저 생각하는 희생적인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여성 시체 1-6은 각자 다른 성격과 배경, 가치관을 지닌 인물들로, 남성 중심 사회에서 겪었던 다양한 문제와 차별을 겪은 인물들이다.
남편 인물 1-6 또한 다양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시체 1남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고 아내를 무시하는 성격이지만, 아내에 대한 잔정은 있다. 시체 2남은 실속을 중요시하는 이성주의자로, 결혼에 대한 올바르지 못한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시체 3남은 아내를 무시하는 어두운 가정을 만드는 남성이다. 시체 4남은 직업에 충실하고 꼼꼼한 성격을 지녔다. 시체 5남은 여성을 놀이 대상으로 여기는 변태적 기질을 지녔다. 시체 6남은 아내를 사랑하지만 표현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연극 '아름다운 사인'의 등장인물들은 다양한 성격과 배경을 지닌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주요 등장인물 분석
2.1. 검시관 유화이
검시관 유화이는 연극 '아름다운 사인'의 주요 인물 중 하나이다. 유화이는 여자 검시관으로, 밤낮으로 검시실을 지키며 시체들을 살펴보는 역할을 한다. 유화이는 자신의 직업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의 약혼자와의 대화에서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직업에 대한 고집도 있는 편이다.
유화이는 연극 중반부에 일어나는 여섯 구의 시체들과의 대화를 통해 이들의 죽음에 얽힌 사회적 문제들을 이해하게 된다. 여섯 구의 시체들은 유화이에게 "우리가 죽은 6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죽게 될 거라"고 말하며, 유화이도 사회의 영향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