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안전간호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대한 문헌고찰
1.1. 필요성, 중요성, 원리, 원칙
1.2.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 개념
1.3. 안전과 간호 질 향상 종류
1.4. 안전과 간호 질 향상 분석 도구
1.5. 안전과 간호 질 향상 개선방안 또는 안전 증진 전략 등 도출
1.6. 실습부서에서의 안전과 간호 질 향상 체계
2. 안전 문제 또는 간호의 질 향상이 필요한 사례
3. 위 2번 사례에 대한 원인분석과 개선 방안
3.1. 안전과 간호 질 향상 원인분석
3.2. 안전과 간호 질 향상 개선방안
4. 안전과 간호 질 향상 활동을 통해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대한 문헌고찰
1.1. 필요성, 중요성, 원리, 원칙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계기는 1999년 미국의학협회(Institute of Medicine)에서 발표한 보고서(To Err is Human)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의료 오류로 인해 병원에서 매년 44,000명에서 98,000명의 사람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의료오류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세계보건총회에서 환자안전을 보건의료의 핵심 선결문제로 삼고 모든 회원국들에게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촉구하였다. 이에 세계보건기구는 매년 9월 17일을 환자안전의 날로 제정하는 등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환자안전의 원칙은 의료로 인한 위해를 줄이는 것이다. 즉, 의료오류를 최소화하고 의료의 질적 향상을 위한 것이다. 과거에는 실수한 개인을 비난하고 처벌하는 개인적 접근방법이 주였으나, 최근에는 인적 취약성을 인정하고 일하는 업무 상황에 초점을 두어 오류를 예방하고 그 효과를 경감시키기 위한 예방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오류를 예측하고, 오류가 환자에게 위해를 초래하기 전에 예방하고, 발견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스템에 기반한 접근(systems-based approach)이 중요하다.
1.2.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 개념
환자안전은 의료로 인한 우발적 혹은 예방 가능한 손상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WHO, 2009)에서는 환자안전을 '보건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 가능한 최소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간호서비스의 질이란 간호사가 수행하는 모든 일련의 활동으로서 간호사가 제공하는 간호서비스 과정 전체의 탁월성과 우수성의 정도를 뜻한다"" 즉, 안전성의 중요한 측면으로 안전성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간호를 수행하고 의료체계가 발전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1.3. 안전과 간호 질 향상 종류
안전과 간호 질 향상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식스 시그마(Six sigma), FOCUS-PDCA cycle 등이 있다""
식스 시그마(Six sigma)는 1987년 미국의 마이클 해리가 창안한 품질 경영 혁신 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모든 과정에서 결함을 제거하고 목표로부터 이탈을 최소화하여 이익 창출과 고객 만족을 최대화하는 전략이다. 정의→측정→분석→개선→관리를 거쳐 최종적으로 식스 시그마 기준에 도달하는 절차를 거친다""
FOCUS-PDCA cycle은 PDCA 방식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병원 품질 향상에 맞게 변형된 것으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여 개선하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이다. FOCUS-PDCA 과정은 개선 활동이 필요한 주제 선정(Find), 여러 구성원이 모여 팀 구성(Organize), 현황 파악(Clarify), 현재 상황의 원인분석(Understand), 우선순위에 따른 개선 전략 선택(Select), 개선 전략에 대한 계획(Plan), 실행 및 결과 제시(Do), 목표 도달 여부 확인(Check), 앞으로의 진행 방향 설정(Action)으로 이루어진다""
1.4. 안전과 간호 질 향상 분석 도구
의료기관의 체계적인 질관리를 위해 적절한 도구 선정이 중요하다. 의료기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에는 원인결과도, 흐름도, 파레토, 히스토그램, 런차트, 관리도 등이 있다.
원인결과도(Cause and Effect diagram)는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것을 정리하여 시각화하는 도구로 주로 어골도(Fish-bone diagram...
참고 자료
이병숙, 강성례, 김현경, 신지원, 안혜경, 이은주. (2019. 02). 간호관리학. 학지사메디컬
한국간호연구학회지. 김지미 외. (2022). ‘안전과 질 향상’ 간호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박정하. (2020).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간호서비스의 질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6(3), 181-191.
박아영, 김계하. (2016). 간호대학생을 위한 질 향상과 안전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8(5), 559-571.
김희진. "환자안전 전담인력의 환자안전관리의 어려움 및 역량강화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서울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023_질 향상과 환자안전
국토연구원. 스위스 치즈 모델. https://www.krihs.re.kr/publica/bbsView.es?num=1039&serlno=1
국토연구원. 하인리히 법칙.
https://www.krihs.re.kr/publica/bbsView.es?num=184&serlno=1
대한간호협회. 환자안전사고 예방활동. 늘푸른 요양병원
https://www.koreanurse.or.kr/mailing_data/2023/20230803_03.pdf
뉴스더보이스헬스케어.2024-05-17. “병원입원 후 발생한 욕창...환자에게 어떤 결과 초래?.http://www.newsthevoice.com
12주임신부에 난임치료 약물을…산부인과 오접종 사고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7260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임부금기
https://www.drugsafe.or.kr/iwt/ds/ko/useinfo/EgovDurInfoSerPn.do
임신 중 복용하면 안되는 11가지 약물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066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이윤미 외)
기본간호학 2 (현문사, 이현주 외)
Medication Error 예방지침 https://kmbase.medric.or.kr/Fulltext/08696/2003-20-2/1-20.pdf
분당서울대병원 ,투약오류와 의료사고 줄인 비결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417
남문희 등. (2023). 환자안전과 간호의 질향상,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