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관리학 실습 [사례연구 QI 보고서]
1.1. 간호단위의 물리적 구조
92병동의 물리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각 병실에는 세면대와 냉장고가 1개씩 비치되어 있으며, 환자 1명당 침대 1개, 사물함 1개, 보호자 침대 1개가 있다. 또한 사생활보호를 위한 안내문이 붙어있다. 정수기는 병동 밖 휴게실에 설치되어 있어 환자들이 물을 마시러 나가기까지 힘들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투약준비실이 너무 좁아 간호사들이 오가는데 불편함을 겪고 있다. 복도 벽면 손잡이 앞에는 짐, 휠체어, 청소카트 등이 두어져 있어 환자들의 이동에 방해가 되고 있다. 병동 내 전등과 보조등, 간호사 스테이션의 유도등은 모두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병실 내 전등이 1,4,5,8번 침대에는 밝게 비추지 않아 간호사들이 처치하는데 불편함을 겪고 있다. 또한 병실 내 전등이 어두워 야간 낙상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병동과 병실의 벽지는 아이보리 컬러이며, 전등은 노란색으로 밝고 따뜻한 채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회의실에 전등이 2일 이상 깜빡거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병실 내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만 평균 26.5~27.2도로 유지되고 있어 시원하지 않으며, 에어컨 주변의 물기로 인해 불편함을 겪고 있는 환자도 있었다. 병동 내 청결 관리를 위해 청소 여사님의 수시 라운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오염된 물질과 깨끗한 물품이 한 공간에 있는 세척실로 인한 오염의 위험이 있다. 또한 방화문 앞에 스트레쳐카와 카트가 놓여있어 비상 시 막힐 수 있으며, 비상구가 낙상의 위험으로 인해 잠겨 있어 화재 시 문제가 될 수 있다.
1.2. 간호단위의 인력구조
간호단위의 인력구조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 23명과 조무사 1명, 도우미(기사님) 2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무형태는 3교대로 이루어지며, 각 근무조마다 A팀, B팀, C팀, D팀이 담당하고 있다.
주간 근무의 경우 A팀은 1호실(8명)과 2호실(4명)을, B팀은 2호실(4명)과 3호실(8명)을, C팀은 5호실(5명)과 6호실(5명)을, D팀은 7호실(5명)과 8호실(5명)을 담당한다.
야간 근무의 경우 A팀은 1호실(8명)과 2호실(8명)을, B팀은 3호실(8명), 5호실(5명), 6호실(2명)을, C팀은 5호실(5명)과 6호실(5명), 7호실(5명)과 8호실(5명)을 담당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3팀으로 나누어 근무한다. 필요한 경우 용역기사 1명이 Acting Nurse 또는 NA로 활동한다.
1.3. 간호단위의 간호목표
간호단위의 간호목표는 "효율성, 인프라 강화(Build up)", "역량강화(Excellent)", "전문화, 표준화(Standardization)", "공감가치(Trust)"이다. 이는 간호단위의 간호관리를 통해 환자와 직원에게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실무를 구현하여 병원 전반의 발전과 신뢰를 이루고자 하는 목표라고 볼 수 있다.
첫째, "효율성, 인프라 강화(Build up)"는 간호단위의 물리적 환경과 인력자원을 최적화하여 간호 실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와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역량강화(Excellent)"는 간호단위 내 구성원들의 전문성과 실무능력을 향상시켜 탁월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이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셋째, "전문화, 표준화(Standardization)"는 간호업무와 실무에 있어 체계성과 일관성을 확보하여 간호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문화된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공감가치(Trust)"는 간호단위 구성원과 환자 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와 보호자의 치료 과정 참여를 높이고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기여한다.
이와 같은 간호단위의 다양한 목표들은 서로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달성함으로써 간호단위의 전반적인 역량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1.4. 간호단위 현재 상황
1.4.1. 환경관리
병동 내 환경은 간호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92병동의 환경관리 현황을 살펴보면, 병동 내 공간, 명도, 채도, 온도, 습도, 환기, 소음, 청결, 화재 및 안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혼재하고 있다.
우선 병동 공간의 경우, 각 병실 내에 세면대와 냉장고가 1개씩 비치되어 있고, 환자 1명당 침대 1개, 사물함 1개, 보호자 침대 1개가 있어 기본적인 환자 편의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사생활보호를 위한 안내문이 붙어있어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고 있다. 그러나 투약준비실이 너무 좁고 카트들이 많이 들어가 있어 공간이 부족한 편이다. 또한 복도 벽면 손잡이 앞에 짐, 휠체어, 청소카트 등이 놓여있어 환자들의 이동에 불편을 주고 있다.
병동 내 명도의 경우, 병실 내 전등과 보조등 및 간호사 스테이션에 유도등이 켜져 있어 어둡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일부 침대 주변 조명이 어두워 간호사들의 처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야간 낙상사고도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도의 경우 병동과 병실의 벽지가 아이보리 색상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고 있으나, 회의실 내 전등이 깜빡거리는 문제가 있다.
온도와 습도의 경우 병실 내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만, 에어컨 설치 위치가 낮아 전반적인 온도 유지가 어려운 편이다. 또한 에어컨 주변의 물기로 인해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 또한 병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