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행동지원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특성과 지도 방법
1.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와 특성
1.2.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1.3.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1.4. 어린이집에서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지도 방법
1.4.1. 시각적 자극 활용
1.4.2. 인지행동 요법 활용
2. 자폐스펙트럼장애 교육과정에서의 교육적 지원과 중재방법
2.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
2.2. 자폐스펙트럼장애 교육과정에서의 교육적 지원
2.2.1. 예술교육
2.2.2. 사례
2.3. 자폐스펙트럼장애 교육과정에서의 중재방법
2.3.1. 미디어 중재
2.3.2. 사례
3.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기준과 용어의 변화
3.1. DSM-5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준거
3.2.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범주성장애) 용어의 변화
4. 교사의 자폐성 장애 아동 지원 방안
4.1. 아동 관찰의 중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특성과 지도 방법
1.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와 특성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일반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및 의사소통, 관심사와 행동 패턴 등에 영향을 주는 신경 발달 장애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다양한 증상과 정도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마다 특징과 어려움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주요 특징으로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기술의 결여 또는 제한, 반복적이고 제한적인 행동 패턴, 특정한 관심사와 고정된 루틴에 대한 강한 집착 등이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아동기부터 발견되는 신경 발달 이상으로, 초기 발달기에 주로 나타난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언어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 사회적 포용과 이해의 증진 등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주요 측면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경우 적절한 교육과 지원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사회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1.2.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을 겪는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대화, 언어 이해, 비언어적 신호 해석 등의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시선을 읽지 못하거나, 언어적인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상호작용 및 친밀한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보인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아이들과 놀이나 대화를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상황 이해의 어려움을 겪는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인 규칙 및 예절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상황에 맞는 행동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넷째, 관심사와 반복적인 행동에 대한 집착을 보인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특정한 관심사나 반복적인 행동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제한하거나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발달 수준과 정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지원이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3.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언어 이해, 말하기, 문법적인 구조 이해 등 언어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일부 아동들은 말이 전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아동들과의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둘째,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눈길 교환, 제스처, 표정, 몸의 움직임 등을 통한 의사소통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시선을 읽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제스처나 표정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셋째, 상호작용 및 대화의 제약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상대방의 말에 적절한 대답을 하거나 대화 주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자기 표현이 부족하거나 관심사에 대해서만 말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넷째, 의사소통 대안의 활용이다. 일부 자폐스펙트럼...
참고 자료
김희규 외.『특수교육 음악교육론』,교육과학사,2011.
양문봉.『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연구,2000.
석문주 외.『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교육과학사,2006.
이낙연 의원실,몸짓과 소리,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교육과 치료에 관한 정책토론회”,2011.
장애아동의 이해 장애론을 중심으로, 휴먼북스, 서화자·이은진·조병균 공저, 2018.
유아교사를 위한 특수아동의 이해, 공동체, 조윤경·김수진 공저, 2016.
특수아동의 이해, 공동체, 이은주·최지은·박숙희 공저, 2014.
특수교육의 이해, 동문사, 이중수, 2017.
특수교육의 이해, 동문사, 변호걸, 남경욱, 김응범, 이병혁, 권미은 공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