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전적인 목표를 정해 열정적으로 일을 추진했던 경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
1.1. 저자 소개
1.2. 서평
1.2.1. 미라클 모닝 습관
1.2.2. 아주 작은 성공 습관
1.3. 핵심 습관
1.3.1. 삶의 목표 설정
1.3.2. 긍정적 사고 훈련
1.3.3. 예상치 못한 변수 대처
2. 리더십과 실행력에 대한 연구
2.1. 리더가 갖추어야 할 실행력
2.1.1. 과감한 추진력
2.1.2. 사전 준비성
2.1.3. 시간 관리능력
2.2. 부서원들의 실행력 향상을 위한 리더의 역할
2.2.1. 명확한 방향과 현실적인 목표 제시
2.2.2.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확보
2.2.3. 효과적인 회의 진행
3. 변혁적 리더십
3.1. 변혁적 리더십의 개념
3.2. 변혁적 리더십의 요소
3.2.1. 영향의 이상화
3.2.2. 영감의 동기 유발
3.2.3. 지적 자극
3.2.4. 개별적 배려
3.3. 변혁적 리더십의 사례 및 시사점: 히딩크 감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
1.1. 저자 소개
세계적인 기업가이자 성공한 투자가인 딘 그라지오시는 미국의 유명한 비즈니스 코치이다. 그는 유년시절 아버지와 빈집 화장실에서 살았을 만큼 몹시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고, 부모님의 이혼과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스무 번 넘게 이사를 다녔으며, 난독증으로 수업조차 제대로 들을 수 없었다. 이런 불행한 어린 시절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백만장자로 거듭나 미국 최고의 자수성가 부자로서 명성을 날리고 있다. 그는 자신의 인생을 변화시킨 '습관의 힘'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성공 훈련 프로그램 '더 나은 삶을 위한 30일 도전(BETTER LIFE 30DAY CHALLENGE)'을 개발했으며,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인 'KBB(KNOWLEDGE BUSINESS BLUEPRINT)'도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의 인생을 변화시키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습관을 20여 년간 분석해서 첫 번째 책 『완전한 성공』을 출간했다. 이후 이 책은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1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1.2. 서평
1.2.1. 미라클 모닝 습관
대부분 사람들은 스스로 본인을 좋은 습관보다 나쁜 습관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더 나은 사람으로 변화하기 위해 좋은 습관을 더 가져보려 연초마다 노력한다. 코로나 시대인 현재 유행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릴레이처럼 실천하고 있는 습관은 바로 '미라클 모닝'이다. 이른 새벽 남들보다 일찍 일어나, 책이나 뉴스를 보기도 하고, 운동을 하는 등 별도로 시간을 내어 온전히 나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다만, 급작스럽게 변화하는 습관들은 대게 작심삼일로 끝나기 마련이다. 저자는 사람들이 쉽게 포기하는 '급작스러운 습관'보다 조금 더 잘게 쪼개어 '아주 작은 성공 습관'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른 새벽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는 '미라클 모닝' 습관은 이러한 연장선에서 고려해볼 만한 습관이다.
1.2.2. 아주 작은 성공 습관
저자는 우리가 쉽게 포기하는 '급작스러운 습관'보다 조금 더 잘게 쪼개어 '아주 작은 성공 습관'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스스로 본인을 좋은 습관보다 나쁜 습관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더 나은 사람으로 변화하기 위해 좋은 습관을 더 가져보려 연초마다 노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급작스러운 변화는 대게 작심삼일로 끝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저자는 조금씩 더 잘게 쪼개어 실천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성공 습관'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쉽게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습관 실천을 넘어 사람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자신의 삶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즉, 저자는 성공하기 위해서는 크고 급격한 변화보다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1.3. 핵심 습관
1.3.1. 삶의 목표 설정
저자는 본인이 원하는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정확히 세워야 한다고 했다. 자신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모르고 전속력으로 달리는 사람이 많은데, 빠른 속도, 넘치는 열정과 에너지 역시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가 명확하지 않다면 목표에 도달하는 일이 일어날 수가 없다. 자신이 원하는 성공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나의 목표를 기준으로 시간을 안배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목표를 정하기 위해 첫번째로 할 일은 지금 내가 어디에 놓여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하였다. 경제적인 상황과 더불어, 사랑, 우정, 가족 등 본인이 처한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생각해보고, 자신의 모습을 써볼 때, 내가 현재 놓여있는 출발점이 정확히 어딘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했다. 그 후, 내가 설정한 목표에 대한 진짜 이유를 찾아야 내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 줄 수 있다고 했다. 저자가 소개한 방법은 '7단계 질문법'이다. 예를 들어, "나는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어"로 시작했을 때, "왜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어?", 즉 '왜'라는 질문을 일곱 번 반복하면 단순히 표면적인 목적에 그치지 않고 내면의 진정한 목적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내 삶의 근본적인 목적과 가치를 뿌리내려야, 진정한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추진력이 생길 수 있고, 본인이 목표한 시간보다 더 빠르게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선순환 구조가 생긴다. 생각해보면 깊은 고민 없이 정한 목표들은 '작심삼일' 금방 목표의 힘을 잃어버리고 만다....
참고 자료
윤정수, 「진성 리더십에 대하여」, 리더십 에세이 제 29호, 2011
송영수, 「국내 대기업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개발 요구도 분석」, 기업교육연구, 2014, 58-62
케이, 「리더십은 무엇이고 리더는 누구인가? 」, 네이버 블로그, 2019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zaan&logNo=221589319699&proxyRefere
r=http:%2F%2Fwww.google.com%2Furl%
3Fsa%3Dt%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web%26cd%3D%26ved%3D
2ahUKEwj6yZCszIrqAhVXUd4KHcSUAHMQFjACegQIARAB%26url%3Dhttp%253A%252F%2
52Fm.blog.naver.com%252Fkzaan%252F221589319699%26usg%3DAOvVaw1MjX15m1RfxEKFYMfKabks
이진우, 「리더의 실행력 핵심행동 찾아 시각화하라」, 문화경제뉴스, 2014 http://weekly.
cnbnews.com/news/article.html?no=113070
김재성, 「효율적인 회의의 5원칙」, 브런치, 2018 https://brunch.co.kr/@plusclov/251
최익성, 「회의 리더가 바꿀 수 있다」, 브런친, 2019 https://brunch.co.kr/@forplanb/110
함병우, 「리더십이 경쟁력이다-리더의 시간관리는 ‘셀프 리더십’이다」, 2014 http://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12770
리더십, Richard L. Daft, 한경사, 2016
리더십, 박보식, 대영문화사, 2017
리더십 입문, 피터 G. 노스하우스, 시그마프레스, 2016
리더십의 이해, 백기복, 창민사, 2016
영감을 불어넣는 ‘변혁적 리더’ 되는 법, 동아비즈니스리뷰, 2009년 2월 26호
https://dbr.donga.com/article/view/1306/article_no/1489
“약점을 강점으로 변화주도 히딩크는 보랏빛 변혁 리더”, 경향신문, 2002. 6. 1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0206111823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