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주제 설정 취지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치매 노인 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노인 의료비 및 조호비 등 사회적 부담이 예상되기 때문에 치매에 대한 보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치매는 조기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치매에 대한 국민 인식의 부족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제공되지 못해 이는 방치되고 있다. 충청북도의 2018년 추정 치매 유병률은 10.95%로 전국 추정 치매 유병률 10.16%보다 높으며, 청주시의 치매환자 유병현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갈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는 치매에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노인들에게 치매의 정의와 예방방법, 치매 환자의 가족에게는 치매 환자의 간호방법 등 치매와 관련된 내용을 보건교육 주제로 설정하였다.
2. 대상자 실태 조사
2.1. 교육 대상자 집단의 일반적 실태
교육 대상자 집단의 일반적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청주시 상당구 치매환자 유병현황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은 2015년 7.38%%, 2016년 7.42%, 2017년 7.47%, 2018년 7.49%이고 65세 이상은 2015년 10.11%, 2016년 10.39%, 2017년 10.59%, 2018년 10.69%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경증치매환자 및 치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인력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기암보건진료소는 상당 보건소와 연계하여 치매 안심센터에서 치매 상담 및 조기검진, 1:1 사례관리, 쉼터 및 카페운영, 찾아가는 기억지키미, 치매환자 돌봄, 재활 지원 사업,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등 다양한 치매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매주 한 번씩 치매예방프로그램 9988이 경로당에서 진행된다"
2.2. 보건교육 주제에 대한 일반적 실태
노인의 36.2%가 치매예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치매 예방 행위로 퍼즐, 도서, 음주 절제 및 흡연 감소를 신체 활동보다 두 배 이상 실시하는 것은 뇌 건강 증진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식이 변화, 사회활동 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에서 인지기능의 향상에 관한 선행연구와 더불어,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질병 발생에 대해 두려움이 낮을수록 치매예방행위를 잘 하고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가 치매예방행위를 높이며 치매두려움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를 적게 한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