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방암 사례 분석
1.1. 유방암의 정의와 특성
유방암은 우리 몸의 정상 세포가 무제한으로 자라나면서 유방 내에 발생한 악성 종양이다. 유방암은 유관(젖줄)과 유소엽(젖샘)의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생하며, 유방암의 약 80%가 유관암이다. 유관암 중에서도 유관의 안쪽에만 암세포가 있는 관상피내암은 전이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하지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주변 지방조직으로 퍼져나가는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여성에서 유방암은 가장 흔한 여성암 중 하나이다. 서구화된 식습관 및 생활 변화로 인해 최근 유방암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4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유방암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과거 유방암 병력, 가족력, 초경 시기, 폐경 시기, 출산력, 모유수유 여부, 호르몬 대체 요법 등이 있다. 그러나 전체 유방암 발생의 70-80%는 이러한 위험 요인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유방암의 초기 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점차 유방 내 멍울, 유두 분비물, 피부 변화, 유두 함몰, 유두의 습진성 병변, 겨드랑이의 응어리 등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유방 통증의 경우 유방암과 관련된 경우는 전체의 10-15% 정도로 흔하지 않다.
따라서 유방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30세 이후 월 1회 규칙적인 자가 검진, 35세 이후 2년 간격의 유방 촬영 및 의사 진찰, 40세 이후 1-2년 간격의 유방 촬영 및 의사 진찰 등이 권장되고 있다. 유방 촬영술은 초기 유방암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로, 유방 조직이 치밀한 경우 유방 초음파 검사가 추가로 시행된다. 또한 유방 초음파는 젊은 여성에서 유방암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1.2. 유방암의 위험 요인
유방암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유방암 병력이 있거나 가족(어머니, 자매)중에 유방암 병력이 있는 경우이다. 유전적 요인은 유방암 발생의 가장 큰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2-3배 유방암 발생률이 높다"".
둘째,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은 경우이다.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어지면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셋째, 출산력이 낮은 경우이다. 초산 연령이 늦거나 출산력이 낮은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다. 초산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20세 미만에 비해 약 3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다"".
넷째, 모유 수유 경험이 없는 경우이다.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다"". 모유 수유를 통해 유방조직이 분화되고 호르몬 분비가 조절되므로 유방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다섯째, 장기간의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은 경우이다. 폐경기 증상 완화를 위한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제제 복용이 5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여섯째, 비만한 경우이다. 특히 폐경기 이후 비만한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다. 비만은 에스트로겐 분비 증가와 연관되어 있어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일곱째, 방사선 조사를 받은 경우이다. 소아기나 청소년기에 흉부 방사선 조사를 받은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나 유방암 발생의 70-80%는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1.3. 유방암의 증상
유방암의 증상은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진행이 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유방암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유방 내 무통성 종괴, 유두 분비물, 유두 함몰, 유두 습진성 병변, 피부 함몰 및 변형, 겨드랑이 림프절 비대 등이 있다""
초기 유방암에서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환자 스스로 유방 종괴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괴가 크기가 커지면서 통증 없이 단단하고 고정된 종괴가 만져지게 된다. 또한 유두 분비물이 있거나 유두가 함몰되거나 피부가 늘어나거나 움푹 들어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밖에도 겨드랑이 림프절이 만져지기도 한다""
환자들 중 약 10-15%만이 유방암과 관련된 증상으로 유방통을 호소하며, 대부분의 유방통은 유방암과 무관한 양성 질환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유방암의 증상으로 유방통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유방암이 진행되면 피부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생기며 발적이 동반되기도 하고, 피부가 주름져서 오렌지 껍질 모양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유두가 함몰되거나 궤양이 생기기도 한다""
이처럼 유방암의 초기 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진행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유방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유방암의 진단
유방암의 진단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한국유방암학회에서 권장하는 조기 진단을 위한 검진 권고안이 있다. 30세 이후 매월 자가 검진, 35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