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박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박치기'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정체성
1.1. 재일조선인의 삶과 정체성 혼란
1.2. 일본 정부와 남북한 정부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정책
1.3. 조총련과 민단의 활동이 재일조선인에 미친 영향
1.4. 재일조선인의 국적 선택 과정과 갈등
1.5. 코우스케와 경자의 사랑을 통해 본 화해의 가능성
2. 영화 속 재현된 1960년대 일본의 사회적 배경
2.1. 1968년 혁명의 영향과 학생운동
2.2. 당시 일본 사회의 문화적 흐름
3. 영화 '박치기'의 상징적 요소와 메시지
3.1. 노래 '임진강'의 의미와 역할
3.2. '박치기'라는 제목의 상징성
3.3. 학생들의 갈등과 폭력이 지니는 의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박치기'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정체성
1.1. 재일조선인의 삶과 정체성 혼란
재일조선인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에도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 되어왔다. 일본으로 건너온 이유가 자발적이었든 강제적이었든 간에 그들은 늘 '타자'로 취급받아왔다. 해방 후에는 남북 분단으로 인해 자신들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게 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어떠한 국가에도 온전히 속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우선 일제강점기에는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으로 강제 동원되거나 자의적으로 건너갔다. 일본 정부는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강제 동원을 자행했고, 일부 조선인들은 더 나은 삶을 찾아 자발적으로 일본행을 결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일본 내에서 갖은 멸시와 핍박,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으며 살아야 했다. 특히 영화 '박치기'에서는 강제징용으로 끌려온 재덕이 겪은 수많은 고난과 차별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재일조선인들은 일본에서 늘 소수자이자 타자로 취급받아왔던 것이다.
해방 후에도 그들의 처지는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남북 분단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게 된다. 그들은 어느 국가에도 완전히 소속될 수 없는 경계인이 되어버린 것이다. 영화 '박치기'에서도 주인공 코스케가 경자에게 "당신과 결혼하면 나도 조선인이 될 수 있나요?"라고 묻는 장면은 이러한 정체성 혼란을 잘 보여준다.
이처럼 재일조선인들은 해방 이후에도 일본 사회 속에서 계속해서 차별받으며, 정체성의 갈등을 겪어왔다. 그들은 자신들의 '조국'이 무엇인지, 어디에 소속되어야 하는지 결정하지 못한 채 타자로 존재해야 했다. 이는 그들이 겪어야 했던 역사적 트라우마와 아픔의 결과였다.
1.2. 일본 정부와 남북한 정부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정책
일본 정부와 남북한 정부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정책은 재일조선인들의 국적 선택과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선, 일본 정부의 경우 해방 이후에도 재일조선인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 정책을 지속하였다. 일본은 재일조선인들의 국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을 체결하여 그들을 무국적자로 만들었다. 또한 1952년에는 외국인등록령을 제정하여 재일조선인들에게 외국인 등록증 휴대 의무를 부과하였다. 이는 재일조선인들을 일본 사회에서 배제하고 차별하는 정책이었다. 더욱이 일본 정부는 재일조선인들의 귀화를 적극적으로 장려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많은 재일조선인들이 일본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채 일본에 거주하게 되었다.
한편, 남북한 정부 또한 재일조선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남한 정부는 북송사업에 반대하며 재일조선인들의 귀국을 거부하였고, 이에 반해 북한 정부는 적극적으로 재일조선인들의 북송을 추진하였다. 북한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약 86,000명의 재일조선인들을 북송하였는데, 이는 재일조선인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하였다. 북송사업에 동참한 재일조선인들은 북한에서도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차별과 핍박을 받았다.
이처럼 일본과 남북한 정부의 상반된 정책은 재일조선인들의 국적 선택과 정체성 혼란을 야기하였다. 일본 정부의 차별적 태도로 인해 많은 재일조선인들이 일본 국적을 취득하지 못했고, 남북한 정부의 대립으로 인해 그들은 자신의 진정한 조국이 어디인지 알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어려워졌고, 영화 '박치기'에 나타난 바와 ...
참고 자료
이승진, 「재일조선인조직의 태동과 전개 – 1920~1950년대를 중심으로」, 《일본학 46권》,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05
김종곤, 「‘재일’ &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가치지향성 - 재일 조선인 3세를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제59집》,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09
권준희, 「"분단내셔널리즘"과 "조선적" 재일조선인 -재일조선인 3세의 "조선적" 개념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연구 3권》, 한일민족문제학회, 2002.12
한영혜, 「협정영주권과 재일한인 정체성의 재구성 ― `조선`과 `한국`; 경계짓기와 경계넘기」, 《사회와 역사(舊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113권》, 한국사회사학회, 2017.03
박정진, 「북한의 대일접근과 재일조선인 "북송(귀국)문제"」, 《북한연구학회보 15권 1호》, 북한연구학회, 2011.08
이토히로코, 「조선학교 선택에 있어 보이지 않는 경계선」, 《재외한인연구 제46호》, 재외한인학회, 20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