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왓슨의 10가지 돌봄요인을 향상 시킬 수 있는 4주 돌봄 활동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Watson의 인간 돌봄 이론
2.1. 이론의 배경과 주요 개념
2.2. 10가지 돌봄 요소
3. Watson 이론의 실무 적용 사례
3.1. 국내 연구 사례
3.2. 국외 연구 사례
4. Watson 이론의 실무 적용성 평가
4.1. 이론의 적용성 분석
4.2. 향후 연구 방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학은 돌봄의 학문으로 간호사는 대상자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질병의 회복과 건강의 증진을 위해 돌봄의 행위를 실천한다. 간호사와 대상자는 돌봄의 측면에서 발전된 협력적 파트너십 과정에 의해 서로 성장해 가며, 간호 상황은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의 돌봄 관계가 공유되는 삶의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간호사의 자기 이해와 자기 변화의 과정임과 동시에 대상자와의 만남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 돌봄의 과정이기도 하다. 돌봄 중재는 대상자의 자아 존중감을 유발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증진시키고 대인관계를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장소나 시간 또는 신체적 접촉으로 제한되거나 구속되지 않고 종합적이고 역동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표현되므로 대상자가 어떤 상태에 있다 해도 돌봄을 받고 있음을 의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자질과 결합하여 대상자의 자아 가치감을 회복하고 자아 존중감을 증진함으로써 최적의 안녕과 회복을 위해 다양한 치료에 순응하도록 동기부여를 하게 된다. 이러한 돌봄의 특성으로 간호와 돌봄 과정은 반드시 동반된다.
2. Watson의 인간 돌봄 이론
2.1. 이론의 배경과 주요 개념
Watson의 인간 돌봄 이론의 배경과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Watson은 간호의 본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인간은 그 부분의 합과는 다른 그 이상의 존재이며 돌봄과 존경, 양육, 이해 및 도움을 받아야 한다. 둘째, 인간 대 인간의 관계와 상호작용, 인간 대 환경과의 관계를 포함한 이 관계가 건강과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둔다. 셋째,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의 인간 대 인간 돌봄의 관계 및 이 관계가 건강과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둔다. 넷째, 인간에 대한 돌봄의 비의학적 과정과 건강과 질병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간에 대한 돌봄에 관심을 둔다. 다섯째, 건강과 건강증진 및 안녕에 관심을 둔다. 여섯째, 간호의 인간 돌봄에 관한 지식은 의학적 지식과는 명백히 다르며 서로 보완적이다.
Watson은 간호의 핵심인 돌봄을 다루기 위해 10가지 돌봄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 요소들은 간호사가 간호 실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루어야 하는 인간 경험에 특화된 돌봄 요구들이다. 각각의 돌봄 요소에는 개인과 관련된 역동적인 현상학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Watson은 간호사가 10가지 돌봄 요소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발전을 촉진시킬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각 돌봄 요소는 대상자가 건강을 얻고 유지하는 방식 또는 평화롭게 죽는 방식과 관련된 돌봄 과정을 기술한다.
이러한 Watson의 인간 돌봄 이론은 간호학의 도덕적이고 철학적인 토대를 제공하며, 돌봄의 형이상학적 개념을 통해 다양한 간호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총체적 접근을 시도하려는 노력으로 여러 간호 실무 현장에서 Watson의 돌봄에 대한 요소들을 적용하여 실무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2.2. 10가지 돌봄 요소
Watson의 10가지 돌봄 요소는 간호사가 돌봄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다루어야 하는, 인간 경험에 특화된 돌봄 요구들이다."
1. 인본주의적 이타적 가치 체계의 형성은 돌봄 의식의 맥락 내에서 간호사가 사랑과 친절, 평정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자신만의 가치관을 세우고 롤모델을 선정하여 자신을 발전시킨 후 대상자를 대할 때 차별이 없어야 하며, 대상자의 입장에서 무엇을 원하고 무엇이 필요한지 끊임없이 탐구하는 역지사지 정신을 가져야 한다."
2. 신념-희망 부여는 간호사가 대상자와 진정으로 함께 있어주고, 서로의 신념체계를 활성화시키고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소통하며 대상자의 비합리적인 생각을 정리하고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을 발견하여 대체학습을 시키며, 평범한 인사가 아닌 공감적인 표현을 통해 신뢰감과 믿음을 얻을 수 있다."
3.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감수성 개발은 간호사가 자기 자신의 영적 영역과 자아를 초월한 초개인적 자아를 함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먼저 자기노출을 하고 대상자의 ...
참고 자료
Martha Raile Alligood 지음. 김혜원 外 12명 옮김. 『간호이론가와 이론』. 대학서림, 2016.
Melanie McEwen 지음. 고진강 옮김. 『간호이론』. 수문사, 2016.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이은희, 정면숙.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2009.
전연숙, 강경아 (2014). 가정간호에 대한 돌봄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 Watson의 돌봄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1), 57-70.
한선희, 남은숙. (1997). 인간과학적 배경과 Watson의 돌봄이론. 한국간호교육학회지, 3(2), 246-254.
허명륜, 임숙빈. (2019).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49(1). 80-91.
김희영. (2020). 사람 돌봄 이론을 적용한 국내 간호연구 분석. 기본간호학회지, 27(2), 116-128.
Luckose, A. (2011). Developing a practice model for Watson's theory of caring. Nursing Science Quarterly, 24(1), 27-30.
Noel, D. L. (2010).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ractice through the human caring lens. AAOHN Journal, 58(1), 17-26.
Brockopp, D., Schreiber, J. Hill, K., Altpeter, T., Moe, K., & Merritt, S. (2011). A successful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in an acute care setting. Oncology Nursing Forum, 38(5), 509-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