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남양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남양주시 지역사회 현황
1.1. 지리적 특성
1.2. 인구 현황
1.2.1. 인구 규모 및 증가율
1.2.2. 연령별 인구 분포
1.3. 보건의료 현황
1.3.1. 의료기관 및 인력
1.3.2. 보건사업 인프라
2. 남양주시 건강수준 분석
2.1. 건강행태
2.1.1. 신체활동
2.1.2. 영양
2.1.3. 흡연
2.2. 만성질환
2.2.1. 비만
2.2.2. 만성질환 관리
2.3. 건강수준 지표
2.3.1. 사망률
2.3.2. 건강수명
3. 지역사회 보건사업 사례 분석
3.1. 국내 사례
3.1.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3.1.2. 치요다 보건소의 『건강치요다21』
3.2. 국외 사례
3.2.1. 독일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남양주시 지역사회 현황
1.1. 지리적 특성
남양주시는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한 도농복합도시로, 총 면적은 458.1㎢이다. 지리적으로 서울의 동북부 관문에 해당하며, 경춘선 철도와 경기도 주요 고속도로들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남양주시의 지명유래를 살펴보면, 고구려 시대에는 '골의노(骨衣奴)'라 불렸고, 통일신라시대에는 '황양(荒壤)', 고려시대에는 '풍양(豊壤)'으로 변천해왔다. 이후 고려 936년부터 '양주(楊州)'라는 명칭이 등장하였고, 1410년 양주목으로 승격되며 자리를 굳건히 하게 된다. 한편 지금의 진접·진건 지역은 별도의 지명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 '황양', 고려시대 '풍양'으로 불렸다. 이후 1530년 '접동, 진벌, 건천, 진관' 등의 면지명으로 표기되며 양주의 일부로 자리잡게 된다. 1980년 4월 1일 남양주군이 신설되면서 남양주시의 역사가 새롭게 시작되었고, 이후 행정구역 승격 등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남양주시는 맑고 청정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데, 대표적인 상징물로는 소나무, 개나리, 크낙새 등이 있다. 전체 면적 458.1㎢ 중 181.35㎢가 개발제한구역, 194.9㎢가 상수원특별대책지역, 42.38㎢가 상수원보호구역, 43.4㎢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도시화보다는 녹색도시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이에 따라 지역이 크게 북부생활권, 남부생활권, 동부생활권으로 구분되는데, 북부생활권은 도시화가 진행 중인 지역, 남부생활권은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 동부생활권은 관광 및 농업지역으로 특성화되어 있다.
요약하면, 남양주시는 서울 동북부의 관문 역할을 하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녹색도시로서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인구 현황
1.2.1. 인구 규모 및 증가율
남양주시의 인구 규모 및 증가율은 다음과 같다.
남양주시의 총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000년 339,545명이었던 인구가 2018년 4월 기준 669,553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 증가는 별내신도시, 다산신도시, 평내·호평지구 등의 신도시 및 택지지구 개발로 인한 것이다.
별내신도시의 경우 2011년 신설 당시 인구가 2,700여 명이었으나 2018년 2월 말 현재 69,358명으로 남양주시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동이 되었다. 평내·호평지구는 2004년부터 택지개발이 진행되면서 약 9만 명의 인구를 가지게 되었다. 다산신도시도 최근 남양주시의 중심도시로 부상하고 있으며, 2018년 4월 기준 인구가 66,942명이다. 이 지역들은 남양주시 전체 인구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남양주시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신도시 개발을 비롯한 지속적인 도시화로 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2.2. 연령별 인구 분포
남양주시의 연령별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40대가 132,228명(18.1%)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50대 122,453명(16.7%), 60대 90,900명(12.4%) 순으로 나타났다. 15세 미만 인구는 2017년 15.7%에서 2020년 14.3%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남양주시의 연령별 인구 구조를 살펴보면 20~40대가 46.35%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령화 지수도 2019년 87.8에서 2021년 103.7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남양주시의 인구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3. 보건의료 현황
1.3.1. 의료기관 및 인력
남양주시의 의료기관 및 인력은 다음과 같다. 남양주시에는 총 3개의 종합병원, 8개의 병원, 5개의 요양병원이 소재하고 있다. 이는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의료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보건소 1개소, 보건지소 2개소, 보건진료소 2개소 등 공공의료기관도 지역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 치매안심센터 3개소, 건강생활지원센터 2개소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남양주시의 의료인력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의사 480명, 치과의사 181명, 한의사 140명, 약사 28명, 간호사 590명, 간호조무사 1,106명, 의료기사 543명, 의무기록사 1...
참고 자료
남양주시청, 남양주 인구조사, https://www.nyj.go.kr/main/1, 2023.7.12
보건복지부, 인구통계 조사,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2023.7.12
남양주보건소, 보건사업, https://www.nyj.go.kr/main/1671, 2023.7.12
안옥희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2020
장영은, 윤오순 공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지침서, 현문사, 2023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흡연율, https://kosis.kr/index/index.do, 2023.7.12
국가 질병청, 전염병 관리, http://www.kdca.go.kr/. 2023.7.12
남양주시 정보통신과, 2022 남양주시 사회조사 보고서, 남양주 시장, 2023.7.12.
김근영(2010), "수도권 인구 교외화 시대에 지역의 인구주거특성과 선거투표 결과 간 관계에 대한 연구", p97
배신석(2017), "투표선택과 이념성향의 세대요인 : 1992-2017 대통령선거 분석", p214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경기도민일보, "[6·13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조광한 남양주시장 후보 힘있는 여당시장, 도 시철도망 확장하겠다.", 2018.06.10.
경기일보, "한국당 예창근 남양주시장 예비후보, 남양주 10대 공약 발표", 2018,05,09
인천일보, "[6·13지방선거] 남양주시장 후보 공약". 2018.06.06.
경인일보, "[경인일보 남양주시장 여론조사]30·40·50대 절반 이상 '조광한 선택'...48.6% 민주당 지지', 2018,05,30
보건복지부_정책_건강정책_국민건강증종합계획(Health Plan, HP)
방경숙, 이인숙, 김성재, 송민경, 박세은. (2016). 직장인의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이 건강증진행위, 신체적 건강,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과학회지, 46(1), 140-14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일본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사례 및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목포시 건강증진과.(2014).공무 국외출장 결과보고.해외우수 건강증진사업 벤치마킹
제7기(2019_2022년) 남양주시 지역보건의료계획
『지역사회건강조사』통계정보보고서2020. 12 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