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정의례와 세시풍속
1.1. 가정의례의 변화
1.1.1. 성인식의 변화
과거에는 특정 연령에 도달하면 의례를 행함으로써 주위로부터 성인이 됨을 인정받는 형식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 와서 관례는 별 중요성을 차지하지 못하고 결혼식에 그 의미만 통합시키고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는 나이가 어린 아이도 신랑과 신부가 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지금은 성인이 되어서야 혼인식을 치르므로 관례의 의미가 퇴색했다. 나이 20세에 대해서는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고, 주민등록증을 발급, 술집출입을 할 수 있는 나이, 운전면허증을 탈 수 있는 나이 등으로 실제 생활과 관련된 의미를 더 찾는 것 같다.""
1.1.2. 혼례의 변화
오늘날 예식의 순서도 상당히 많은 부분이 전통혼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전통적 의상인 한복을 입고 하는 예식은 매우 드물며, 서구의 결혼식과 별차이가 없어 상당히 달라진 모습을 실감할 수 있다. 또한 결혼식의 절차나, 그 이전에 함을 준비해서 파는 과정이나, 결혼식 이후에 폐백을 올릴 때나 신부 집에서 신랑집에 이바지 음식을 보내는 과정에서 점차로 그 절차가 까다로워지고 기대치가 높아지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경제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부모가 자녀에게 투자하는 비용이 많아지고, 자녀수가 적어지므로 일생에 몇 번되지 않는 기회로 생각하고 부모 측에서 소비를 절제하지 않는 경향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오늘날 혼례는 예식비 중 높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청첩장 배포의 경우 낯 모르는 사람들에게까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참석 부담이 가중되는 등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예식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들도 마련되고 있는데, 사내 예식홀 활용, 피로연 메뉴 간소화, 결혼 촬영의 당일 진행 등을 통해 실속있고 경제적인 결혼식을 치르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1.1.3. 장례의 변화
과거에는 출생이나 사망이 집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이제는 출산도 사망도 모두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상례에 관련된 의식도 병원에 맡기는 풍토로 바뀌고 있다. 요즘은 아파트에서 많이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