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SG경영 자본주의 대전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ESG 경영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1.1. ESG 경영의 개념과 중요성
1.2. 주주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자본주의의 이해
1.3. ESG 경영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관계
1.4. ESG 경영의 사회적 요구와 기업의 대응
2. ESG 경영 관련 동향과 사례
2.1.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등장과 확산
2.2. 국내외 기업의 ESG 경영 사례
2.3. ESG 관련 투자 동향과 영향
3. ESG 경영을 위한 정책과 과제
3.1. ESG 경영 관련 법제도 및 제도 개선방안
3.2. ESG 경영 추진을 위한 기업의 과제
3.3. ESG 경영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ESG 경영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1.1. ESG 경영의 개념과 중요성
ESG 경영은 기업이 경영을 함에 있어서 환경(Environment)과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을 해야 한다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이다.
첫째, 환경 측면에서 기업은 생산이나 제조 활동을 함에 있어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기 위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며 생물 다양성을 보호해야 한다.
둘째, 사회 측면에서 기업은 인권 보호와 양성 평등, 다양성 존중, 데이터와 프라이버시 보호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종업원, 고객,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지배구조 측면에서 기업은 기업윤리를 지키고 부패를 척결해야 하며, 이사회와 감사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투명하고 합법적인 경영을 실천해야 한다.
이처럼 ESG 경영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성과 책임성을 강조한다. 과거에는 기업 평가 시 재무적 지표가 중요하게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비재무적 지표인 ESG가 기업의 실질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소비자들도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 경우 해당 기업의 제품을 외면하고 있으며, 반대로 ESG 모범기업의 제품에 대해서는 높은 구매 의사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필수적인 경영 전략이 되고 있다.
1.2. 주주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자본주의의 이해
주주자본주의란 기업의 자본활동의 모든 것이 주주의 이익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자본주의의 발전 형태이다. 주주자본주의에서 주주는 회사의 주인으로 여겨지며, 기업은 주주를 위해 움직이는 것이 당연하다고 간주된다. 모든 주주들은 가능한 한 회사의 의사결정과 경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경영자는 주주를 대신해서 사업을 운영하는 대리인에 불과하다. 따라서 주주자본주의에서는 경영자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제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해관계자자본주의는 기업이 경영을 수행할 때 장기적으로 기업과 이해관계를 가지는 재단과 연금이 기업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업이 단기적인 성과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기업과 장기적으로 이해관계를 함께 하는 경영진, 근로자, 소비자, 공급자 같은 주체들의 이익에 부합하도록 경영을 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해관계자자본주의는 ESG 경영 중에서도 특히 G를 강조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주주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자본주의는 기업 경영의 핵심 주체와 목적에 있어 차이가 있다. 주주자본주의에서는 주주의 이익 극대화가 가장 중요한 목표이지만, 이해관계자자본주의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균형있게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 ESG 경영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관계
ESG 경영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동의어는 아니다. ESG 경영은 '지속가능한 가치의 창출'을 추구하는 개념이며,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주주만이 기업의 주인이 아니며 소비자, 종업원, 협력업체, 지역사회, 채권자 등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공동의 주인이 된다는 관점이다.
ESG 경영에서는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환경'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에서 말하는 '이해관계자'는 아니다. 그러므로 ESG 경영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가 완전히 동일한 개념은 아니다.
다만, ...
참고 자료
egs.krx.co.kr, ESG 소개
한국경제연구원(kero.org), 기업법과제도이슈, 2008.10.6. 신석훈, 주주자본주의의 허와 실
조선비즈, 2013.3.24. 이동훈, [인터뷰] 주주 자본주의는 끝났다 이젠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 제정 안내, 북포메이션
‘따뜻한 자본주의 시대의 ESG 경영’, 대한변협신문, 2021.03.08. 『자본과 이데올로기』(토마 피케티, 문학동네)
『2020 ESG 글로벌서밋』(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장훈 한국수자원공사 홍보실장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부제: 자본주의 '그레이트 리셋', 이젠'ESG 경영‘ 시대), 최남수 저, 새빛, 2021년 01월 28일
코로나와 ESG, 법률신문, 이근우 변호사, 202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