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본간호학 개요
1.1. 교과목 개요
기본간호학의 교과목 개요는 대상자의 기본요구에 따라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즉, 기본간호학은 대상자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중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기본간호학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1.2. 학습목표
대상자의 기본요구인 산소화, 영양, 배설, 활동과 운동, 안위 및 안전 요구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한다는 것이 학습목표이다."기본간호학의 학습목표는 대상자의 기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하고 수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산소화, 영양, 배설, 활동과 운동, 안위 및 안전 요구를 파악하고 중재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감염관리, 욕창간호, 투약 등의 중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도 함양하는 것이 학습목표이다."
1.3. 기본간호학의 6가지 기본요구
기본간호학의 6가지 기본요구는 산소화 요구, 영양 요구, 배설 요구, 활동과 운동 요구, 안위 요구, 안전 요구이다.
산소화 요구는 호흡기계와 심혈관계 기능의 사정과 관찰을 통해 저산소증의 위험을 파악하고, 산소 공급 체계를 통해 대상자에게 적절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산소화 문제에 대한 위험요인과 현재 문제에 대한 증거를 파악하기 위해 호흡기계와 심혈관계의 사정이 이루어진다. 동맥혈가스분석(ABGA)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정도를 확인하고, 필요 시 보조 산소 공급이나 호흡 보조 등의 중재를 제공한다.
영양 요구는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영양 공급을 계획하고 중재하는 것이다. 영양 요구 사정에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BMI) 등의 신체계측과 식이력, 혈액검사 결과 등이 포함된다. 구강섭취, 경장영양, 정맥영양 등 대상자의 상태에 적합한 영양공급 방법을 선택하고 실행한다.
배설 요구는 대상자의 배뇨, 배변 기능을 사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배설 관리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배뇨 및 배변 습관, 배뇨/배변 곤란 등의 배설 문제를 사정하고, 필요 시 도뇨관 삽입, 변기 사용 보조, 관장 등의 배설 간호를 제공한다.
활동과 운동 요구는 대상자의 활동 능력과 운동 양상을 사정하고, 이에 따른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보행 상태, 관절가동범위 등을 사정하고, 침상 안정, 관절 운동, 보행 훈련, 물리치료 등의 활동 증진 중재를 제공한다.
안위 요구는 대상자의 편안함과 안락함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면, 체온, 통증, 피로 등의 사정과 중재를 포함한다. 수면의 질, 체온 변화, 통증의 양상과 정도, 피로감 등을 사정하고 수면 증진, 체온 조절, 통증 관리, 피로 완화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안전 요구는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낙상, 감염, 사고 등의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예방 중재를 제공한다. 낙상 위험, 감염 징후, 잠재적 위험 요인 등을 사정하고 예방적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기본간호학의 6가지 기본요구는 대상자의 다양한 기본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간호사는 대상자 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2. 병원의 물리적 환경
2.1. 간호단위의 구조와 기능
2.1.1. 병실
병실은 병원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병실에는 1인실과 다인실이 있는데, 다인실의 경우 각 침대마다 커튼을 이용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병실에는 대상자의 편의를 위해 침대, 침상 위 탁자, 침상 옆 탁자, 호출장치, 침상난간, 머리맡 전등, 흡인구와 산소출구, 침상보조기구 등의 다양한 기구와 장치가 갖춰져 있다. 간호사는 이러한 장비와 기구들이 적절한 위치에 있어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병실 환경은 대상자의 안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안락하고 편안한 병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기와 냄새, 실내온도와 습도, 조명, 프라이버시와 소음, 색 등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병실은 악취가 날 수 있으므로 환기에 유의해야 하고, 대상자의 편안함을 위해 20~23도의 실내온도와 60~70%의 적정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고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처럼 병실은 대상자의 안녕과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2.1.2. 간호사실
간호사실은 대상자의 기록과 업무 연락, 물품 공급이 원활하도록 병동의 중심 장소에 위치한다. 간호사실에서는 대상자의 상태와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간호를 계획하며, 필요한 물품을 확인하고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의료진들과 대상자의 치료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간호사실에는 대상자의 기록을 보관하는 서류 보관함과 각종 전화기, 팩스, 컴퓨터 등의 통신 장비가 갖추어져 있어 정보 교환과 업무 처리가 용이하다. 효율적인 간호 수행을 위해서는 간호사실의 효과적인 활용이 중요하다."
2.1.3. 치료실
치료실은 간호사실과 연결되어 있으며, 병실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처치나 검사물 채취를 위해 필요한 의료장비와 물품을 갖추고 있다.
치료실은 처치나 검사를 위해 필요한 장비와 물품이 준비되어 있는 곳이다. 대상자의 병리적 상태로 인해 병실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처치나 검사물 채취 등을 이루어낼 수 있도록 관련 물품과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치료실은 간호사실과 인접해 있어 대상자의 처치나 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중재할 수 있다.""
2.1.4. 배선실
배선실(serving kitchen)은 대상자의 급식을 위해 준비된 장소이며, 음식을 데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