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않을 경우에는 정충생성 조직이 변성되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고, 탈장·고환염전 등이 유발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염색체 이상이나 고환 또는 뇌하수체 이상, 하강유도를 하는 견인대의 이상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서혜부탈장, 불임, 고환종양과 같은 합병증이 많으므로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한다. 잠복고환은 조기에 교정해야만 고환암이나 불임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 연구를 통해 잠복고환의 원인을 포함한 치료, 간호 등의 이론적 지식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간호를 제공하여 임상에서 더욱 효율적인 간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2. 잠복고환의 정의와 특성
2.1. 정의
잠복고환은 "고환이 음낭 속이 아닌 복강이나 서혜부 등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 태아 시기에는 고환이 복강 내에 있다가 점차 하강하여 음낭으로 이동하여 출생 시에는 음낭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음낭까지 하강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고환의 정자 형성 세포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복부보다 온도가 1.5-2도 정도 낮은 음낭에 위치해야 정상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잠복고환증이 치료되지 않고 계속 복부 안에 고환이 있으면 정상적인 정자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다."
2.2. 발생 빈도
잠복고환의 발생 빈도는 만삭아에서 3%로 나타나며, 미숙아에서는 약 30%로 더 높게 나타난다"" 이는 태아 시기에 고환이 복강 내에서 발생하여 점차 하강하여 출생 시 음낭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음낭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미숙아의 경우 이러한 고환의 하강 과정이 더 취약하기 때문에 잠복고환의 발생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발생 위치
잠복고환의 발생 위치는 주로 복강, 서혜부, 음낭 및 그 주변에 발생한다. 오른쪽에 더 많이 발생하며(70~80%), 약 10%에서 양측에 발생한다. 잠복고환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은 서혜부에 위치한 정류고환이며, 복강 내에 위치한 고환은 비교적 드물다. 또한 이소성 고환이라고 하여 정상적인 하강 경로에서 벗어나 이상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즉, 외서혜부, 대퇴부, 회음부 등 정상 경로를 벗어난 위치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3. 잠복고환의 원인
3.1. 호르몬 이상
잠복고환의 원인으로 호르몬 이상이 알려져 있다. 호르몬 이상으로 인해 고환이 정상적으로 하강하지 못하는 것이다.
잠복고환의 경우 양측성인 경우가 많으며, 이는 호르몬 이상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고환은 태아기에는 복강 내에 존재하다가 출생 시 음낭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호르몬이 관여하는데, 호르몬의 불균형이 있을 경우 정상적인 고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잠복고환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남성호르몬(안드로겐)의 결핍이나 수용체의 이상, 고환자극호르몬(FSH, LH)의 이상 등이 잠복고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안드로겐은 태아기에 고환 하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안드로겐 결핍이나 수용체의 기능장애가 있으면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한다. 또한 고환자극호르몬도 고환의 발달과 기능에 관여하므로, 이 호르몬의 이상도 잠복고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호르몬의 불균형이 잠복고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양측성 잠복고환의 경우 호르몬 이상이 주된 기전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잠복고환 환자에서는 관련 호르몬 검사를 통해 내분비학적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3.2. 해부학적 이상
해부학적 이상은 고환의 하강 경로에 문제가 있어서 고환이 제대로 음낭까지 내려오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고환길잡이(고환도대), 샅굴(서혜관), 정관, 정계혈관, 음낭 등에 이상이 있어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한다. 이외에도 고환 자체의 이상으로 고환이 하강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고환줄의 길이가 짧거나 고환줄의 유착, 정상적인 고환줄을 감싸고 있는 지방조직의 이상 등으로 인해 고환이 정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