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공황장애의 정의
1.1. 개념
공황장애는 이유 없이 삽화적으로 갑자기 공포심이 극도로 심해지며, 숨이 막히거나 심장이 터져 버릴 것 같은 극단적인 불안 증세를 보이는 상태이다. 공황장애가 있는 환자는 대개 광장 공포증도 동반하는데, 이는 공공장소 특히 급히 빠져나갈 수 없는 상황에서 도움 없이 혼자 있게 될 때 느끼는 공포증이다. 대개 고전적 조건화기제에 의해 공황발작을 겪었던 당시의 장소에 대해 광장 공포증이 발생하여 그 장소를 피하는 회피행동을 보인다. 공황장애는 DSM-Ⅳ에 의해 ①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 ② 광장공포증을 동반하지 않은 공황장애 ③공황장애의 과거력이 없는 광장공포증 등으로 분류한다.
1.2. 공황장애의 아형
공황장애의 아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황발작이다.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고 극심한 염려감, 두려움, 공포감이 비정기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서 곧 죽을 것 같은 느낌을 동반한다. 이러한 발작이 있는 동안에는 숨이 가쁘고, 심계항진이 있으며, 가슴의 통증이나 답답함, 질식할 것 같은 느낌, 그리고 미칠 것 같은 두려움이나 자신을 조절할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둘째, 광장공포증이다. 광장공포증은 즉각적으로 피하기 어려운 장소나 상황에 처해 있거나, 공황발작이나 공황과 유사한 증상이 일어났을 때 도움받기 어려운 장소나 상황에 처해 있다는데 대한 불안이나 회피이다""
셋째, 광장공포증이 없는 공황장애이다. 이는 예기치 못한 반복적인 공황발작이 특징이며, 이 장애는 지속적인 염려감을 불러일으킨다""
넷째, 광장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이다. 이는 예기치 못한 공황발작과 광장공포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점이 특징이다""
다섯째, 공황장애의 과거력이 없는 광장공포증이다. 이는 예기치 못한 공황발작의 과거력이 없이 광장공포증이나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점이 특징이다""
2. 공황장애와 정신건강의 관계
K부인의 경우는 공황장애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K부인은 평소 건강하고 쾌활한 성격이었으나 작년에 갑자기 공황발작을 경험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가끔씩 발생하던 공황발작이 점점 늘어나면서 버스나 백화점, 지하철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K부인은 점점 건강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되었고, 매사에 자신감도 떨어지면서 불안하고 우울한 기분으로 지내게 되었다"" 결국 K부인은 신경정신과를 방문하여 공황장애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게 되었다""
이처럼 공황장애는 단순한 신체적 증상을 넘어서 개인의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복적인 공황발작과 광장공포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되면서 자신감 저하, 우울, 불안 등의 정신건강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건강의 문제는 다시 공황장애의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공황장애 환자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는 단순히 신체증상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공황장애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정신건강 증진을 통해 공황장애 자체의 호전까지 도모할 수 있는 통합적인 치료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3. 공황장애의 특성
3.1. 특징
공황장애는 뇌 전달 물질에 불균형으로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끼는 정신질환의 하나로, 예측할 수 없는 순간 또는 어떤 특정 상황에서 갑자기 극심한 공포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가장 큰 특징은 검진을 통해 아무 이상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다.
공황장애 환자는 심계항진, 땀 흘림, 몸의 떨림, 숨 막힘, 질식감 등 신체 증상을 호소하며, 통제력을 잃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죽을 것 같은 두려움 등의 심리적 증상을 경험한다. 이러한 증상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