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제안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09.24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이디어 제안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버너러블맵" 서비스
1.1. 교통약자의 현황과 문제점
1.2. "버너러블맵" 서비스의 주요 기능
1.3. 기존 서비스와의 차별화 요소
1.4. 개발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

2. 생체인식 기반의 안전한 결제 서비스
2.1. 비접촉 생체인식 결제 기술의 동향
2.2. 생체인식 보안의 한계와 보완 방안
2.3. 핸드폰 기반의 생체인식 인증 플랫폼

3. 교통안전을 위한 교차로 모퉁이 말뚝 설치
3.1. 교차로 사각지대 발생의 문제점
3.2. 모퉁이 말뚝 설치를 통한 사고 예방
3.3. 센서 연동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4. 외국인 불법체류 감시 및 지역 안전 강화
4.1. 제주도 내 외국인 불법체류 문제
4.2. 읍면동 단위 외국인 불법체류 감시단 구성
4.3. 불법체류자 단속과 지역 주민 안전 도모

5. 제주도 소규모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
5.1. 소규모 지역 서점의 문제점
5.2. 지역 서점 컨소시엄과 문화 콘텐츠 개발
5.3. 심야 책방 운영을 통한 지역 문화 활성화

6. 반려견 전자칩 장착과 입도 신고 의무화
6.1. 제주도 내 유기견 발생 문제
6.2. 전자칩 장착을 통한 유기견 감소 방안
6.3. 반려견 입도 신고 의무화와 정보 공유

7. 반려견 전용 공원 지정 및 운영
7.1. 반려견 산책 공간 부족의 문제
7.2. 반려견 전용 공원 지정을 통한 해결
7.3.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공존 방안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버너러블맵" 서비스
1.1. 교통약자의 현황과 문제점

교통약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0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구 5183만명 중 약 29.7%인 1540만명이 교통약자로 집계되었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교통약자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교통약자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세계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전국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주관 시위가 있었는데, 이는 장애인들이 겪는 교통의 불편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휠체어 장애인들이 지하철에서 시위를 벌일 정도로 그들의 교통 이동권은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않고 있다.

제도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교통약자들의 불편함이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기존 대중교통 이용정보 서비스가 비장애인 위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네이버, 카카오 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는 계단 이용이나 엘리베이터 접근성 등 교통약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교통약자들은 지도에서 제시하는 최단 경로를 이용하기 어려워 실제 이동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된다.

이처럼 교통약자들이 겪는 문제점은 단순히 이동수단의 부족이나 편의시설 부족 문제를 넘어선다. 교통약자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정보 제공과 서비스로 인해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여전히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이동지원 서비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1.2. "버너러블맵" 서비스의 주요 기능

"버너러블맵" 서비스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면 최소 도보 우선으로 한 최단 거리의 지하철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교통약자에 해당하는지 모드를 설정해야 하며, 회원가입 시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교통약자의 유형은 여자 노인, 남자 노인,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임산부, 휠체어 사용자, 목발 사용자 등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형별로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르게 계산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셋째, 회원가입이 된 사용자의 경우 보행속도를 측정하여 가장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한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반영한 예상도착시간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 비회원 사용자의 경우에는 출발지와 도착지 입력 후 교통약자 유형을 선택하면 해당 유형에 따른 소요시간과 도착 예정시간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버너러블맵"은 교통약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시간 사용자 위치와 유형별 보행속도를 반영하여 최적화된 이동경로와 예상도착시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1.3. 기존 서비스와의 차별화 요소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는 단순히 지도 형태로 경로를 제공하는데 그치지만, "버너러블맵"은 실시간 사용자 위치를 반영하여 보다 실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버너러블맵"은 사용자의 유형과 최적화된 보행속도에 따라 이동시간과 예상도착시간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교통약자들이 겪는 어려움, 즉 기존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예상 도착 시간이 자신의 실제 이동 시간보다 짧아 약속 시간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4. 개발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

버너러블맵 서비스의 개발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 이동 경로 서비스로 한정된 것은 문제점이다. 지하철 경로만 제공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버스 이동 경로도 추가로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종 운수회사와 지자체의 협력이 필요하다. 저상버스 도입 확대, 버스 도착 정보 활용 등을 통해 버스 이동 경로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지하철-버스 환승 시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확충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사용자 데이터 평균의 오류 문제가 있다. 동일한 유형의 교통약자라도 개인차가 크므로, 단순 평균으로 보행속도를 추정하는 것은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차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벗어나는 데이터는 제외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유형별 보행속도 평균값도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최신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문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는 실시간으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운영 상황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공공데이터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철도시설공단 등 관련 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관계 구축이 중요하다.

넷째, 지도 데이터의 현행화 및 정확성 유지가 필요하다. 지하철역 내 편의시설 현황,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운영 상황 등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지도 데이터의 오류나 누락을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안과 사생활 보호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이동 경로 데이터가 수집되므로 이에 대한 안전한 관리와 활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규제를 준수하고, 암호화 등의 보안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과 업그레이드를 위한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 지원, 기업 파트너십을 통한 수익 모델 개발 등 다각도의 접근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고려사항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버너러블맵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한다면, 교통약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생체인식 기반의 안전한 결제 서비스
2.1. 비접촉 생체인식 결제 기술의 동향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접촉 생체인식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며 외부 활동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비접촉 생체인식 관련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카드사들이 플라스틱 실물카드를 결제 기반으로 사용했지만, 지문·얼굴·정맥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거래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데다 카카오·네이버와 같은 대형 IT 기업들이 생체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후불결제 시장에 진출하면서 카드사들의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신한카드는 마스크를 착용한 얼굴까지 인식하는 생체인증 서비스 '신한 페이스페이' 기술을 사내 임직원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신한카드 사옥 로비에 설치된 무인 등록기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얼굴로 한 번만 등록하면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사내에서 자유롭게 결제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대형 IT 기업들이 내세운 생체 인식 기술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하여 핸드폰조차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한 비접촉 생체 인증을 통한 결제가 강구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생체인식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핸드폰 번호 유출이 되는 것과는 달리 얼굴, 지문, 홍채...


참고 자료

Kim, Sang Gu. (2016).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439–448
강은혜, 최정민 (2019). 보행속도 차이에 따른 장애인 학교시설의 화재 안전성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3(2), 130- 141
한음 (2020). 노인 등 횡단보도 보행속도 기준 개선 연구.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57-57.
가치지키는 지식재산, 같이 만드는 미래유산,'코로나 감염 걱정없도록! 비접촉생체인식관련 특허출원증가'
https://blog.naver.com/kipracafe/222625848404
드림시큐리티 홈페이지, '드림시큐리티, 인증보안솔루션 전문기업 중 최초 '전자서명인증'취득', '22.02.09'
https://www.dreamsecurity.com/pr/board.php?bo_table=media&wr_id=170
para nationis futura, '생체(얼굴,정맥,지문)인식 결제', '21.07.12'
https://blog.naver.com/dcm909698/222429273115
유진우기자, '조선비즈', '저무는 실물카드 시대... 카드사, 생체인식 결제 속속 도입', '21,06,17'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1/06/17/FI7CQFCX35GO3ER42WZEXBWPHU/
신동아테크, '생체인증이 해킹에 취약하다고?', '18.10.25'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956636&memberNo=39094895&vType=VERTICAL
itworld, 'Evan schuman' ,'모바일 생체 인증의 한계와 극복 방법'
https://www.itworld.co.kr/news/220569
박상주 기자, '중앙일보' , '생체인증 기술 어디까지 왔나 내몸은 나만의 비밀번호', '16.08.14'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446207
김선애 기자, '데이터넷', '확산되는 생체인식 기반 서비스', '19.11.04'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78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