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공정관리
1.1. 공정관리의 정의
공정관리란 한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작업들을 주어진 공기 내 완성하기 위하여 공사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한 후 시공방법을 결정하고 일정계획을 하며 이에 따른 장비, 자재, 인원, 외주계획 등을 수립하고 이러한 요소들의 최적화를 취하고 공사가 진척되어 감에 따라 공기지연 및 조기 완공 등 계획변경 사항 등에 대한 공기의 영향을 분석하고 설계변경에 따른 재 계획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생산성 증대 및 품질향상, 공기지연 요소를 감소시키는 총체적인 과정이다."
1.2. 공정관리 기법의 발전 과정
1.2.1. 간트 차트(Gantt chart)
간트 차트(Gantt chart)는 1900년대 초 테일러에 의하여 표준시간 설정 등의 과학적 사고에 의한 공정관리 개념이 도입된 이후, 도표상에 횡선식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작업의 특정한 시점과 기간을 표시함으로써 계획과 진행을 비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공정관리 기법이다. 간트 차트는 시각적인 명료성 때문에 각 공종별 공사의 공사일정 및 전체공사 일정을 파악하기가 용이하고 특별한 지식이나 경험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작업간 연결관계가 불분명하므로 주공정선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2.2. 바 차트 (Bar Chart)
바 차트(Bar Chart)는 세로축에 작업명을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가로축에 날짜를 표기한 다음, 각 작업의 시작과 끝을 연결한 횡선의 길이로 작업기간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바 차트는 각 작업과 공사 전체의 공정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경험이 적은 사람도 사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작업 상호간의 선후과계나 전체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크리티컬 패스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바 차트는 간트 차트에 비해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작업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세로축에 작업명을 나열하고 가로축에 날짜를 표기하여, 각 작업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막대그래프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작업 간의 선후관계와 전체 공사 기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바 차트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별 소요기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작업 간의 선후관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경험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공사 전체의 진행상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바 차트는 작업 간의 상호의존성이나 핵심경로(Critical Path)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CPM(Critical Path Method) 기법이 개발되었다. CPM 기법은 작업 간의 논리적 관계와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핵심경로를 도출하고, 각 작업의 여유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바 차트는 공정관리 기법 중 하나로, 직관적이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 간 상호의존성 파악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CPM 기법 등 다른 공정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