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아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뮤지컬 아이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뮤지컬 개요
1.1. 뮤지컬의 정의
1.2. 뮤지컬의 역사
1.2.1. 뮤지컬의 기원
1.2.2. 뮤지컬의 발전 과정

2. 공연 제작 과정
2.1. 사전 작업 단계(Pre-Production)
2.2. 실 작업 단계(Pro-Production)
2.3. 후반 작업 단계(Post-Production)

3. 스태프의 역할
3.1. 예술 스태프
3.2. 기술운영스태프
3.3. 기획제작스태프

4. 국내 뮤지컬 제작의 문제점
4.1. 창작 뮤지컬의 저조한 시장 점유율
4.2. 수입 뮤지컬의 과다한 로열티 문제
4.3. 정부 지원의 필요성

5. 뮤지컬 발전을 위한 제언
5.1. 사전 작업 단계 확대의 필요성
5.2. 창작 뮤지컬 활성화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뮤지컬 개요
1.1. 뮤지컬의 정의

뮤지컬(musical)은 사전적 정의로 "현대 미국에서 발달한 음악극의 한 형식으로, 뮤지컬 코미디나 뮤지컬 플레이를 종합하고, 그 위에 레뷰(revue), 쇼(show), 스펙터클(spectacle) 등의 요소를 가미하여 큰 무대에서 상연하는 종합 무대 예술"이다.

대부분의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이 주식회사의 형태로 운영되는데, 특정 공연을 위해 주식회사를 설립하는 경우도 있다. 개별 작품이 독립된 법인으로 운영되는 점은 국내 뮤지컬 제작 시스템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사전 제작 기간(Pre-Production)은 짧게는 1년, 길게는 2-3년 정도를 가지는 반면, 국내 뮤지컬 제작은 3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정도의 기간 내에 이루어지는 등 시간 투자 차이가 크다.


1.2. 뮤지컬의 역사
1.2.1. 뮤지컬의 기원

뮤지컬의 기원은 유럽의 대중연극, 오페라, 오페레타, 발라드 오페라(俗謠歌劇) 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728년 영국에서 존 게이가 발표한 《거지 오페라》가 뮤지컬의 시초로 볼 수 있으며, 1892년 영국 런던에서 조지 에드워드가 제작한 《인 타운》이 최초의 뮤지컬 공연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1866년 《더 블랙 크룩》과 1874년 《에반젤린》을 뮤지컬의 효시로 보고 있다. 특히 《에반젤린》의 작곡가 에드워드 라이스는 자신의 작품에 "뮤지컬 코미디"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했다.

초기 뮤지컬은 아직 규모와 예술성 면에서 미흡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등 사회 혼란기에 몰입했던 대중들이 더욱 낙관적이고 오락적인 문화를 갈망하면서 미국으로 이동한 뮤지컬이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1920년대 말부터는 뮤지컬에서 서사성과 심리적인 동기 부여가 강조되기 시작했고, 1931년 《당신을 노래한다》가 아카데미상을 수상하며 뮤지컬이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기 시작했다. 이후 1943년 《오클라호마》의 장기 공연과 국민적 사랑을 받으며, 1957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와 《마이 페어 레이디》 등의 작품으로 뮤지컬이 문학적 주제와 내용을 다룰 수 있는 장르로 성장했다.


1.2.2. 뮤지컬의 발전 과정

뮤지컬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산업혁명 이후 서민들의 새로운 문화적 욕구를 바탕으로 태어난 최초의 뮤지컬 공연은 1892년 영국 런던의 GATE극장에서 GEORGE EDWARDS에 의해 공연된 "IN TOWN"을 효시로 볼 수 있다. 미국에서는 이보다 26년 앞선 1866년에 "THE BLACK CROOK"과 1874년 "에반젤린"이 뮤지컬의 효시로 간주된다. 특히 에반젤린의 음악을 맡은 EDWARD RISE는 이미 성행하고 있는 다른 쇼들과 구별하기 위해 최초로 자신의 작품에 "뮤지컬코메디"라고 명명했다.

이렇게 탄생한 초기 뮤지컬은 규모와 작품의 예술적 수준이 아직 미천하여 많은 대중으로부터 호응을 받지는 못했다. 그러던 중 제1차 세계대전과 이어진 세계적인 대공황으로 정서적 상처를 입은 대중들은 좀 더 낙천적이며 유희적인 문화를 갈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대전과 경제공황의 불바다였던 유럽대륙에서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이전된 뮤지컬은 새로운 변신을 거듭하며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예술 장르로 화려하게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미국에서의 뮤지컬은 보다 낙천적이며 유희적인 요소와 거대한 사업 흥행제작자에 의한 막대한 투자, 스타배우 중심의 전국적인 순회공연을 통하여 대중적인 예술로 자리매김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뮤지컬이 쇼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플롯과 심리적인 동기에 보다 많은 관심이 주어지기 시작했으며, 1931년에 뮤지컬 "너를노래한다"가 플리쳐상을 수상하면서 뮤지컬의 사회적 위상이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이후 1943년 뮤지컬 "오클라호마"는 2212회의 장기공연을 통해 "미국인의 개척정신을 함양하는 국민정신의 표현"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국민적 예술 장르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어 1957년 "WEST SIDE STORY"와 "MY FAIR LADY" 등의 작품으로 뮤지컬이 "문학적인 주제와 내용을 다룰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하면서 뮤지컬의 예술적 입지가 확고해졌다. 2차대전 이후 미국의 뮤지컬은 "아가씨와 건달들", "왕과나", "HAIR", "A CHROUS LINE", "EVITA"...


참고 자료

고정민,『산업화에 접어든 공연예술』, 삼성경제연구소, 2003
고정민·민동원,『국내 음반산업의 주요이슈와 대응방안』, 2003 외 4권
김창남(외),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6.
리사 아피냐네시, 카바레, 새로운 예술 공간의 탄생, 에코리브르, 2007.
원종원. 뮤지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이수진/조용신, 뮤지컬 이야기, 숲, 2009.
최민우, 뮤지컬 사회학: 뮤지컬을 보는 새로운 시선, 이콘, 2014 외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 예술의 전당 공연필름, 1997년.
카오스 무용단, 예술의 전당 공연필름, 1999년 9월9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