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간호사 지원동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09.23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보건소 간호사 지원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사업
1.1. 사업 내용
1.2. 추진 배경
1.3. 사업 목적
1.4. 사업 목표
1.5. 사업 내용
1.6. 타 보건소와의 차이점

2.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2.1. 일차의료제공자 역할
2.2. 직접간호제공자 역할
2.3. 교육자 역할
2.4. 상담자 역할
2.5. 대변자 · 옹호자 역할
2.6. 관리자 역할
2.7. 의뢰자 · 알선자 역할
2.8. 연구자 역할
2.9. 변화촉진자 역할
2.10. 협력자 역할
2.11. 정보수집자 · 보존자 역할
2.12. 조정자 역할

3. 지역사회 보건간호사 역할 탐색
3.1. 이론적 역할
3.2. 실제 수행한 업무
3.3. 독후감

4. 지역사회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및 조정
4.1. 협력관계와 업무조정 역할 개념
4.2. 협력과 업무조정의 사례
4.3. 협력관계와 업무조정 역할의 이론적 근거
4.4. 협력관계와 업무조정 역할의 중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사업
1.1. 사업 내용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금연 사업대상은 주민 전체(영유아, 아동 · 청소년, 성인, 노인)이며, 사업전략으로 교육 및 상담, 홍보 및 캠페인, 건강 환경 조성, 생활터 접근전략, 지역사회 자원발굴 및 연계, 주민참여형 건강증진전략 등을 활용한다.

세부적으로는 금연클리닉 운영, 생애주기별 흡연예방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금연 홍보 캠페인, 간접흡연예방을 위한 금연환경조성, 금연사각지대 금연지원서비스 제공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금연클리닉은 보건소와 찾아가는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대구금연지원센터와 연계한 금연캠프를 활성화한다. 생애주기별로는 미취학 아동, 청소년, 성인 대상의 흡연예방교육을 제공한다. 금연 홍보 캠페인은 내 · 외부 연계, 민·관자원 연계, 주민주도형으로 진행한다. 금연환경조성을 위해 금연구역 지도·점검, 금연구역 확대, 금연구역 내 단속 및 과태료부과 등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건강행태 취약동 지역주민과 소규모 사업장 대상의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1.2. 추진 배경

북구 현재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은 '17년도 22.3%에서 '18년도 15.8%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흡연자의 금연클리닉 등록발굴을 통한 금연시도율 향상방안이 필요하다"" 즉, 북구 보건소는 지역주민들의 금연 시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연클리닉 운영을 통한 등록발굴 및 금연지원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연계 및 대상별 맞춤 금연지원서비스사업 수행이 필요""하며, ""민간자원 및 타기관 연계·협력을 통한 효율적인 금연구역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사업 목적

사업 목적은 "대상별 맞춤 금연지원을 통하여 효율적인 주민 인식변화 유도",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양질의 금연서비스 제공 및 금연 홍보 효과 극대화", "효율적인 금연구역 관리를 통한 금연환경조성 활성화 및 금연 실천분위기 조성"이다.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대상자별 맞춤형 금연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금연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변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양질의 금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금연 홍보 및 교육을 통해 금연 실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한다. 더불어 금연구역 관리를 강화하여 간접흡연 예방을 통한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사업 목적이다.


1.4. 사업 목표

사업 목표는 성과지표명, 투입, 산출, 결과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
투입지표로는 인력, 예산, 시설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산출지표로는 금연 클리닉 등록 및 관리 인원 수, 이동금연클리닉 운영 개소 수, 흡연예방교육 및 금연 홍보캠페인 운영 횟수, 금연구역 지도점검 개소 수 등이 제시되어 있다. 결과지표로는 현재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대상별 맞춤 금연지원을 통한 주민 인식변화 유도,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양질의 금연서비스 제공 및 금연 홍보 효과 극대화, 효율적인 금연구역 관리를 통한 금연환경조성 활성화 및 금연 실천분위기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사업 내용

사업 내용은 크게 금연클리닉 운영, 생애주기별 흡연예방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금연 홍보 캠페인, 간접흡연예방을 위한 금연환경조성, 금연사각지대 금연지원서비스 제공 등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금연클리닉 운영 사업은 보건소 금연클리닉 상시 운영, 찾아가는 금연클리닉 운영, 대구금연지원센터와 연계한 금연캠프 활성화 등의 세부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는 금연 희망자를 대상으로 6주간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금연상담서비스, 니코틴 보조제 및 행동강화물품 지원, 성공기념품 제공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시간과 장소 제약이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상설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대구금연지원센터와 연계하여 금연캠프 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다음으로 생애주기별 흡연예방교육 사업은 미취학 아동,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교육이 진행된다. 미취학 아동에게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을 통해 금연지도자를 양성하여 자체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청소년에게는 학교에서의 집합 및 방송교육을 제공한다. 성인 대상으로는 사업장, 병원, 복지시설 등에서 금연교육이 이루어진다.

인식개선을 위한 금연 홍보 캠페인 사업에서는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한 홍보 및 교육, 심뇌혈관예방관리사업과의 연계 홍보 캠페인, 금연아파트 주민들의 자발적인 금연 캠페인 등이 진행된다. 간접흡연 위해성 등 금연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간접흡연예방을 위한 금연환경조성 사업에서는 관내 금연구역 지도·점검 및 추가 지정, 금연구역 위반 단속 및 과태료부과 등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금연사각지대 금연지원서비스 제공 사업에서는 건강취약지역과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이동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흡연예방교육, 금연홍보캠페인, 금연캠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보건소는 지역주민의 금연을 위해 다각도로 접근하고 있으며,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6. 타 보건소와의 차이점

타 보건소와 비교했을 때 북구 보건소의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사업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북구 보건소는 금연 사업에 대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홈페이지와 사업별 계획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서구 보건소와 동구 보건소의 경우 홈페이지에는 금연클리닉 사업이 나와 있으나 사업별 계획서에는 금연사업이 별도로 작성되어 있지 않아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는 북구 보건소가 금연 사업에 더욱 주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북구 보건소는 금연 프로그램 외에도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건강생활지원센터 사업,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사업, 방문건강사업 등에서도 금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금연 프로그램이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타 보건소는 이러한 연계 사업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셋째, 북구 보건소는 지역주민이 직접 보건소를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5인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이동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어 접근성이 높다. 이에 비해 서구 보건소와 동구 보건소는 1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진다.

넷째, 북구 보건소의 금연지원서비스 사업은 거의 연중무휴로 진행되고 있어 금연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추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보건소의 금연 사업 추진 일정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다만 북구 보건소의 금연지원서비스 사업은 임산부, 장애인, 취약계층 등 특정 대상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북구 보건소의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사업은 타 보건소에 비해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금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계 사업을 통해 금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금연 지원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2.1. 일차의료제공자 역할

지역사회 간호사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나 학교의 보건교사, 산업장의 산업간호사로 일차보건의료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은 독자적으로 산전 간호를 제공하여 필요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영유아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지역주민의 경미한 건강문제 발생 시 독자적으로 건강사정과 기본적 임상검사를 실시하며, 치료와 처치를 포함한 일차보건의료를 제공한다.

학교의 보건교사와 산업장의 산업간호사 또한 외상치료...


참고 자료

김원이, "농어촌 지역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의료행위 대신 수행"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939
포항시, 남‧북구보건소, 꼼꼼한 주민 건강관리! 방문간호사가 찾아갑니다.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523
경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http://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5247
대전시, 재난 스트레스...심리상담 무료 지원
http://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62277
서귀포시서부보건소, 재가 장애인 통합건강관리프로그램 운영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277
"임직원 건강증진 앞장" 전주시설공단, 건강관리실 운영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03_0001780254&cID=10899&pID=10800
시흥시, 어르신 ‘무료 치매선별검사’ 시행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404000013
이은미 인천성모병원 간호사, 복지부장관상 수상… 암 환자 삶의 질 증진 공로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1801
영남대병원 배순영 간호사팀 논문 美 학술지 게재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3025
김제보건소, ‘전북 유일’ 24시간 응급위기대응 운영. 역할 ‘톡톡’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5675
노원구, ‘서울케어-건강돌봄’ 우수상 수상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84789230094
[And 건강] 의사·간호사가 집에 와 아픈 애 돌봐 주니 마음이 놓여요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69005&code=14130000&cp=nv
나는 내 집에서 살다 죽고 싶다
http://www.jjan.kr/2066580
"마을의사가 직접 찾아가요"… 서울시, 돌봄서비스 실시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8081543101
“만 60세 이상 어르신들, 서남병원 백세건강센터에서 노인포괄평가 무료로 받으세요”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115945
<특집> 시민 건강지킴이 ‘상주보건소’…안전하고 행복한 도시 조성 온힘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372696&part_idx=243
영덕군보건소, 지역 맞춤형 통합건강증진서비스 시행
http://www.nspna.com/news/?mode=view&newsid=554194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학지사 메디컬)
보건소 직원 업무표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