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것이 있다. 누군가 나에게 긍정적으로 관심을 가져주거나 기대를 하는 것이 실제로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현상을 말한다. 피그말리온 효과를 입증하는 심리학적 실험도 유명하다. 1968년에 하버드 대학의 로젠탈 교수팀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지능 검사를 한 뒤 지능과 무관하게 무작위로 20%의 학생을 뽑아 '당신은 지능지수가 높은 학생이다'라고 말하였고, 이를 학생의 지도 교사에게도 알려주었다. 지능지수가 높다는 이야기를 들은 학생들은 이전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들의 지능이 높고 낮은 것에 관계없이 지능지수가 높다는, 일종의 칭찬을 들었다는 이유만으로 성적이 향상된 것이다. 이러한 피그말리온 효과에 많은 사람들이, 특히 자녀를 양육하거나 교육하는 교육자들이 주목하였고, 한때는 책이 큰 인기를 끌기도 하였다. 긍정적인 말이나 기대감이 사람에게 긍정적인 효과, 특히 학업 성취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면 교육에서는 학생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며 지원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는 점은 당연하다. 이것이 긍정적행동지원이라는 개념이 생겨난 이유일 것이다. 아래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 영유아의 문제 행동을 어떻게 하면 긍정적 행동지원의 절차대로 교정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기로 하겠다.
2. 긍정적 행동지원
2.1.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긍정적 행동지원은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지도 방법이다.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이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특수 학생들은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왜 이들이 이러한 행동을 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거나 이해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무지에서 배타적이고 적대적인 태도나 선입견을 가지게 되기 쉬운데 긍정적 행동지원에서는 특수아동이 문제행동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가능하다면 공감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학생의 문제 행동을 교사의 개입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기대와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즉, 긍정적 행동지원은 특수 학생에 대한 믿음과 기대를 전제로 한다.
2.2. 긍정적 행동지원의 핵심 요소
긍정적 행동지원의 핵심 요소는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학생의 행동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학생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이유와 배경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환경을 변화시켜야 한다"".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학생에게 바람직한 대체행동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문제행동 대신 학생이 보일 수 있는 긍정적인 행동을 명확히 보여주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통합 학급과 지역사회 배치를 위해 체계화되고 의도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지역사회 참여를 위해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지원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 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
3.1. 기능평가
기능평가는 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실시하는 절차로, 학생이 왜 소리를 지르며 뛰어다니는지, 특정한 시간대나 상황에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 등의 맥락을 관찰하여 규칙적인 패턴을 포착하는 것이다. 학생의 문제행동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즉 어떤 목적이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것인지를 찾아내는 것이 기능평가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게 되며, 이후 행동지원 계획 수립의 기초가 될 수 있다. 교사는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