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서행동장애의 개념과 정의
1.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정서행동장애는 아동 자신의 발달이나 타인의 생활 혹은 그 둘 모두를 방해하는 행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현저하게 일탈된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서·행동장애 명칭은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 대상자가 누구인가와 대상자의 수가 얼마인지에 대한 기준이 되어 정서·행동장애를 위한 재정확보, 학교설립 등 교육관련 체제의 기초와 지원계획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명칭이 규정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영향을 끼치게 되며 학문적, 행정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 기능을 한다.
1.2. 정서행동장애의 특성
정서행동장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행동문제가 대개 학생의 발달상에 있어 겪게 되는 문제와 동일하나 그 양이나 질에 있어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정서행동장애 학생은 일반 아동에 비해 현저하게 일탈된 행동을 보이며, 이로 인해 아동 자신의 발달이나 타인의 생활을 방해하게 된다.
둘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은 다른 장애와의 공존율이 높다. 실제로 많은 경우에 정신지체나 의사소통장애를 지닌 아동들이 정서행동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타장애와의 공존으로 인해 정서행동장애를 명백하게 구분하여 정의하기는 어렵다.
셋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이 일시적이고 지속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렇듯 행동의 일시성은 정서행동장애를 정의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넷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개인행동이 사회·문화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어야 한다. 즉,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행동은 문화적 가치, 상황적 기준, 성별 규준, 발달 준거 등에서 벗어나 당사자에게 해로운 것으로 간주된다.
다섯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은 자기 자신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행동인 외현화 장애와 자기 자신을 지나치게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내현화 장애로 나눌 수 있다. 외현화 장애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행동장애 등이 포함되며, 내현화 장애에는 불안, 우울, 공포 등이 포함된다.
여섯째, 정서행동장애 학생은 대인관계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정서행동장애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이다.
1.3. 정서행동장애의 분류
정서행동장애의 분류는 크게 외현화 장애와 내재화 장애로 나뉜다"" 외현화 장애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행동장애 등이 포함되며 공격성이나 충동성 등의 문제행동이 두드러지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내재화 장애는 불안, 우울, 위축 등의 내적인 문제가 두드러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정서행동장애는 그 증상에 따라 정서장애와 행동장애로 구분할 수 있다"" 정서장애는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이 포함되며 감정 조절의 어려움이 특징이다"" 행동장애는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등이 포함되며 공격성, 파괴성 등의 문제행동이 두드러진다""
이처럼 정서행동장애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에 따라 외현화-내재화, 정서-행동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분류는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중재방법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정서행동장애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