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왕절개 관련 임상상황시연
1.1.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은 임상에서 실제 여성 환자와의 직접적 접촉을 통해 여성건강관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이론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 보고, 산모와 신생아에게 안전하고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특히 제왕절개 관련 임상상황 시연은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제왕절개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분만방법으로, 학생들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제왕절개 과정을 관찰하고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왕절개 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향후 임상현장에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왕절개 관련 임상상황 시연에서 학생들은 입원 시 간호사의 초기 간호, 진통 과정 중의 간호, 그리고 제왕절개 후 간호 등 다양한 간호중재를 관찰하고 실습할 수 있다. 입원 시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 측정, 주사부위 확인, 통증관리 교육 등을 수행하여 산모의 안녕을 도모한다. 진통 과정 중에는 자궁경부 개대 정도와 태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호흡법과 이완요법 등을 교육하여 산모의 통증을 완화시킨다. 제왕절개 후에는 회음부 관찰, 소변 배출 확인, 자궁 수축 상태 사정 등을 통해 산모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이처럼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특히 제왕절개 관련 임상상황 시연은 학생들에게 산모와 신생아 간호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향후 임상 현장에서 전문성 있는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고 할 수 있다.
1.2. 사례 소개
31세 초산모 이00 씨는 임신 39주 3일로 분만을 위해 오전 10시에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5시간전에 파막이 된 상태였으며 자궁경부 소실 30%, 개대 3CM FHR 133회/분, 5분간격으로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약하게 있어 담당의사 처방하에 오전 11시부터 HD 500ml + oxytocin 1@(5U) mix 된 fluid를 36ml/hr 투여되었다. 이00 산모님은 첫 출산이며, 당뇨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오후3시경 대상자는 강한 신음 소리를 내고 있고 자궁수축은 2분간격, 기간은 60초, 강도는 60mmHg이며 내진상 자궁경부는 6cm 개대, 70% 소실이 된 상태이다.
1.3. 입원 시 간호사의 초기 간호
간호사는 이00 산모의 입원 시 초기 간호를 수행하였다. 먼저 간호사는 환자의 성함 및 생년월일을 확인하고 입원 팔찌로 확인하여 정확한 대상자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간호사는 커튼을 치고 환자의 현재 시간과 장소, 옆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물어보며 환자의 의식 상태를 사정하였다.
간호사는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겠다고 하였고, 실제로 환자의 혈압은 110/70mmHg, 맥박은 90회/분, 호흡은 20회/분, 체온은 36.5°C로 측정되어 정상 범위였다. 간호사는 주사부위도 확인하였고, 부종이나 멍이 없이 정상이었으며 수액 주입 속도도 0.5초에 한 방울씩 정상적으로 주입되고 있었다.
환자의 통증 관리를 위해 간호사는 진통제가 추가로 필요할 경우 초록색 버튼을 누르면 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주사 투여 후 어지러움이나 구역감 등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간호사를 불러달라고 교육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는 방광 상태를 확인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팽창되어 있으면 자궁수축이 잘 일어날 수 없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질내진을 실시하여 이00 산모의 자궁경부가 3cm 개대, 30%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
1.4. 진통 과정 중의 간호
진통 과정 중의 간호"는 산모의 통증 관리와 정상적인 분만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 활동이다. 간호사는 산모의 통증을 사정하고 적절한 통증 관리 중재를 제공하며,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의료진과 협력하여 안전한 분만을 돕는다.
간호사는 먼저 산모의 통증을 사정한다. 통증의 양상,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