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카카오의 역사
1.1.1. 다음
다음은 1995년 이재웅, 박건희, 이택경이 공동으로 창업한 포털 사이트로, 초기에는 사진 갤러리 위주의 사이트 운영을 하다가 점차 종합 포털 사이트로 발전하며 메일 서비스를 론칭하였다. 한때 우리나라의 포털 사이트 1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나 현재는 3위에 해당한다.
1.1.2. 카카오톡
카카오톡은 2010년 3월 출시된 모바일 메신저로, 국내 최대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이다. 카카오톡은 스마트폰 전화번호부와 연동되어 번거로운 회원가입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했다. 또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카카오톡은 출시 1년 만에 국내 누적 가입자 4,000만 명을 확보하며 '국민 모바일 메신저'로 자리매김했다. 2020년 기준 카카오톡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96%로, 사실상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카카오톡은 국내 플랫폼 비즈니스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구축했다.
카카오톡은 단순한 메신저 기능을 넘어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로 확장했다. 카카오톡 내에서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선물하기), 모바일 광고 플랫폼(플러스친구, 톡비즈), 모바일 게임 플랫폼, 모바일 모빌리티 플랫폼(카카오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메신저 이용자들을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으로 연결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카카오톡은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잡아 필수불가결한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종 소셜활동과 업무 등에서 카카오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한번 카카오톡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다른 서비스로 쉽게 옮겨가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카카오톡의 플랫폼 장악력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종합하면, 카카오톡은 국내 최대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으로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해왔다.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잡은 필수불가결한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며, 플랫폼 장악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다.
1.1.3. 다음과 카카오톡의 합병
다음과 카카오톡의 합병은 두 기업이 보유한 각자의 강점을 결합함으로써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 전략이다. 다음은 국내 대표 포털 사이트로 PC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모바일 시장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카카오톡은 급성장하며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의 지배적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음과 카카오톡은 2014년 합병을 결정하였다. 다음이 카카오를 인수하는 형태였지만, 최대 주주는 카카오측이 되었다. 이를 통해 PC 포털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결합함으로써 양측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합병 이후 다음이라는 이름은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사라지고 카카오라는 브랜드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합병은 각자의 영역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던 두 기업이 시너지를 발휘하여 플랫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볼 수 있다. 모바일 중심의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카카오는 종합 IT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1.2. 카카오의 서비스들
카카오의 서비스들은 다음과 같다.
카카오톡은 국내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이다. 카카오톡을 통해 사용자들은 텍스트, 사진, 파일, 음성 등 다양한 콘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단체 채팅방 기능을 통해 여러 사람이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다양한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대화에 생동감을 더할 수 있다. 카카오톡은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9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
카카오맵은 지도 서비스 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