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 발달 관련 논쟁점을 4가지 차원(영유아의 존재, 발달의 근원적인 힘, 발달의 과정, 영유아 간 발달의 패턴 등)에서 학습한 바 있습니다. 발달은 쉽게 파악되기 어려운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이론가들 간에 발달에 대한 관점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습니다. 발달에 관한 중요한 쟁점들과 그 내용에 대해 정리하고, 이 중 자신은 각각 어느 입장에 속하는지 이유 및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발달의 정의와 특징
1.2. 발달 이해의 필요성
2. 발달에 관한 주요 쟁점
2.1. 영유아의 속성
2.1.1. 영유아의 수동성 vs. 능동성
2.1.2. 원죄설, 성선설, 백지설
2.2. 발달의 근원적 힘
2.2.1. 유전 중심 입장
2.2.2. 환경(양육) 중심 입장
2.2.3. 상호작용 관점
2.3. 발달 과정의 특성
2.3.1. 연속적 발달
2.3.2. 비연속적 발달
2.4. 발달 패턴의 보편성과 특수성
2.4.1. 보편적 발달 관점
2.4.2. 특수성 강조 관점
3. 발달 이론의 통합적 이해
3.1. 발달 쟁점들의 공통점 및 상호보완성
3.2. 보육 현장에의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발달의 정의와 특징
발달은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 수정의 순간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전생에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변화의 양상과 과정을 말한다. 발달은 일관된 순서와 방향에 따라 이루어지지만, 그 양상이나 속도에 있어 개인차가 존재하는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영유아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발달적 특성과 행동의 변화 양상이 발생하는 근원적인 요인과 구체적인 변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어져왔고, 발달에 관한 다양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제공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발달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1.2. 발달 이해의 필요성
발달 이해의 필요성은 영유아의 성장과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적합한 양육과 교육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발달에 대한 이해는 영유아의 행동과 특성,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여 온전한 발달을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
먼저, 발달에 대한 이해는 영유아의 행동과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영유아는 급격한 성장과 변화를 겪기 때문에 이들의 행동과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적절한 반응을 하기 어렵다. 하지만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의 행동과 특성을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양육과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달에 대한 이해는 영유아의 성장과 변화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영유아는 성장 과정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달라진다. 따라서 발달 단계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의 성장과 변화에 부합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온전한 발달을 지원할 수 있다.
종합하면, 발달에 대한 이해는 영유아의 행동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양육과 교육을 제공하며, 영유아의 성장과 변화에 부합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영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는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발달에 관한 주요 쟁점
2.1. 영유아의 속성
2.1.1. 영유아의 수동성 vs. 능동성
영유아의 수동성 vs. 능동성에 대한 논쟁점은 영유아가 자신의 발달에 있어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지, 아니면 수동적인 존재에 불과한지에 관한 것이다.
능동적 존재로 보는 관점에서는 영유아가 자신의 발달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며, 환경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면서 자신의 경험을 능동적으로 구조화하여 자신의 발달 방향과 속도를 결정한다고 본다. 영유아는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전적 프로그램에 따라 스스로 자발적으로 환경을 선택하며, 자신의 경험을 구조화하여 능동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이다.
반면, 수동적 존재로 보는 관점에서는 영유아의 발달이 오직 환경이나 양육방식, 학습과정 등 외부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며, 영유아 자신은 단지 수동적으로 이러한 외부적 영향에 의해 발달한다고 보고 있다. 즉, 영유아는 자신의 발달에 능동적인 역할을 하지 않고 단순히 수동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영유아의 발달에 있어 능동성과 수동성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두 가지 관점을 절충하여, 영유아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상호결정론적 관점이 등장하고 있다. 즉, 영유아는 자신의 발달을 능동적으로 이끌어가지만, 적절한 환경적 개입과 지원을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질 높은 발달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2.1.2. 원죄설, 성선설, 백지설
원죄설(성악설)은 인간의 성품이 본래 악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순자에 따르면 선한 것은 인위적인 것이며,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길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영유아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욕망과 욕심을 방치하면 사회적 혼란이 일어나므로, 양육자는 강압적으로 예의와 규범을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원죄설에 따르면 영유아는 스스로 발전할...
참고 자료
언어지도 교안(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공인숙 저, 영유아발달, 양서원, 2018.02
김상희 외 8명 저. 영유아발달, 파워북, 2018.03
Child Development Stages vs. Continuous Development, https://www.mentalhelp.net/parenting/child-development-stages-vs-continuous-development/
The Age Old Debate of Nature vs. Nurture, Kendra Cherry, 2020, https://www.verywellmind.com/what-is-nature-versus-nurture-2795392
Developmental Psychology, Dr.Saul McLeod, 2017, https://www.simplypsychology.org/developmental-psychology.html
영유아발달, 문혁준, 창지사, 2020년
영유아발달, 김상림, 양성은, 이윤선, 한준아, 배선영, 파워북, 2017년
영유아교수방법론 위더스 교재
영유아발달 위더스교재
네이버블로그 blog.naver.com/isalang1227 우리아이행복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