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환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환과 외환시장
1.1. 외환의 개념
1.1.1. 외환의 의의
1.1.2. 외환의 특성
1.2. 외환시장
1.2.1. 외환시장의 의의
1.2.2. 외환과 외환거래의 종류
1.2.3. 외환시장의 특징
1.2.4. 외환시장의 참가자
2. 외환정책과 외환시장
2.1. 외환정책
2.1.1. 외환정책의 의의
2.1.2. 외환정책의 목적
2.1.3. 환정책의 단계
2.2. 금본위제도와 환정책
2.2.1. 금의 자동적 조절작용
2.2.2. 금의 자동적 균형작용을 위한 직접적인 방법
2.2.3. 금의 자동적 균형작용을 위한 간접적인 방법
2.3. 관리통화제도마의 외환정책
2.3.1. 환 통제자금제도
2.3.2. 환 관리제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환과 외환시장
1.1. 외환의 개념
1.1.1. 외환의 의의
외환이란 다른 경제주체들 사이의 경제거래를 위한 지급수단으로 사용되는 외화증권, 외화채권, 외국통화 등을 의미한다. 또한 국제거래 당사자 사이에 발생하는 외환의 교환행위를 말한다. 즉, 외환이란 외국과의 국제거래에 따라 각종 외국통화를 교환하는 거래행위로서 교환의 대상은 외국통화나 외국채권 등이 되며, 거래방식은 현금거래가 아닌 환거래가 발생하게 된다는 성격을 가진다.
일국 내에서는 자국통화만으로의 거래가 가능하나 국가 간 거래에서는 자국통화 뿐만 아니라 외국의 통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국제적 자금결제에 있어서는 거래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각종 통화를 거래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가 간 혹은 다국적기업 간 거래는 과거와는 달리 더욱더 많은 통화 간 거래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일국 내가 아닌 국가 간 거래에 있어서는 현금결제보다는 환거래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즉, 국가 간의 거래는 거리가 멀고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거래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현금수송이 어려우므로 환거래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환이란 직접 현금을 송부하지 않고 원격지 간의 송금이나 자금의 수수, 그리고 채권·채무의 결제를 일정한 신용수단에 의해서 행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런 의미에서 외환이란 환거래가 일국 내가 아닌 국가 간의 거래에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1.2. 외환의 특성
외환은 내국환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내국환과는 달리 채권자와 채무자가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국가에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적용법률의 차이점 등 국제법률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결제시간이 국내거래보다 길어지고 거래금액이 대규모이기에 양 당사자 간의 금리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국제거래 시 보통 두 개 이상의 외국통화가 개입된다는 것은 환율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최근의 환율급변은 양 당사자 간의 무역거래의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
넷째, 외국통화가 부족한 국가들과 거래할 경우 이들 국가의 외환통제로 말미암아 거래규모가 제한될 수 있다.
1.2. 외환시장
1.2.1. 외환시장의 의의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이란 이종통화표시 지급수단 곧 외환이 매매되는 시장이다. 여기서 시장이란 특정의 장소나 공간을 한정하여 의미하기 보다는 외환거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싱 및 메카니즘을 의미하며 자금의 대차가 이루어지는 신용시장(credit market)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1.2.2. 외환과 외환거래의 종류
외환과 외환거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외환(foreign exchange)이란 국제경제거래의 결과 발생된 국가간의 대차(채권-채무)관계를 결제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것으로서 국제통화, 외화예금, 전신환, 우편환, 환어음 등 대외지급수단과 외국통화표시 채권(bonds) 및 주식(stocks) 등 외화증권 그리고 외화채권(claims)을 말한다.
외환거래는 본원적 거래(Primitive transaction)와 파생적 거래(derivative transaction)로 나눌 수 있다.
본원적 거래에는 현물환거래(spot exchange transaction), 선물환거래(forward exchange transaction), 외환스왑거래(foreign...
참고 자료
2021년 글로벌 경제전망 삼성증권, 2020.09.15.(2P~4P)
KDI 경제정보센터(2020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2020.07.15. (2p~7p)
기획재정부(2020년 2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2020.09.18.(p1~p4)
KDB미래전략연구소 미래전략 개발부, 김혜진 선임연구원(2020년 하반기 환율 전망).2020.06.(p1~p43)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