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virus"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바이러스의 분류와 종류
1.1. DNA 바이러스
1.2. RNA 바이러스
2. 바이러스의 구조와 특징
2.1. 바이러스의 모양과 크기
2.2. 바이러스의 유전물질
3. 면역체계와 백신
3.1. 면역체계의 작용
3.2. 백신의 원리와 효과
4.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
4.1. VZV의 정의 및 발병 기전
4.2. VZV의 역학
4.3. 수두의 임상 특성
4.4. 대상포진의 임상 특성
5. 대상포진의 진단과 검사
6. 대상포진의 경과와 합병증
7. VZV 감염증의 치료
7.1. 항바이러스제 치료
7.2. 대증 요법 및 간호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바이러스의 분류와 종류
1.1. DNA 바이러스
DNA 바이러스는 DNA를 유전물질로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DNA 바이러스에는 아데노바이러스, 파필로마바이러스, 파르보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헤르페스바이러스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 이중나선의 선형 DNA 유전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정이십면체의 캡시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헤르페스바이러스에는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HSV),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 거대세포바이러스(CM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인간 세포 내에서 잠복 감염을 하며, 면역 기능 저하 시 재활성화되어 질병을 유발한다.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HSV)는 입술 주변의 단순 포진과 생식기 단순 포진을 일으킨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는 수두와 대상포진을 유발한다. 거대세포바이러스(CMV)는 신생아 선천성 감염과 면역저하자의 감염을 일으키며,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는 감염성 단핵구증과 버킷 림프종을 유발한다.
이처럼 DNA 바이러스는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그중에서도 헤르페스바이러스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들은 인간 세포 내에 잠복 감염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면역 기능이 저하될 때 재활성화되어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1.2. R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로 RNA를 사용하는 바이러스이다. RNA 바이러스는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피코르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은 대표적인 RNA 바이러스이다. 피코르나바이러스과에는 엔테로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간염 A형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 이들 바이러스는 single-stranded, positive-sense RNA를 유전 물질로 가지고 있으며, 정이십면체 캡시드 대칭성을 가진다. 피코르나바이러스과에 속한 바이러스들은 대부분 호흡기와 위장관 감염을 일으키며, 폴리오바이러스는 신경계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라비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들도 주요한 RNA 바이러스이다. 이 과에는 황열 바이러스, 뎅기열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 이들 바이러스는 single-stranded, positive-sense RNA를 가지고 있으며, 엔벨로프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플라비바이러스과 바이러스들은 주로 곤충을 매개로 하여 전파되며, 심각한 간염이나 출혈열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대표적인 RNA 바이러스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single-stranded, negative-sense RNA를 가지고 있으며, 엔벨로프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계절성 유행과 함께 새로운 바이러스 아형의 출현으로 인한 팬데믹 발생이 특징이다.
이처럼 RNA 바이러스는 다양한 과와 속에 속하며, 각 바이러스마다 고유한 유전 물질과 구조적 특징, 그리고 감염 양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RNA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과 치료가 어려운 편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와 대응 전략 마련을 통해 RNA 바이러스 관련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바이러스의 구조와 특징
...
참고 자료
손향숙, 신현욱 [대학영어] 2024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기초간호학회·대한미생물학회(2014), 『간호미생물학』, 엘스비어코리아, 198~200p
정호순(2015), 「천안 인근 지역의 대상포진의 발생에 관한 역학 연구」, 석사학위 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4~5p
곽병옥 외 3명,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 대한 임상 고찰』 (20권 3호, 2013), 165~166p
네이버 건강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대상포진(herpes zoster)”,
, (2016.11.24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