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잃어버린 영혼 비유
1.1. 도입
5월 25일은 세계 실종아동의 날이라고 합니다. 최근 실종아동의 발견율은 99%를 넘기고 있고, 실종아동은 매년마다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과거 2000년 전후로 과학 수사 기술이 발전되기 전에는 실종아동을 찾는 것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니였습니다. 실종아동 가족들은 수십년 동안 아동을 찾으러 돌아다니며 재산과 건강 모든 것을 잃게 되는 아픔을 겪게 된다. 만일 수십년 만이라도 가족들이 실종아동들을 찾게 된다면, 얼마나 기쁜 일이 아닐 수 없을까? 상상하기도 힘든 기쁨일 것입니다.
1.2. 잃은 양 비유
예수님께서는 잃은 양 비유를 통해 하나님 아버지의 심정을 생생하게 보여주셨다. 어떤 사람에게 양 백 마리가 있었는데, 그 중 하나를 잃게 되면 아흔아홉 마리를 들에 두고 그 잃은 한 마리를 찾아내기 위해서 찾을 때까지 찾지 않겠냐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는 양과 목자의 관계가 소유자와 소유물의 관계가 아니라, 책임감 있는 가족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양 백 마리는 가족이자 공동체 그 자체인데, 한 마리가 없어졌다는 것은 가족과 공동체 전체가 무너진 것과 같은 상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자는 잃은 한 마리 양을 찾아다니는데, 그 양을 찾아내면 벗과 이웃과 함께 기쁨과 즐거움을 나누게 된다. 예수님은 이를 통해 하나님 아버지의 심정을 드러내셨는데,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늘에서도 더 기쁨이 크다고 말씀하셨다. 이는 하나님께서 세상의 모든 사람을 귀하게 여기시며, 잃어버린 영혼 하나하나를 찾으시고자 하는 아버지의 마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3. 잃은 드라크마 비유
잃은 드라크마 비유는 물질적 손실에 대한 예수님의 비유이다. 어떤 여인이 열 드라크마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중 하나를 잃어버렸다. 드라크마는 로마의 데나리온에 해당하는 헬라의 은화로, 노동자의 하루 품삯에 해당했다. 따라서 여인이 잃어버린 드라크마는 작은 금액이 아닌 상당한 가치를 지닌 것이었다.
이 비유에서 여인은 이 작은 동전 하나를 찾기 위해 부지런히 온 집안을 샅샅이 뒤지며 애썼다. 이는 예수님께서 죄인 한 사람의 회개를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시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 구절에서 천사들과 예수님의 기쁨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할 때 더욱 크다고 말씀하시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잃어버린 영혼 한 명 한 명을 얼마나 귀하게 여기시는지를 보여준다.
잃은 양 비유와 비교했을 때, 이 비유는 잃어버린 대상이 양이라는 생명체가 아니라 동전이라는 물질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양은 스스로 움직이고 헤매어 찾기 어렵지만, 동전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더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비유는 죄인을 찾는 것이 얼마나 수월한지를 보여준다. 또한 양의 비유에서는 100마리 중 1마리가 잃어졌지만, 이 비유에서는 10개 중 1개가 잃어졌다는 점에서 잃어버린 것의 비중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 비유를 통해 예수님께서는 한 영혼의 구원을 위해 자신을 아끼지 않으시며, 하늘의 모든 천사들도 이를 기쁘게 여긴다는 것을 보여...